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by 이지원기자 posted Aug 12, 2022 Views 64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31017998_20220810095155_3626720657.jpg

[이미지 제공=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종서, 이하 생명보험재단)이 운영 11년 차를 맞은 ‘SOS생명의전화’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10일 공개했다.

생명보험재단이 201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SOS생명의전화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11년간 자살 위기 상담은 9050건 진행됐으며, 이 가운데 투신 직전의 자살 위기자를 구조한 건수는 1973명에 달한다.

SOS생명의전화는 극단적인 상황에 놓인 이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한강 교량에 설치된 상담 전화기다. 생명보험재단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20개 교량에 총 75대의 SOS생명의전화를 설치하고, 한국생명의전화와 함께 365일 24시간 전화상담을 운영하며 긴급상황이 감지되면 119 구조대 및 경찰과 연계해 생명 구조 작업을 진행한다.

중앙사고수습본부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에 따르면 팬데믹 이전인 2019년 3.2%이던 우울 위험군이 올 3월에는 18.5%까지 늘었다. 자살생각률은 11.5%로 코로나 이전(4.6%)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일부 심리 전문가는 코로나19가 엔데믹화하고, 거리 두기가 완화되면서 경제·사회적 변화에 따라가지 못한 이들은 전보다 더 심각한 우울감에 빠질 수 있고 자살 등 극단 선택을 하는 비율 역시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더불어 보건복지부 ‘2022 자살 예방백서’에 따르면 국내 수단별 자살자 수는 목맴(52.3%) 다음으로 추락(16.6%)이 가장 많은데, 특히 추락 자살 시도는 충동적·감정적으로 발생하기에 교량과 같은 시설물 관리 및 위기 상담 구조 체계 마련 등 선제 대응을 통한 위기 상황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생명보험재단은 삶의 갈림길에 선 소중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 SOS생명의전화를 운영하고 관계 기관과 협업해 자살 예방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SOS생명의전화 이용자 성별 살펴보면, 남성이 5155명(56.9%)으로 여성 3273명(36.2%)에 비해 1882명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2959명(32.7%), 10대 2609명(28.2%), 30대 585명(6.5%) 순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20대와 10대의 이용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상담 유형의 경우 친구 및 이성 교제, 직장 등 사회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대인관계 관련 상담이 2348건(20.7%)으로 가장 많았고 진로 및 학업 관련 고민 2126건(18.7%), 무력감·고독·외로움을 겪는 인생 관련 문제 1757건(15.5%)이 뒤를 이었다. SOS생명의전화를 가장 많이 찾는 시간대는 오후 6시부터 자정까지 4615건(51.2%)이었으며, SOS생명의전화로 위기 상담 전화가 가장 많이 걸려 온 곳은 마포대교가 5492건(60.7%)으로 가장 높았다.

한국생명의전화 하상훈 원장은 “코로나19가 엔데믹화하면서 모두 일상을 찾아가고 있는데 나만 힘든 것 아닌가 하는 상대적 박탈감으로 불안과 우울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며 “이는 극단적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SOS생명의전화 운영으로 위기에 처한 분들의 마음을 돌릴 수 있도록 생명보험재단과 함께 꾸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생명보험재단 이종서 이사장은 “생명보험재단은 국내 자살 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2011년부터 SOS생명의전화를 꾸준히 운영하며 자살 위기자에게 상담·구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최근 엔데믹을 겪으며 극도의 우울함과 절망감인 코로나 블랙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생명보험재단은 이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전문 기관과 연계해 자살 예방 체계 강화 및 생명 존중 문화를 확산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이지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34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69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026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496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8088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645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574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355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213
16차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1 file 2017.02.24 임지은 15994
16년만의 여소야대… 20대 국회는 과연? 3 file 2016.04.25 유진 16345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7361
140416 단원고..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2 2018.05.08 김지연 10395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732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588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10321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736
1270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 중 3 file 2017.02.23 김규리 15981
1268차 수요집회, 소녀상 곁을 지키는 사람들 3 file 2017.02.13 이윤영 15892
1219차 수요집회 열려…청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10 file 2016.02.25 박채원 18741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946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10164
10월 국산 소형 SUV 판매량, 1위는 누구? 2 file 2017.11.20 김홍렬 12938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file 2017.11.20 성유진 11423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679
10원과 50원짜리 동전, 이대로 괜찮은가 5 file 2018.08.24 강민규 13111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10025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3335
10년 만에 다시 재조명된 ‘장자연 사건’...청와대 국민청원 3위 기록 1 file 2019.04.05 안서경 13696
1020 정치참여, '젊은 정치' 가능할까? 10 file 2017.02.11 최은지 28456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954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770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10083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616
'호남 민심 잡기' 나선 야당 주자 문재인 4 file 2017.01.22 김다현 17800
'행정구역 쪼개기'로 불편함 겪는 위례신도시 하남 주민들 file 2016.05.25 최민지 17928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801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856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12269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594
'학교폭력 의혹' 서수진, 연예계 문 다시 두드린다 file 2023.10.21 이가빈 5623
'하얀 계란' 아직 생소하신가요? 14 file 2017.01.25 정수아 30064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529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11332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3157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9157
'트럼프 대학' 소송 2500만 달러로 서둘러 종결 1 file 2016.11.22 백재원 17978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1459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289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372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1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