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응원하는 구단이 이기면 이자 오른다...'신한은행 프로야구 적금' 눈길

by 정해빈대학생기자 posted Apr 11, 2023 Views 54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신한은행 KBO.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해빈 대학생기자]


신한은행은 야구팬들을 위해 KBO 리그 적금을 출시했다. 2023 신한 KBO 리그 적금은 KBO 10개 구단 중에서 응원하는 구단을 선택하여 가입할 수 있다. 응원하는 구단이 이길 때마다 금리가 오르며 이는 80승까지 적용된다


가입 금액은 천원에서 50만원이고 만기 12개월 적금이다. 이는 신한 쏠(SOL)-신한은행 스마트폰 뱅킹 앱을 통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다. 또한 신한은행 쏠(SOL)의 콘텐츠 참여자에 대해 추가적으로 금리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신한은행은 2018년부터 KBO를 후원하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KBO 팬 미팅 IN 쏠라이브, ‘KBO 리그 40주년팝업 전시회, 올스타전 팬 투표 그리고 KBO 선수 NFT 발행 이벤트 등 KBO 팬들을 위해 함께 일했다. 그 중 특히 올스타전은 슈퍼레이스, 팬 미팅, 팬 페스트존 등을 통해 선수와 팬이 함께하는 축제로서 좋은 반응을 끌어냈다.


 41KBO 개막을 앞두고 출시된 이 적금 상품은 앞으로 더 많은 야구팬들의 관심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야구팬인 A씨는 “KBO 적금이 있다는 것을 KBO 인스타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고 우리 팀을 응원하는 마음으로 적금에 가입하게 되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KBO 예금과 적금 상품은 2018년부터 계속해서 출시한 바 있다.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의 중요성을 알려준다.


신한은행과 KBO의 이벤트 같은 스포츠 마케팅은 사람들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친숙하게 만드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팬들은 응원하는 팀을 후원하는 기업에 대해 동질감을 느끼며 기업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할 수 있다. 사람들에게 기업의 이미지를 친숙하게 만드는 것은 기업의 입장에서 굉장히 중요한 일이다. 기업들은 야구와 같은 대중적인 스포츠를 통해 마케팅하는 것을 고려해볼 만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6기 대학생기자 정해빈]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57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4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357
서울여중, 활기 찬 봄의 향연 속 백일장/사생대회 실시 1 file 2015.05.21 변유진 29475
[현장취재]25개국 90가지 음식을 맛볼수 있는 행사, '제 7회 성북세계음식축제' 2 file 2015.05.17 박성은 24923
[단독]대구황산테러사건 '태완이법' 4월 임시국회 통과 불발 1 file 2015.05.06 김종담 26479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301
[단독]탈핵을 위한 청소년들의 9박 10일간의 일주, 성공리에 마쳐 2 file 2015.04.30 김종담 25922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885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327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570
손목만 잡아 당긴 것은 성추행인가 file 2015.03.19 김동욱 31817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643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921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378
저렴한 가격에 교복사고 사랑을 나눠요! 3 file 2015.02.26 김민주 32551
반려동물에서 한순간에 유기동물로..대한민국 유기동물의 현주소 1 file 2015.02.26 신정은 27123
졸업식 현장 그곳을 취재하다. 2 file 2015.02.26 이도경 30053
[취재파일]대구황산테러사건 16년, 그리고 태완이법 file 2015.02.25 김종담 35890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826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2 file 2015.02.23 김다윤 32860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541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1245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939
[현장취재] 고등학생, 미래를 거닐다. 2015 YDMC 전공탐색의 날 열려...... 1 file 2015.02.07 최재원 27513
[현장취재] 서울의 관광안내소는 오늘도 움직인다 8 file 2015.02.07 최윤정 30555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194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938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451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225
과연 9시등교 좋은 것일까 안 좋은것일까? 2 2014.09.27 김민성 26918
9시 등교, 갈등의 기로에 있지만 보안한다면 최고의 효과 2014.09.25 김신형 26950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541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548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644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256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792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5 이지원 26475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432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727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255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856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888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458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837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373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228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367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396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388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37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