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플라스틱 해양 오염, 해답은 무엇일까

by 22기이래경기자 posted May 11, 2023 Views 695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0422_232940453.jpg[이미지 제공=22기 정은비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팬데믹 이후 잠시 주춤했던 세계가 다시 활성화되며 호전을 보이던 환경 오염이 다시금 심화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와 더불어 가장 큰 문제로 손꼽히고 있는 플라스틱으로 인한 해양 오염을 해양 생물의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우리가 해양 오염을 가장 크게 실감할 수 있을 때는 해양생물의 개체수 저하 현상를 비롯한 종 다양성의 감소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었을 때다. 그 중에서도 고래는 세계인들에게 친숙한 동물로 주되게 언급되는 만큼, 해양오염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고 있는 동물 중 하나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고래의 종은 90여종이고, 이중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되어 국제사회의 관심과 해결 방안을 촉구하는 종은 대왕고래, 향유고래, 흰긴수염고래, 범고래를 비롯한 20여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포경은 거의 사라졌지만, 플라스틱 사용 과다, 화학용품의 사용, 유출 등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인해 해양오염으로 인한 폐사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8년, 2019년에는 해안가로 밀려온 향유고래의 사체에서 플라스틱 컵과 비닐봉지를 포함하여 천여 개가 넘는 쓰레기 조각이 발견되었으며, 2022년 기준 연구 결과에 따라 흰긴수염고래가 섭취하게 되는 미세플라스틱은 하루당 1000만 개에 달한다고 한다.


플라스틱 문제를 포함한 해양 오염으로 인한 해양 생물의 피해는 비단 고래의 사례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산호 군락은 뒤덮인 비닐로 인해 백화 현상을 입어 바다의 산성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플라스틱이나 폐그물 등 먹이로 오인하여 폐물들을 섭취해 죽음에 이르는 해양생물이 매년 해안에서 발견된다. 또한 전체 바닷새의 90%, 바다거북의 52%가 플라스틱 섭취의 문제에서 보호받지 못한다.  


플라스틱은 해양 쓰레기 중에서도 80%를 차지한다. 해양환경정보포털이 제공하는 국가해안쓰레기 통계에 따르면, 2022년 대한민국의 동, 서, 남해연안에서 추산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개수는 165, 876개였으며, 무게는 2, 136.7kg에 달했다. 이렇게 대한민국의 해안에서 발견된 플라스틱 쓰레기의 양만 분석해도 굉장히 많은 수인데, 전 세계적으로 그 범위를 확장시켰을 때 이 문제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것이다.


해양 생물뿐만 아니라 인간 또한 플라스틱의 섭취 문제에서의 예외는 아니다. 우리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축하고 환경이 보존되는 미래를 향한 고민을 비롯한 적극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이상 플라스틱으로 인한 문제를 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해양 오염과 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내고, 보다 현명한 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존재는 인간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혜택을 누리고 문화생활의 즐거움을 만끽하는 것은 인간에게 주어진 자유지만, 우리의 행동으로 인한 잘못된 현상을 바로잡고 인간의 활동으로 피해를 입은 생물들과 자연환경을 보호할 책임감을 다할 의무 또한 세계인들의 손 위에 쥐여졌음을 깨달아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2기 이래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41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30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200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473
[현장취재]25개국 90가지 음식을 맛볼수 있는 행사, '제 7회 성북세계음식축제' 2 file 2015.05.17 박성은 24923
[단독]대구황산테러사건 '태완이법' 4월 임시국회 통과 불발 1 file 2015.05.06 김종담 26478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300
[단독]탈핵을 위한 청소년들의 9박 10일간의 일주, 성공리에 마쳐 2 file 2015.04.30 김종담 25921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885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327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569
손목만 잡아 당긴 것은 성추행인가 file 2015.03.19 김동욱 31815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642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916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378
저렴한 가격에 교복사고 사랑을 나눠요! 3 file 2015.02.26 김민주 32547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1 file 2015.02.26 신정은 27123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30051
[취재파일]대구황산테러사건 16년, 그리고 태완이법 file 2015.02.25 김종담 35888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822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2 file 2015.02.23 김다윤 32860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538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1242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936
[현장취재] 고등학생, 미래를 거닐다. 2015 YDMC 전공탐색의 날 열려...... 1 file 2015.02.07 최재원 27511
[현장취재] 서울의 관광안내소는 오늘도 움직인다 8 file 2015.02.07 최윤정 30554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188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936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449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225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916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950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538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544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642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253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792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474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32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726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254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854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886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457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835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37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22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36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393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385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3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