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기자수첩] 부산 오피스텔 돌려차기 사건...가해자는 전과 18범이었다

by 22기김진원기자 posted Apr 26, 2023 Views 146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0414_180305361.jpg

[이미지 제공= 작가 기저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해 5월 22일, 여성 A씨는 귀가를 위해 부산의 E 오피스텔의 엘리베이터 앞에 서있었다. 그때 10분 전부터 150m 가량을 따라온 남성 B씨는 A씨의 후두부를 향해 돌려차기를 하였고, A씨가 쓰러진 후 얕은 움직임을 보이자 B씨는 다시 A씨의 머리를 4회 더 밟아 기절을 시켰다. 그 후 B씨는 A씨의 머리를 한 차례 더 짓밟은 후 A씨를 어깨에 둘러메어 CCTV 사각지대인 1층 복도로 끌고 가 입간판 뒤에 A씨를 위치 시켰다. 그 후 7~8분 간 CCTV엔 아무 장면도 찍히지 않았고 그 후 B씨가 오피스텔을 빠져나가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피해 여성 A씨를 처음 발견한 입주민의 증언에 따르면 주변에 소변과 혈흔이 있었고 바지 지퍼와 바지가 내려가 있었으며, 속옷은 오른쪽 종아리에 걸쳐 있던 상태로 보아 처음에는 흡사 어딘가에 머리를 찧은 취객으로 보였다고 한다.


이 사건으로 인하여 A씨는 16주 이상의 입원 치료가 필요한 외상성 두개 내출혈, 두피의 열린 상처, 뇌 손상, 영구 마비가 우려되는 우측 발목의 폐용 상태의 피해를 입었다. 다행히 꾸준한 병원 치료를 통해 기적처럼 1개월 후 다시 걸을 수 있게 되었지만, 영구적인 정신적 피해와 심각한 기억력 감퇴, 트라우마 등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생겼다.


가해 남성 B씨는 이미 폭행과 성매매 등의 혐의를 가졌던 전과 18범이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이 사건이 일어난 시점도 B씨가 출소 후 3개월이 지난 시점이었다.


그렇다면 이 사건으로 B씨는 신상 공개가 되었을까? 놀랍게도 그렇지 않았다. 경찰청에서 A씨에게 보내온 이유로는 이미 피의자에서 피고인으로 넘어가 신상 공개가 안된다고 밝혔다. 특수 강력 범죄 법에 따르면 신상 공개 대상을 '피의자' 로 명시를 해두었으며 어디까지나 법률 규정이 '할 수 있다.' 로 명시가 되어있어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없지만, 어딘가 아쉬운 부분이 없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가해자의 신상 공개에 관한 논쟁은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2022년 10월 28일, 마침내 1심 재판이 종료되고 선고 결과가 나왔다. 법원에선 B씨의 살인 미수 혐의를 인정하였지만 검찰에서 구형한 징역 20년보다 무려 8년이 감형된 징역 12년을 선고 받았다. B씨가 그간 제출했던 반성문이 판결에 영향을 준 것이다. 하지만 이 반성문들을 살펴보면 반성이 아닌 변명의 뉘앙스를 띈다는 말이 오가고 있다.

                                                  rdr.jpg

[이미지 제공= 작가 기저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는 피의자가 제출한 반성문의 일부이다. 자신의 범죄 혐의는 반성하지만 징역 12년은 너무 과하다는 말이 중점적으로 쓰여있어 반성이 아닌 건의나 항의의 느낌이 더욱 강하게 드는 듯하다. 심지어 같은 구치소 동기에게 자신은 A씨의 주소와 주민등록번호를 아니 찾아가서 죽여버리겠다는 말을 했단 사실도 밝혀졌다.


피해 여성 A씨는 이 반성문들을 보고 "계속 자신의 말을 왜 안 들어 주냐며 자기가 범죄자고 검사가 여자고 하며 살인 미수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한다. 이 모든 반성문들이 전부 헛소리로 보인다."는 말을 남겼다.


지금 현재 이 사건에 대한 2심 재판이 진행 중이다. 4월 19일에 진행된 2심 재판에선 이 사건에 대한 성범죄 여부 등을 다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과연 2심 재판에서도 피해자가 인정하지 않은 반성문을 재판 결과에 반영할 지에 대해 관심을 가져야 할 듯 하다.


A씨는 기적처럼 살아남았다고 하여 현재 '작가 기저귀' 라는 계정을 운영하고 있고, B씨의 중형 및 신상 공개를 위해 힘쓰고 있는 중이다. 그것 뿐만이 아닌 제 2차, 제 3차 범죄 피해자를 위해서도 힘든 싸움을 하고 있다. 이것은 A씨가 살아남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지금이라도 반성문 제도, 신상 공개 제도 등을 손 보지 않으면 앞으로도 영원히 피해자들은 또 다시 대한민국 사회에서 좌절할 가능성이 높다. 피해자가 직접 발로 뛰며 사회를 향해 손을 뻗을 때 우리 사회가 그 손을 잡아줘야 하지 않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김진원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9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65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452
소년 범죄 양형 세졌다...법원, 학교폭력 일삼은 여중생 3명에 징역형 file 2023.10.01 이서진 6620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619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616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614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567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562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540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535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531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474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452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443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442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407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394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375
올바른 게임 문화 이해를 위한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실시 file 2022.09.02 이지원 6363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354
[기자수첩] 유치 결정까지 100일...부산 엑스포는 유치될 수 있을까 file 2023.08.22 김휘진 6277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27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274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252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6239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231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6221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211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208
[기자수첩] 챗GPT에 높아지는 관심...직접 써보니 2 file 2023.05.06 이성재 618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184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159
[기자수첩] 들끓는 강력 범죄...‘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해야 file 2023.09.22 오다연 6156
[기자수첩] 우리에게는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 file 2023.08.10 김하은 6137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122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088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070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6065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055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6047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027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019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009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6007
건국대, 학과 통폐합 강행에...문과대학 학생들 '반발' file 2024.05.06 김태홍 5980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5933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5927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5917
[기자수첩] 챗GPT, 금기할 것인가 활용할 것인가 file 2023.05.16 김시은 5873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58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