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부산 오피스텔 돌려차기 사건...가해자는 전과 18범이었다

by 22기김진원기자 posted Apr 26, 2023 Views 147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0414_180305361.jpg

[이미지 제공= 작가 기저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해 5월 22일, 여성 A씨는 귀가를 위해 부산의 E 오피스텔의 엘리베이터 앞에 서있었다. 그때 10분 전부터 150m 가량을 따라온 남성 B씨는 A씨의 후두부를 향해 돌려차기를 하였고, A씨가 쓰러진 후 얕은 움직임을 보이자 B씨는 다시 A씨의 머리를 4회 더 밟아 기절을 시켰다. 그 후 B씨는 A씨의 머리를 한 차례 더 짓밟은 후 A씨를 어깨에 둘러메어 CCTV 사각지대인 1층 복도로 끌고 가 입간판 뒤에 A씨를 위치 시켰다. 그 후 7~8분 간 CCTV엔 아무 장면도 찍히지 않았고 그 후 B씨가 오피스텔을 빠져나가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피해 여성 A씨를 처음 발견한 입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주변에 소변과 혈흔이 있었고 바지 지퍼와 바지가 내려가 있었으며, 속옷은 오른쪽 종아리에 걸쳐 있던 상태로 보아 처음에는 흡사 어딘가에 머리를 찧은 취객으로 보였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A씨는 16주 이상의 입원 치료가 필요한 외상성 두개 내출혈, 두피의 열린 상처, 뇌 손상, 영구 마비가 우려되는 우측 발목의 폐용 상태의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 꾸준한 병원 치료를 통해 기적처럼 1개월 후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지만, 영구적인 정신적 피해와 심각한 기억력 감퇴, 트라우마 등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겼다.


가해 남성 B씨는 이미 폭행과 성매매 등의 혐의를 가졌던 전과 18범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이 일어난 시점도 B씨가 출소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


그렇다면 이 사건으로 B씨는 신상 공개가 되었을까? 놀랍게도 그렇지 않았다. 경찰청에서 A씨에게 보내온 이유로는 이미 피의자에서 피고인으로 넘어가 신상 공개가 안된다고 밝혔다. 특수 강력 범죄 법에 따르면 신상 공개 대상을 '피의자' 로 명시를 해두었으며 어디까지나 법률 규정이 '할 수 있다.' 로 명시가 되어있어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없지만, 어딘가 아쉬운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가해자의 신상 공개에 관한 논쟁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2022년 10월 28일, 마침내 1심 재판이 종료되고 선고 결과가 나왔다. 법원에선 B씨의 살인 미수 혐의를 인정하였지만 검찰에서 구형한 징역 20년보다 무려 8년이 감형된 징역 12년을 선고 받았다. B씨가 그간 제출했던 반성문이 판결에 영향을 준 것이다. 하지만 이 반성문들을 살펴보면 반성이 아닌 변명의 뉘앙스를 띈다는 말이 오가고 있다.

                                                  rdr.jpg

[이미지 제공= 작가 기저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는 피의자가 제출한 반성문의 일부이다. 자신의 범죄 혐의는 반성하지만 징역 12년은 너무 과하다는 말이 중점적으로 쓰여있어 반성이 아닌 건의나 항의의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드는 듯하다. 심지어 같은 구치소 동기에게 자신은 A씨의 주소와 주민등록번호를 아니 찾아가서 죽여버리겠다는 말을 했단 사실도 밝혀졌다.


피해 여성 A씨는 이 반성문들을 보고 "계속 자신의 말을 왜 안 들어 주냐며 자기가 범죄자고 검사가 여자고 하며 살인 미수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한다. 이 모든 반성문들이 전부 헛소리로 보인다."는 말을 남겼다.


지금 현재 이 사건에 대한 2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4월 19일에 진행된 2심 재판에선 이 사건에 대한 성범죄 여부 등을 다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과연 2심 재판에서도 피해자가 인정하지 않은 반성문을 재판 결과에 반영할 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듯 하다.


A씨는 기적처럼 살아남았다고 하여 현재 '작가 기저귀' 라는 계정을 운영하고 있고, B씨의 중형 및 신상 공개를 위해 힘쓰고 있는 중이다. 그것 뿐만이 아닌 제 2차, 제 3차 범죄 피해자를 위해서도 힘든 싸움을 하고 있다. 이것은 A씨가 살아남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금이라도 반성문 제도, 신상 공개 제도 등을 손 보지 않으면 앞으로도 영원히 피해자들은 또 다시 대한민국 사회에서 좌절할 가능성이 높다. 피해자가 직접 발로 뛰며 사회를 향해 손을 뻗을 때 우리 사회가 그 손을 잡아줘야 하지 않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김진원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27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6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894
의학적 홀로코스트, 코로나19 위기에 빠진 한국을 구해줄 K 방역 1 file 2021.01.18 김나희 9829
양산 폐교회 건물 인근에서 훼손된 사체 발견 file 2021.01.11 오경언 12644
문 대통령 "백신 접종 염려 사실 아니니 국민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시오" 1 file 2021.01.11 백효정 8805
온두라스, 한 달 기간에 두 번 잇따른 허리케인으로 인해 "초비상 상태" file 2020.12.31 장예원 9236
김치가 중국에서 만든 거라고? 1 file 2020.12.30 김자영 10107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8646
중국의 아픈 곳을 건드린 호주 왜 그랬는가 file 2020.12.28 김광현 10873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10676
안철수, 서울시장 출마 결심 file 2020.12.28 명수지 7579
‘코로나19’ 시대 속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이 된 배경은? 1 file 2020.12.24 정예람 17953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8993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억지뿐인 결과 뒤집기 2020.12.23 김하영 7919
70% 더 빨라진 전파력,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 file 2020.12.22 박수영 7791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766
LG에너지솔루션, 엘앤에프와 1조원대 공급계약 체결 후 테슬라와도 `NCMA 양극재 배터리' 계약체결 2020.12.21 송성준 11937
"동해 vs. 일본해" IHO, 동해의 새로운 표기 방법은 이제부터 고유 식별 번호 file 2020.12.15 장예원 12385
영국 노딜 브렉시트와 유럽 회의주의의 파장 file 2020.12.15 박성재 12922
제약 산업에 대한 가격 규제, 누구를 위한 것인가? 2020.12.10 전민영 9188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8768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14411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우리는 가장 심각한 상황을 극복했다" 2 file 2020.12.01 김민수 9318
조 바이든, 공식적으로 정권 인수 착수 1 file 2020.11.30 차예원 10846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392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446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366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088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462
미국 대선의 끝은 어디인가? 1 file 2020.11.25 심승희 9596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7543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20291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335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318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12804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11576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7910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8109
GDP 추정치로 알아본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타격, 어느 정도인가? 1 file 2020.11.23 김광현 9192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8862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8081
선거인단, 그게 무엇일까? 2 file 2020.11.19 김나희 10007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 file 2020.11.19 임윤재 7870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520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8063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9018
빌 게이츠의 꿈, 원자력 발전소로 이룬다 file 2020.11.17 최준서 12378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562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834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