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영유아에게 꿀을 먹이면 안되는 이유

by 김다혜대학생기자 posted May 10, 2022 Views 122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생후 12개월 미만의 아기에게 벌꿀을 먹이면 영아 보툴리누스증에 걸릴 수 있다.


영아 보툴리누스증이란 면역기능이 약한 영아에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보툴리누스균(Clostridium botulinum)’의 포자가 소화 기능이 발달하지 않은 영아의 장내에 살아남아 발아·증식하고 신경독소(neurotoxin)를 생성하는 식중독이다. 이러한 영아 보툴리누스증의 원인 중 하나가 벌꿀이다. 벌꿀은 꿀벌들이 꽃꿀, 수액 등을 채집해 벌집에 저장한 것이기 때문에 보툴리누스균에 오염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보툴리누스균은 홀씨를 형성하는 그람 양성의 혐기성 간균이다. 보툴리누스균의 독성은 200g만으로도 전 인류가 사멸할 수 있을 만큼 강하다고 전해진다


꿀꿀.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다혜 대학생기자]


생후 1년이 지나면 소화 기능이 발달하여 보툴리누스균이 증식하지 못하지만, 생후 12개월 미만의 아기의 장 내에서는 살아남기 때문에 위험하다.


보툴리누스증의 전조증상에는 변비, 행동 둔화, 체력 저하, 침 흘림이 있다. 이후, 머리를 가누는 능력이 떨어지면서 호흡곤란까지 발생하게 된다. 구토나 설사 같은 일반적인 식중독 증상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보툴리누스균 독소는 전염력이 없어 사람에서 사람으로의 전파는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졌다.


높은 온도로 끓이는 이유식에 넣는 건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은 매우 위험하다. 보툴리누스균 포자는 열에 매우 강하여 100도에서 6시간 이상 가열해야만 사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벌꿀 속 보툴리누스균 포자를 제거하긴 어려우므로 영아에게는 벌꿀을 주지 않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대학생기자 김다혜]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92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09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1657
충청북도, ‘2022년 충청북도 청소년 국제교류’ 사업 참가자 모집 file 2022.06.14 이지원 8958
충청북도 테마 제안 공모전 개최 1 file 2018.04.02 장서진 14787
충청남도청소년진흥원, ‘제2회 충청남도 미래세대 SDGs 발표대회' 성료 file 2022.11.09 이지원 8629
충청남도의 문화를 책임질 '충남도서관' 2018.08.23 오가람 14732
충청남도 청소년이 생각하는 충남의 인재란? file 2017.11.17 오세민 18381
충주 라이트월드, 당신의 눈을 매혹시킬 아름다운 빛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file 2018.07.11 정하영 17255
충전 방식의 변화와 이차전지, '슈퍼 커패시터'의 탄생 file 2017.09.26 최민영 16287
충북, 제72주년 광복절 경축행사 file 2017.08.17 허기범 14165
충북 청소년 노동인권캠프 ‘꽃보다 노동-지금보다 더 괜찮을 거야.’ 4 file 2016.02.24 곽도연 23062
충북 고등학생들의 72주년 광복절 행사 file 2017.08.17 김웅호 13467
충남, 과학愛(애) 빠지다 file 2018.10.24 유어진 23412
충남 '온라인 민주주의가 시작되다' file 2021.05.24 박희찬 13742
충격의 도쿄올림픽, 한국 야구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file 2021.08.09 이정훈 19785
춤을 추는 Palette file 2019.06.20 조하은 25889
출범한 지 한 달이 된 카카오뱅크 2 file 2017.09.13 박소연 15244
춘천청소년의 눈이 담긴 청소년영상제작교실, 그 교육의 과정을 검토하다 1 file 2017.08.16 임다안 23073
춘천을 주제로 한 시민 작품 전시 '틈새展' file 2023.06.13 이도연 7642
춘천시 학생회 연합 체육대회 개최! 2 file 2017.03.19 윤정민 14812
춘천, 여행 명소 파해치다 1 file 2022.05.09 김명현 9793
춘천 청소년들을 위한 '2016 청소년 독서 아카데미', 작가들을 만나다. file 2016.07.25 김은비 16344
춘천 번개 야시장! 2 file 2019.05.27 차윤진 19014
축제의 섬, 자라섬으로! file 2017.08.30 추지호 16006
축구의 판이 바뀌기 시작한다! 유러피안 슈퍼리그 창설 file 2021.04.21 전기혁 14475
축구를 향한 인천퍼펙FC선수단의 도전! file 2016.07.25 이강민 18077
축구를 넘어선 경쟁 : FC 바르셀로나와 레알 마드리드의 엘 클라시코 2018.04.11 김종원 18445
축구계의 갑신정변, 슈퍼리그 창설 계속되나? file 2021.08.09 이인황 18302
축구계에 부는 새로운 바람 2 file 2017.02.19 하재우 14986
축구 행정가들 여기 모여라! file 2016.10.23 한세빈 18965
축구 속 브렉시트 2016.07.26 김선기 19034
추운 겨울에 따스한 호주 여행기 1 file 2019.02.27 권세진 17014
추운 겨울날, 마음을 따듯하게 지펴줄 겨울영화 추천 1 file 2018.02.28 이예린 16039
추운 겨울, 고드름을 주의하세요! 2 2021.01.12 김성희 14479
추억의 음식, 46년 전통 빵집 4 file 2018.03.16 이시환 16489
추억을 따라 걷다, 도심 속 '추억의 거리' 1 file 2018.02.27 최금비 18703
추석에는 왜 송편을 먹을까? 4 file 2020.10.05 김성희 14552
추석 연휴에 갈린 시험 기간, 부담감 vs 부담감 5 file 2017.09.29 김종윤 18575
추석 연휴 뒤, '명절 증후군' 극복법 1 file 2016.09.17 김혜린 15883
추리소설의 기적,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3 file 2018.02.27 이예준 17350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4989
최종결정만을 앞두고 있는 '프로듀스101' 과연 데뷔의 영광은 누구에게? 2 file 2016.03.31 신재윤 18042
최저임금 해결사. 일자리 안정자금 3 file 2018.03.20 윤찬우 16092
최신 반도체 기술 선보여, 코엑스에서 열린 제22회 반도체대전(SEDEX 2020) 1 file 2020.11.04 김민주 16973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5863
최대의 게임 축제 '지스타' 그러나 '스트리머'들의 축제? file 2018.11.29 전여진 17398
촛불집회의 숨은 공신, 자원봉사자 6 file 2017.02.21 유림 16078
초콜릿은 사랑의 묘약? - 호르몬이 부리는 감정의 마법 1 file 2022.01.26 김상우 11138
초심잃은 기념일, 누구를 위한 것인가? 9 2017.02.21 김영은 17706
초미세 반도체 위한 신소재 합성에 성공... 실리콘 대체 가능성 증가 file 2021.12.27 한건호 125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