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by 김하은대학생기자B posted Jul 21, 2023 Views 73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따뜻한 주말을 맞아 아이와 함께 외출한 부모는 만연한 봄을 만끽한다. 부모는 곧 날이 더욱 더워지고 다리도 슬슬 아파오자, 잠시 앉아 쉴 카페를 찾는다. 마침 바로 앞에 분위기가 좋아 보이는 카페가 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직원이 굳은 표정으로 단호하게 말한다. "노키즈존입니다". 부모는 잠시 당황한다. 심상치 않은 기류를 느낀 아이는 눈치를 보기 시작했다. 자리에 서서 잠시 멍하게 있던 부모는 별 수 없이 아이와 함께 카페를 나온다. 다음 카페를 찾는 부모의 시선은 오직 문 옆에 붙어 있는 '노키즈존' 표시의 유무만 쫓는다. 


최근 들어 아이들의 출입을 막는 '노키즈존' 매장이 확산 추세에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아이의 행동이 영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큰 소리를 지른다거나, 매장 이곳저곳을 아슬아슬하게 뛰어다니고, 영유아의 경우엔 울음소리도 소음이 되기 때문이다. 좋은 분위기를 즐기러 카페나 음식점을 찾은 사람들에겐 참으로 거슬리는 존재이지 않을 수 없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이가 물건을 깼다. 다음부턴 아이를 절대 가게에 들이지 않겠다 생각하는 사장의 결심에 못을 박는 꼴이다. 


노키즈존을 매장 주인의 영업상 자유에 해당한다고 보는 사람들은 대체로 고객의 행복추구권 또한 고민 선상에 함께 놓는다. 아이의 시끄러운 울음소리와 민폐 행위는 주위에 불쾌감을 일으키고 쾌적한 서비스를 즐길 권리를 침해하므로, 아이의 출입을 막는 것은 매장을 마음대로 운영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장의 영업상 자유이자 그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아이의 기본권의 무게가 저울질의 싸움에서 졌다. 하지만 '노키즈존'이라는 네 글자 안에 담긴 파괴적인 이면을 주목하는 것은, 많은 어른들의 인내와 사랑을 딛고 또 다른 어른이 된, 또는 되어가고 있는 우리가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다. 


[이미지 제공=트위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미지 캡쳐=트위터,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언제부터 우리는 아이들을 '철없고 사고만 치는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을까? 아니, 왜 아이가 철없고 사고만 친다는 사실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되었을까? 아이들을 원래 그런 존재이다. 세상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 찼지만, 아직 순수한 감정들을 다듬을 줄 몰라 마구 방출하는 시기. 그것이 유년기이며, 아이의 성장 과정을 관용어린 눈으로 바라봐 주고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이 사회의 역할이다. '아이 하나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말이 있다. 인간은 처음부터 완성되어 나오지 않는다. 감정에 북받쳐 울고 나서는 "피해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라고 말하는 아이는 없다. 오히려 아이가 저지르는 철없는 사고는 순리이자 필연이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이타적인 마음으로 바라보느냐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모두 또 다른 '아이'였으니까.


또 다른 노키즈존의 문제는 '아이의 출입 자체'를 막아드려 한다는 점에 있다. 불가침하며 천부적인 인간의 기본권은 헌법에 따라 엄격히 정해진 때에만 제한할 수 있고, 심지어 필요에 따라 제한할 때조차 그 본질적인 내용은 침해하지 못한다. 아이의 출입을 전면 금지한다는 것은 이에 비추어보아 기본권 침해의 소지가 여실하다. '영업의 원할하게 되지 않을 것이다'는 주장만으로 사회구성원의 존재를 막아서는 것은 결국 돌고 돌아 자신의 권리가 침해될 때에도 터무니없는 면죄부로 악용될 것이다. 아이 자체를 막는 것이 아니라 '뛰기 금지', '소리지르기 금지'와 같이 문제될 수 있는 '행동'을 막는 것이 바람직하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한껏 풀린 날씨에 거리에는 녹음에 감싸인 가족들의 행복한 모습이 자주 보인다. 우리 또한 가족의 일원으로, 사회의 일원으로 타인을 동등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소통해야 한다. 어린이든, 노인이든, 상대방이 여성이든 남성이든 상관없다. 타인의 눈으로 나를 바라보고, 나의 시선에서 타인을 이해하려 할 때 우리는 눈부신 사회로 한 발자국 더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대학생기자 김하은]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42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2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722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727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968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421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182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251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585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803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371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33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689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671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207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476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79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701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116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230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20051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16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60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241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669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633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87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84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403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425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427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422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25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419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901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488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948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908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300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761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93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534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845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310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700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618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585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973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951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294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5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