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미국에서는 실패했지만...한국에서 성공한 영화 '엘리멘탈'

by 24기정세윤기자 posted Aug 09, 2023 Views 693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엘리멘탈 | 디즈니+

[이미지 캡쳐=디즈니 플러스 웹사이트]


"우리가 안되는 이유는 백만가지지만 나는 널 사랑해" 엘리멘탈 대사 中. 현재 디즈니와 픽사의 엘리멘탈은 우리나라에서 큰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원소들의 세상에서 물과 불이 만났을 때, 세상이 가진 편견과 그들이 사랑에 빠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이다. 독특한 발상과 아름다운 영상미가 돋보이는 영화지만, 그뿐만이 아니다. 


엘리멘탈은 미국계 한국인 감독인, 피터 손 감독이 제작한 영화이다. 작중에 여주인공 엠버는 원소 마을에 이민 온 2세를 나타냈는데, 이 점이 한국인들이 과거 미국에 정착하던 모습을 드러내기도 한다. 또한, 엠버가 자신의 아버지를 부르는 '아슈파'라는 명칭은, 실제로 한국어인 '아빠'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그 밖에도 불의 민족이 웃어른에게 인사를 올릴 때 절을 한다는 점, 엠버 가족의 가게가 우리나라 고깃집 환풍구와 비슷한 장치를 가졌다는 점, 영화의 주된 주제는 정작 영어로는 번역할 수 없는 '고생'이라는 점 등이 한국적인 요소를 드러낸다. 엘리멘탈이 한국적인 요소를 가졌다는 점은, 미국 내에서는 흥행하지 못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던 엘리멘탈을 한국 역사상 손에 꼽히는 픽사의 대작이 되게 했다. 


실제로 영화 관람을 한 사람들에 따르면, 한국적인 요소라고 특정 짓지 않고 보아도, 어딘가 모르게 익숙하고 친근함이 느껴지는 기분이라는 평이 있다. 그만큼 한국의 정서를 미국 작품에 잘 녹여냈고, 문화적으로 융합된 모습이 인상적이다. 


하지만 한국적인 요소에만 집중해서는 안된다. 다른 원소들과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쉽게 관광지에도 갈 수 없었던 불의 민족이, 엠버와 웨이드(물, 남자주인공)과의 사랑을 시작으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에 살게 되었다는 영화의 메시지가 인상적이다. 


그만큼 우리의 현실 세상에도 다른 이들이 많이 살아가지만, 서로를 포용하는 것이 결국 다 함께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 것이라는 교훈까지 남겨준다. 아직까지 많은 차별이 남아있는 미국과 한국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킬 만한 영화임은 분명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2기 정세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608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304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7028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074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078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152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195
교육청의 과실? 언론사의 오보? 그 진실이 궁금하다. 2 file 2017.02.09 서경서 23201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3205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214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236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292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29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331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360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3404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437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450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53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510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549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662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665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668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729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772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808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819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64
위안부 수요 집회, 자유와 평화를 향해 외치다 2 2017.08.29 황유선 23976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3990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24033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4092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4097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116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168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4197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4210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222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238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275
부산 한바다중학교, 증축공사현장에서 화재, 재학생들의 애도 물결 6 file 2017.02.13 김혜진 24296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현재 상황과 대처방안은? 2 file 2019.10.11 정예람 24302
‘쓰레기’에 몸살 앓는 여의나루 한강 공원 1 file 2016.06.25 김선아 24411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422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423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접속하니 사기 사이트로 연결돼..해당 사이트 클릭 주의해야 file 2017.07.16 온라인뉴스팀 24432
“세계 화장실의 날”을 아시나요? - 세계 25억 명, 위생상태 나쁜 화장실 사용 1 file 2016.11.21 노태인 24475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536
어린이들의 출입을 금합니다, '노키즈존' 3 file 2016.06.09 이민재 24565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247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