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對(대하다)北제재 아닌 對(대화하다)北을 향한 길

by 3기김선아기자 posted Feb 24, 2016 Views 2112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219-810 강원 고성군 현내면 통일전망대로 369 (송현리, DMZ박물관)

P20150816_174235773_BE34B5E6-863E-493F-BA07-835AB241D63D.JPG

강원 고성군 DMZ 박물관 앞에 위치한 대북 전광판과 대북 확성기

   16일 북한의 제4차 핵실험과 27일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호' 발사와 같은 북한의 연이은 도발로 한반도 내뿐만이 아닌 전 세계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우리의 대북방송에 맞대응하는 북한의 대남방송이 시작되면서 접경지역의 주민들이 소음으로 인한 피해를 받는 사례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에 대북 전단, 대북 방송 등의 대북제재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커졌다.

    

 

   남한의 대북 제재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가장 오래 전부터 사용한 대북 전단, 일명 삐라가 있다. 대북 전단에는 현재 북한 정권 체재에 대한 비판과 민주주의의 우월성 등에 관한 내용이 담겨있다. 또 대북 확성기, 즉 대형의 스피커를 이용해 인근 북한의 주민들에게 남한의 뉴스, 음악, 날씨 등을 방송하는 대북 방송이 있고, 이외에도 대형 전광판을 이용해 빛으로 방송을 하는 대북 전광판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최근 북한의 대남 전단으로 인해 민간인의 차량에 피해가 발생하였고, 그것을 계기로 대북 전광판과 대북 전단 등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처럼 우리들의 대북제재(對北制裁)는 북한을 방어의 대상으로 보고 그들의 도발에 대한 맞대응을 하는 체제이다. 지난여름 일어난 목함 지뢰 사건으로도 남측은 대북확성기 방송을 시행했었고, 이에 남과 북은 판문점에서 고위급 회담을 가졌었다. 그렇다면 우리는 對北制裁대응하다대답하다또는 대화하다로 그 용도와 목적을 바꿀 수는 없는 것일까?

 

 

   청소년 (, 고등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대북제재와 통일에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통일은 불가능하다라고 답한 학생이 54%였다. 이들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까닭에 대한 답변으로는 남한과 북한의 정치적, 문화적 성향이 너무 달라서라는 답변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인식은 틀린 말이 아니다. 오랜 시간 떨어져 다른 문화와 체계를 가지고 살아온 우리들은 어쩌면 평화적으로 통합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하지만 대북 방송이나 전단 등으로 북한 주민들의 인식을 변화시킬 수 있을 것 같다라고 63%의 학생이 답변을 했다. 이로 보아, 우리가 대북제재의 방향을 조금만 바꾼다면, 예를 들어, 서로의 불만이나 고충을 해결 해결하려고 하는 내용을 포함한다면 대북전단 또는 대북방송을 통해 북한에 '대응'하는 것이 아닌 북한과 '대화'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시작은 어색하고 힘들지 몰라도,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체제를 변화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글=김선아,사진=김선아,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선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수빈기자 2016.02.24 17:29
    통일은 불가능하다는 의견이 54%라는 것에 엄청 충격을 받았네요. 북한과 대화가 가능한 시점이 빨리 왔으면 좋겠어요.
  • ?
    6기강예린기자 2016.02.24 20:19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5 10:30
    저는 유치원을 다녔을 때 통일에 대한 노래를 배우고 38선 앞에서 그 노래를 불렀던 기억이 있어요. 그런데 요즘 아이들은 통일에 대해 잘 배우지 않는다고 들었어요. 그래서인지 점점 더 남과 북이 멀어지는 것 같아요. 같은 역사적 배경을 둔 민족으로서 남북이 평화롭게 통일을 했으면 하고 바라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5 18:01
    북한이 조금만 더 자세를 낮추고 총을 내려놓는다면 평화적으로 통일을 하기가 더 쉬울텐데..하는 아쉬움이 크게 남네요.
  • ?
    3기목예랑기자 2016.02.28 11:20
    통일을 반대하는 사람이 많을 줄은 알았지만 이렇게 많을 줄은 몰랐네요...
    평화적으로 통일이 잘 된다면 좋을텐데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9 22:34
    저도 남과 북의 문제가 전쟁이 아닌 대화를 통해서 평화롭게 해결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요. 저는 통일을 바라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너무 적어서 놀랐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11 21:39
    아마도 학생분들은 요즈음 북한의 잦아진 도발을 생각하고 답변한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29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92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630
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와 고용노동부 처분 정당성 논란 file 2017.10.17 원종혁 12172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file 2018.10.15 이수지 10418
패류독소의 확산, 어민·소비자 모두 “빨간불” file 2018.04.10 이예은 15990
패스트푸드는 이제 안녕, 오늘부터는 슬로푸드 file 2019.06.07 이채은 13323
패스트푸드점에서도 지켜지지 않고 있는 도덕성 1 file 2016.03.25 장한나 17946
페루, 7.1의 강진 file 2018.01.22 임규빈 10279
페미니즘. 이제는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2 file 2018.11.28 백종욱 12941
페미니즘을 선언하자! 14 file 2017.11.14 배성연 11540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3369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1902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2427
페이스북, 러시아 간섭의 작은 증거 file 2018.02.25 전영은 10143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file 2018.11.08 김란경 425308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715
편의점 이제는 서비스 공간으로 6 file 2016.03.26 김준석 18554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9 file 2016.02.24 유승균 23026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7866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8995
평생 잊혀지지 않는 상처 file 2018.04.26 손어진 10980
평창이 낳은 스타 file 2018.03.06 김동현 12364
평택 평화의 소녀상, 힘과 마음을 합치면 하늘을 이긴다. 3 file 2017.03.24 장수임 11412
평화, 새로운 시작 2 file 2018.05.21 김혜민 11957
평화를 위한 한 걸음, 평화 기림상 건립 제막식 열려 1 file 2017.03.13 임수종 13327
평화실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2018.06.19 이민영 10438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1877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5751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6261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0893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7209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6963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3319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570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1786
포항 지진,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 file 2017.11.21 임소현 13519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3070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431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217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6903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282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7919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468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366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1278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236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1840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3010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215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09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