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by 22기이래경기자 posted Jun 24, 2023 Views 820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43278edb80c59843f9e0d18b0c2e28ea.jpe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DB(이채령), 해당 사진은 기사와 무관합니다.]


2023년 현재 '의대'에 진학하기 위한 '의대 준비반'이 최근 사회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의사'라는 직업의 안정성과 고소득을 이유로 어릴 때부터 의대를 준비해 합격률을 높이려고 하는 것이다.


이는 곧 '의대 쏠림 현상'으로 이어지며, 초등생부터 의대 준비반에서 공부하는 것이 열풍으로 이어진 최근 사회 속에서는 이러한 의대 쏠림 현상이 '이공계 블랙홀'이라고 불려질 만큼이나 큰 우려를 낳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대 쏠림 현상의 궁극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의대 쏠림 현상에 대해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흐름을 중심으로 주되게 이 이유를 설명한다.


과거부터 보수가 좋고, 높은 사회적 지위를 기대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굳어진 직업의 사회적 이미지를 현대 사회의 통념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현 세대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미래의 불확실성 속에서 경제적 상황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직업선택을 해야 하는 이들로 하여금 자신이 연봉이 높은 안정적인 직업을 원하도록 한다는 것 또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해당한다.


전문가들은 의대 쏠림 현상에 대해, 종합적으로는 인적자원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의학 계열로 많은 이과생이 진출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국가의 과학기술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을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일각에서는 현 상황에 대해 실질적인 대안을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한다. 올해만 해도 몇 차례의 '응급실 뺑뺑이' 사건으로 주의를 이끈 '응급실 의료진 부족으로 인한 인명 피해' 를 그 사례로 들고 있다.


한국의 현재 의료진의 수는 부족하나 인구밀도 자체가 높음으로 인해 마치 의료진의 수가 충분하다고 느껴지는 '착시 현상'을 느끼고 있다. 전문 의료진의 확충은 이루어져야 한다. 단 이것이 과잉 경쟁을 불러일으키는 잣대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도 마련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의대 쏠림 현상의 해소를 위해서는 의사 수 증원으로 보건 인력 공급 확대, 이공계 진학에 따른 심리적 재정적 지원과 보상을 확대, 충족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것이 대표적인 해결 방안으로 꼽히고 있으나, 이마저도 단기간에 추진될 수 있는 방향이 아님에 따라 현 상황의 지속성에 대해서는 확답을 내릴 수가 없는 실정이다. 


사회적으로도 민감한 주제인 만큼 신중한 접근과 해결 방안에 대해 지속적인 고민 또한 필요하겠으나, 점차 고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국내의 상황으로써는 직업의 다양성 보호와 고른 인재 양성을 위해서라도 현 상황에 대하여 꾸준한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여실히 드러난다. 아울러 오늘날의 '의대 쏠림 현상'은 실질적인 대책의 적용이나 정책 실행을 위한 관심,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같이 범사회적인 노력을 요구하는 문제임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2기 이래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99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3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637
'부산행', 왜 변칙행? 1 file 2016.07.25 강하윤 17657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20114
'바나나맛' 열전,바나나에 반한 식품업계 2 file 2016.05.25 이나현 16495
'미성년자 술,담배 극성, 판매금지 물품 구매 원천은 어디에?' 3 file 2017.09.28 이혜성 19761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133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293
'런던 테러' 배후에 선 IS file 2017.03.24 류혜돈 11001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575
'독서실', '스터디카페' 코로나19 방역 거대 구멍 1 file 2020.03.31 박지훈 16952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1241
'대통령 탄핵 절대 안돼'... 휘몰아치는 탄핵심판 속 보수의 목소리를 들어보다 4 file 2017.02.22 조윤수 15989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674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853
'다사다난'했던 2017년, 가장 '빛났던' 청와대 청원 게시판 2 2018.01.02 전세연 11995
'낙태죄 폐지', 우리는 여성의 인권을 쟁취한다 2 file 2018.07.25 양성민 9909
'김제동 만민공동회'와 13차 울산시민대회의 횃불행진 2 file 2017.02.12 서상겸 16023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822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046
'금모으기 운동'은 어떤 운동이었을까? 1 file 2019.01.21 강민성 15720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12359
'구지가'로 불거진 논란, 교권침해인가 성희롱인가 file 2018.07.24 최가영 11162
'구멍뚫린' 지역주택조합 file 2017.02.24 박다혜 14521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작지만 큰 배려 1 file 2020.07.27 이도현 9101
'강제징용' 일본의 뻔뻔한 태도 2020.06.10 조은우 8623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3205
'ㅇㅇㅇ' 열풍 그 끝은 어디? 5 file 2017.02.25 이다민 16167
'SNS'라는 가면 1 file 2019.03.05 김성철 25931
'n번방' 들어가기만 해도 처벌받는 개정안 추진 중 1 file 2020.03.31 전아린 11945
'Be 정상회담' 청소년이 정책의 한가운데 서는 시간 file 2017.11.01 오주연 13416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14615
'5·18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 거리로 나온 시민들 file 2019.03.04 김사랑 10058
''우리는 요구합니다'', 스쿨미투 집회 1 file 2019.02.21 안예슬 10524
"함께 손잡고 정의를 되찾자" 삼일절 맞아 서울서 한일합의 무효집회 열려 6 file 2016.03.02 박채원 17994
"학생증 들고 왔다면 돌아가세요"...학생증 신분증으로 인정 안 한 가수 1 file 2023.09.30 이종혁 7701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3 file 2017.03.11 한지선 13391
"풀 오브 카풀(Full of Carpool)"? 카풀과 택시의 대립 1 file 2018.10.29 김지민 11465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2722
"중국은 조금이라도 작아질 수 없다" 빅토리아,페이까지...대체 왜? file 2016.07.24 박소윤 18355
"정인아 미안해..." 뒤에 숨겨진 죽음으로만 바뀌는 사회 1 file 2021.01.27 노혁진 8803
"자녀 2명 놔두고..." LG디스플레이 직원, 직장괴롭힘 때문에 자살했나 file 2023.05.21 디지털이슈팀 13622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1225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125
"우리는 동물 실험을 반대합니다!' 영국 국민들의 바뀌는 태도, 한국이 배워야 할 자세 file 2019.06.14 이채린 16415
"여주인님으로 모신다면.." 미성년자 상대 페이스북 변태행위 심각 15 file 2016.02.22 김현승 157186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425
"어르신, 노란조끼 왔어요~" 9 file 2016.02.20 김민지 18761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5160
"비타민씨! 남북 공동 번영을 부탁해" 2018.11.16 유하은 142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