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개성공단은 재가동 되어야 한다

by 3기조민성기자 posted Feb 23, 2016 Views 147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0412월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안고 출발한 개성공단이, 지난 210일 남측 정부 지침 하에 전면 중단되었다. 통일을 향했던 모든 기대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되었다.

2000년 당시 김대중정부의 대북 화해 협력 정책 추진은, 남북정상회담과 6·15공동선언을 이뤄냄으로써 남북관계개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된다. 개성공단은 6·15공동선언 이후 남북교류협력의 하나로, 당시 최초의 경제적 교류이자 남북교류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몇일 전까지도 유일한 남북간의 장기적 경제교류였으며, 수 차례 남북관계가 긴장 상태였을 때도 포기하지 않았던 희망이었다.

이런 마지막 카드였음에도 불구하고, 개성공단에겐 여러 고난이 닥쳐왔다. 남한은 2008년 통일부 장관의 북핵 진전 없으면 공단 확대 어렵다발언 후 남측 당국자 철수 조치를 시작으로, 20095월 북한 2차 핵실험, 201011월 북한 연평도 포격, 201617일 북한 4차 핵실험 등을 연유로 개성공단의 정상적인 운영을 막았다. 그리곤 20134월 북한의 공단 내 근로자 철수 이후, 처음으로 전면중단조치를 취할 만큼 현 정부는 강경하게 대응했다.

이렇게까지 개성공단을 중단한 이유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였다. 남측 정부는 이에 대해 북측 개성공단 근로자들의 임금이 핵개발에 사용된 증거가 있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홍용표 통일부 장관은 여러 가지 경로를 봤을 때 북한근로자임금의 70%가 서기실, 39호실로 유입되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발언직후, 215일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긴급현안보고에서 무기개발에 사용된 구체적 확증 없이 우려만 있다란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켰다. 동시에 당일 국회 국방위 현안보고에선 한민구 국방장관도 군 당국은 개성공단 자금의 전용 증거 갖지 않고 있다.”는 발언을 했다. 확인되지 않은 우려로,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무너진 것이다.

개성공단의 가치는 지리적으로 보면, 남과 북의 지평선 중앙에 위치한 통일의 접점이다. 때문에 남북간 물류의 중심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금강산 관광과도 이어져 관광도시와 산업단지로도 충분히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에 남북통일의 장벽인 경제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대표적 방안인 것이다. 또한 개성공단의 조성을 이유로, 북측에선 개성에 위치했던 북측 군사시설들을 다른 지역으로 재배치하여 한반도 긴장완화에 도움을 줬다. 만일 개성공단이 영구폐쇄가 된다면 결국 군사적 대면도 가능성이 있다.

20ee8f01dab757c7a35886ab7c5ef06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조민성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현재 개성공단은 한국사드배치관련 논의에 묻혀 뒷전으로 밀려났다. 남과 북의 바둑에서 개성공단은 아직 미생이다. 이 돌을 폐석으로 둔다면 한반도에서의 통일은 더 멀어질 것이다. 완생은 재가동뿐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조민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김나림기자 2016.02.24 10:22
    개성공단이 남과 북을 이어줄 얼마 안되는 연결고리었는데 이것마저 중단되면 우리나라와 북한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개성공단도 다시 가동되면서 통일에 한발짝씩 나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램입니다..!!
  • ?
    4기장서윤기자 2016.02.24 16:04
    하루빨리 개성공단이 재가동되고 통일이 다가오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정현호기자 2016.02.24 21:11
    잘 읽었습니다. 개성공단마저 중단되다니 통일의 희망이 전혀 보이지를 않네요... 통일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지만 이러한 북한의 도발적인 태도는 강경히 대응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북이 핵을 포기해서 다시 개성공단도 재가동되고 통일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입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5 10:37
    남과 북이 빨리 타협점을 찾아 계속 교류를 하길 바라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5 18:23
    하루빨리 통일이 되었으면 좋겠는데, 개성공단이 중단되다니..참...앞이 캄캄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목예랑기자 2016.02.28 11:32
    어서 개성공단이 재가동되고 평화통일이 되길 바랍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9 22:24
    남과 북을 그나마 연결해 주고 있던 것이 개성공단이었는데, 개성공단이 중단되게 되면 남과 북을 연결해주던 것이 사라지게 되네요. 우리가 간절히 바라고 있는 통일이라는 글자가 점점 멀어지는 것 같아요. 개성공단이 다시 재가동되어 다시 남과 북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11 21:25
    개성공단이 다시 가동되기 위해서는 우리 정부의 노력이 절실하지만, 여기서 더 중요한 것은 개성공단을 가동시키기 위한 북한의 태도일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150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807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1684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624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254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313
문재인 정부의 대북 정책, '달빛 정책' file 2017.05.25 최서진 11287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386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397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464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8주기,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file 2017.05.25 임재우 12901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387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434
같은 하늘, 같은 시간, 다른 곳에서 2 2017.05.25 류지현 12987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631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135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0919
당연하게 된 사교육, 원인은? 3 file 2017.05.27 김혜원 14472
괘씸한 일본…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 file 2017.05.28 남희지 14102
문재인 시대, 새로운 외교부 장관 후보 강경화 3 2017.05.28 김유진 14020
강경화, 문대통령의 5대 인사원칙 무시하고 외교부장관 되나 file 2017.05.28 천세연 12039
5대 비리 고위공직 원천 배제 공약 위배 논란, 그것이 알고 싶다. file 2017.05.29 4기박소연기자 12049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482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195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502
새 정부의 5.18 4 file 2017.05.30 이주현 10633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055
선거 연령 하향의 효과와 우려 7 file 2017.05.31 김지민 26911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607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139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2949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1258
미국의 파리협약 탈퇴- 위기의 기후협정 file 2017.06.10 김민진 14435
런던 시민들의 분노가 폭발했다 3 file 2017.06.19 박형근 11207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584
한반도의 판도라의 상자, 고리 1호기의 영구폐로 3 file 2017.06.22 이빈 11203
6월 20일 세계 난민의 날 ? 난민들의 서글픈 현실 file 2017.06.23 노태인 10280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787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559
'오토 웜비어'의 사망 이후, 상반된 북미 반응 2 file 2017.06.24 이윤희 10800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268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3 file 2017.06.25 박유진 10797
공정한 취업의 신호탄, 블라인드제 1 file 2017.06.25 황현지 11785
논란의 정답은 외인사로 끝나지 않는다.; file 2017.06.25 김유진 8897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9903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통역 없는 접견'에 대한 엇갈린 반응 1 file 2017.06.26 이소영 10823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766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532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10338
외고 자사고 폐지,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3 2017.06.27 고은빈 11949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7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