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서울 바이브' 전시, 서울의 역설적인 분위기를 담다

by 유영진대학생기자 posted Mar 22, 2023 Views 931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jpeg-optimizer_jpeg-optimizer_jpeg-optimizer_IMG_4057.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유영진 대학생기자]


서울의 역설적인 분위기를 담아낸 전시회 <서울 바이브>가 갤러리광화에서 진행 중이다. 이 전시회는 미디어 아트 체험형 전시회로, 작품과 관객의 구분을 없애 스스로가 작품이 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전시회와 차이가 있다.


전시회는 2층에서 시작하며, 티켓에 있는 바코드를 사용해 작품을 체험할 수 있다. 들어가자마자 보이는 리더기에 바코드를 대면 사주를 볼 수 있고, 더 들어가면 작품 속에 자신의 모습이 나와 사진을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Seoul Vibe AR> 어플을 통해 갤러리 곳곳에 숨어있는 AR 마커를 모두 찾으면 기념품을 받을 수 있다.


1층은 미디어 아트 케이브에서 서울 속 다양한 감성을 영상으로 시청할 수 있다. 장르는 <서울 이야기>, <신화>, <도시> 등 총 15개의 영상을 감상할 수 있다. 각 영상은 2~3분이 소요되며, 영상 속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모두 다르면서도 명확하게 전달된다. 또한 여러 개의 빔프로젝트가 다양한 구도로 송출되고 있어 같은 작품이더라도 화면마다 모두 다른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서울 바이브>의 체험형 아트는 서울의 감성을 제공할 뿐이고 결국 그 공간에 살고 있는 것은 '우리'라는 것을 알려준다. 우리는 서울의 '바이브'를 만들면서도 그 '바이브' 안에서 살아가고 있다. <서울 바이브>에서는 서울 곳곳에서 느끼던 분위기를 다시 상기시키고 그 분위기 속에서 어떤 것을 잊어왔는지 생각하게 한다. 


이 전시회는 관객이 서울의 분위기를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서 다양한 메시지가 생성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서울 바이브> 전시회는 작품과 관객이 함께 만드는 전시회다.


   jpeg-optimizer_jpeg-optimizer_IMG_4018.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유영진 대학생기자]


<서울 바이브전시회는 서울의 역설적인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서울은 분위기가 차가우면서 따뜻한 면이 있다길거리는 불규칙해 보이지만 나름의 규칙이 담겨있고사람들은 불안하고 초조하지만 차분함을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서울 바이브> 이러한 역설적인 분위기를 날카롭게 꼬집어낸다. 빠른 변화로 만들어진 지금의 서울은 과거에 보이지 않았던 개인주의가 만연하면서 차갑고, 불안하고, 불규칙해졌다. 하지만 작품을 통해 따뜻함, 차분함, 규칙을 추구해야 함을 깨달을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대학생기자 유영진]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68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86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1185
편지에 고마움을 담아요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file 2021.04.01 정예인 14307
평내고, 하늘은 흐림 운동장은 밝음 file 2014.10.19 박채영 32758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20330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8795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5392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7173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6247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5037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5963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484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5703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338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834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7206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042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5139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5802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5537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7039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6454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6339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7218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5467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6677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9341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6407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5527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3864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827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6051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8715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4961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2030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5687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7864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3574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1565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6259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4674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4537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7848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3438
포켓몬 고, 성공 비결은 캐릭터? 13 file 2017.02.11 장서연 17856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8861
포포페스타서 열린 영등포사회복지관의 '아동 놀권리' 캠페인 file 2023.11.24 조혜영 7302
포항 지진에 수능 연기…재난·재해 인한 연기는 처음 (2보) 2 file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5658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19891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81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