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by 4기유승균기자 posted Feb 24, 2016 Views 232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약국이 모두 문을 닫은 늦은 새벽, 갑작스레 감기기운이 찾아든다던가 복통이 오더라도 쉽게 약품을 구할 수 없었다. 하지만 2012년 부터는 편의점에 의약품 코너가 생겨 24시간동안 운영하는 편의점에서 쉽게 이 약품들을 구할 수 있게 되었다. 3년동안 편의점에서 의약품이 판매되며, 감기가 유행 할 때, 독감이 유행 할 때, 여러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되어왔다.


KakaoTalk_20160221_203551014.jpg

#편의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안전상비의약품#

 이 제도가 시행된지 3년, 다시 편의점 의약품에 대해 이야기를 꺼내는것은 약품 판매과정에 있는 문제때문이다. 첫번째 문제는 의약품을 판매할때는 의약품에 대해 편의점 직원이 직접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편의점 직원이 전문적으로 의약품에 대해 알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물론,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편의점 직원이 의약품 설명을 한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하지만 편의점에서 다루는 의약품은 소화불량,두통, 감기 등 간단한 증상에 관한 약이 대부분이다. 사실 이런 약품들은 편의점에서 단기간의 교육만 받아도 충분히 편의점 직원이 설명해 줄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제도가 여전히 있어 편의점 알바생들은 약품에 관한 질문을 받더라도, 뒷면에 있는 설명을 읽어보라고 할 수 밖에 없다. KakaoTalk_20160221_203550251.jpg

#모 제약회사 제품의 뒷면#

 하지만 의약품 뒷면에 있는 설명을 읽더라도 문제가 여전하다. 가독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것이다. 앞면에 적혀져 있는 설명만으로는 정확한 약의 효능을 알기 어렵고, 뒷면에 적혀진 내용은 설명이 상당히 조잡하고, 작은글씨로 되어 있어 연로하신분들은 약의 효능을 제대로 알기조차 힘드실 수 있다.

 편의점 의약품의 판매방식에는 또다른 문제가 존재한다. 만 12세 미만의 아이들은 의약품을 구매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어린이 전용 의약품을 가져다 놓고도, 그것을 어린이가 구매할 수 없다는 것은 상당히 모순적일 수 있다. 어린이또한  성인의 중재를 통해 의약품을 구매 할 수 있도록 한다던가, 몇가지 의약품에 한해서는 구매를 허가해주어야 할 것이다.

 3곳의 편의점을 방문해 각 시간대별로 6분의 직원분을 만나 몇가지 질문을 해 보았다. 그 6분께서 공통적으로 말씀해 주신 것은 편의점 의약품 판매에 이러한 제도가 판매에 불편을 준다고 말씀하셨다. 의약품에 대한 설명이 불가능하지만, 몇몇 손님분들은 의약품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기도 하고, 어린이가 심부름으로 약품을 구매하려 오는 등 여러 곤란한 상황이 생긴다고 해주셨다. 이러한 제도들이 안전장치의 역할을 해주긴 하지만, 그 안전장치가 대체 될 수 있다하면, 특히 그 안전장치가 오히려 불편함을 준다면 개선이 필요하지 않을까. 편의점 직원들에게 의약품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거나 메뉴얼을 제작하는 등의 대책을 통해 불편한 안전장치를 걷어내야 한다고 생각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3기 유승균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조해원기자 2016.02.24 23:45
    의약품 판매시 전문지식을 갖출 수 있도록 시급한 해결책이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 ?
    3기 2016.02.25 01:27
    과연 편의점에서 의약품을 팔아도 되는가에서 부터 의문이 생기네요. 약국을 이용하기 힘든 상황이 있을 수 있지만, 편의점에서 약을 사다 복용한다면 좀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을테니.. 걱정이 되는 문제네요.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5 10:20
    약국이 문을 닫았는데 약이 급하게 필요할 때 유용할 것 같아요. 그러나 모든 일에는 장단점과 문제점이 있으니 해결방안을 마련했으면 좋겟어요!
  • ?
    3기최호진기자 2016.02.25 16:21
    항상 편리하게만 생각하고 이용하였는데 이런 문제점이 있을거라고 생각해보지 못했네요.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6.02.25 17:17
    약국이 닫았을 때 약이 필요하다면 편의점에서 상비약을 준비해놓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약 뒤에 설명서만 보고 구입했을 때는 문제점이 많이 생길 수 있으니 편의점에 이런 의약품에 대해 잘 숙지해놓은 사람만이 약을 팔 수 있다는 등 편의점 안에서도 작은 규정을 만들어놔야 될것 같아요 약으로 인한 부작용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5 17:57
    편의점 직원은 대다수가 아르바이트생일텐데, 그 분야의 전문지식까지 요구하다니. 약은 약국에서만 판매하는게 옳은것같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지율기자 2016.02.25 18:53
    약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다면, 약국에 가거나 인터넷으로 미리 알아보고 와서 사는 것이 맞는 것 같네요. 편의점 알바생에게 그런 전문지식을 요구한다는 것 자체가 아니라고 봅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목예랑기자 2016.02.25 19:24
    자신에게 맞지 않는 약을 복용했을 때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는데 약국에서만 약을 파는게 맞다고 생각되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9 22:39
    저는 약국이 문을 닫았을 때를 대비해서 편의점 한편에 비상약을 마련해 놓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대신 손이 많이 가더라도 의약품의 사용설명을 자세하게 써서 붙여놓던지, 편의점에서 일하는 직원들에게 자세하게 교육을 하는 것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00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91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164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7424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10513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857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848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10514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8021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8248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2021.09.30 김희수 12040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816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737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252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811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7362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9782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329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6089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774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968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394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7944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998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10560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9076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14133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14386
시진핑, 장기집권의 길을 열다: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3번째 '역사결의' file 2021.11.22 황호영 9934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6920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7440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798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8151
윤 후보, 홍대거리를 순찰하며 현 경찰제도에 대해 논의 file 2021.12.08 이승열 11537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623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605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8772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475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932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630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492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636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598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7350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6217
정부, 2022 신년 특별사면 단행… 박근혜 전 대통령 포함 3,094명 대상 file 2022.01.07 이지은 28735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7505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776
尹,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 발표, 여가부는 어떻게 지금에 이르렀나 file 2022.01.20 고대현 45379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50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