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경제강대국 미국, 알고 보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

by 21기류채연기자 posted Nov 29, 2021 Views 1436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 시국 이전 우리 가족은 해외여행을 많이 다니곤 했다. 그중 내 마음을 뺏은 도시는 단언컨대 뉴욕이었으니 화려한 건물들로 둘러싸인 타임스퀘어를 명품 가방과 패셔너블한 옷을 입고 당당하게 걸어 다니던 뉴욕커들의 모습이 아직도 잊혀지 않는다. 이 매력적인 도시에 사로잡힌 나는 미국이란 국가 자체에 큰 관심을 갖게 되었고 미국에 대해 찾아보던 중 놀라운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많이들 경제강대국이라 부르는 미국은 전 세계에서 11번째로 부유한 나라인 동시에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나는 “그게 가능한 일인가?”하고 생각했다. 미국이 가장 부유하면서도 가난한 나라라 불리는 이유를 알아보자.

 

미국 지도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류채연기자]


첫 번째 이유는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빈부격차가 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빈부격차란 부유한 사람과 가난한 사람의 경제적 차이를 의미한다. 미국 내에서도 남부지역과 그 외 지역 간의 빈부격차가 극심하다. 몇십 년 전부터 이는 미국의 가장 큰 문제와 골칫덩어리였다. 안타깝게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빈부격차는 나날이 심해졌다. 1986년엔 국민의 하류층 90%가 부의 33%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2016년, 그들은 23%의 부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1%의 최상류층은 자기 재산을 30~40% 증진했다. 또한, CIA World Factbook 가 진행한 빈부격차에서 미국은 전체 150개국 중 자메이카, 페루, 카메룬 등 개발도상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40등을 했다. ‘Insider’는 미국의 상황을 보고 서부 주들은 인구 밀도가 낮아 빈부격차가 적은 반면 대부분의 빈부격차는 인구가 많은 남부 주들에서 발견되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는 남부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은 저소득층에서 고소득층으로 생활 수준을 높지 않아 하는 반면에 서부에 거주하고 있는 국민 사이에선 그런 경향이 보이기 때문에 빈부격차가 심하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정치 지리학자 리차드 모릴의 분석에 따르면 남부지역엔 소수 집단의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반면 서부 지역에는 게르만족과 스칸디나비안의 인구가 많기 때문에 극심한 빈부격차가 나타난다고 한다. 또,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가난하다고 한다. povertyusa.org의 조사에 따르면 12.9%의 여성이 가난에 살고 있을 때 10.9%의 남성만이 가난을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이 같은 현상은 취업률과 연관되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63.9%의 여성만 상근 근무를 하는 반면 76.8%의 남성들이 상근 근무를 하고 있다. 즉, 빈부격차와 가난은 성 불평등 문제와도 연관이 있다. 


미국이 이미 세계 경제 강대국임에도 불구하고 빈부격차에 신경 쓰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빈부격차가 미국의 기술 발전, 세계화, 노조 감소, 최저임금의 가치 붕괴를 막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요소 중 “위대한 개츠비 곡선"이 사회의 가장 큰 걱정이다. “위대한 개츠비 곡선”은 한 세대에서 부의 집중과 다음 세대의 경제적 단계 이동 능력 사이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잘 보여준다. 사회가 ‘위대한 개츠비 곡선'에 불안해하는 이유는 가난한 사람들의 교육과 건강 상태가 낮기 때문이다. 이런 빈곤층이 건강보험에 접근할 수 없는 황당한 현실로 인해 건강 문제, 행동 문제, 인지 문제로 이어진다. 의료 서비스를 사용하지 못해 오는 불이익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학교에 적응하는 능력을 악화시킬뿐더러 성인이 되어 안정적인 직업을 얻는 것을 불가피하게 만들어 대대손손 빈곤의 순환에 빠지게 한다. 게다가, 혜택받지 못한 아이들은 불충분한 교육을 받지만, 부자들은 사립학교에서 교육받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가난한 아이들은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진학하고 싶지 않아 하고, 그들의 교육 부족은 더 나아가 후손들의 교육 또한 제한 시켜 세대를 거듭할수록 빈곤은 계속될 것이다. 즉, 빈부격차는 세대가 지날수록 심해지며 평등의 기회가 거의 없다는 얘기다. 이러한 암울한 현실은 부모가 재산, 보석류, 명성을 물려받는 미국의 한 편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UN은 UN 지속가능발전목표 1번, 빈곤 통해 그들의 목표는 2030년까지 빈곤을 종식하고 경제적 자원과 기본 서비스, 소유권과 금융 서비스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그러나 현재 미국의 불평등 상황과 경향을 보면 목표에 도달하고 동등한 권리를 주는 것이 불가능해 보인다. 


미국의 빈부격차의 여파는 계속되고 있다. 빈부격차로 인해 상류층은 더욱 부유해지고 있고 하류층은 점차 빈곤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하류층은 점점 낮은 수준의 교육만 받고 많은 건강 문제를 겪게 된다. 이런 상황은 세대를 거쳐 갈수록 가난의 상황은 점점 악화하고 있고 이런 현상이 지속된다면 미국은 결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1기 류채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1.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Date2023.03.30 Views719723
    read more
  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Date2023.03.22 Views717126
    read more
  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Date2021.08.27 Views1140107
    read more
  4. 국회의원 배지의 변천사

    Date2021.12.14 Views11873
    Read More
  5.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는 12월 3일, '세계 장애인의 날'

    Date2021.12.13 Views15589
    Read More
  6. 제18회 추억의 충장축제

    Date2021.12.13 Views8891
    Read More
  7. 통계청 장래인구추계로 알아본 인구절벽 위기와 정부의 정책 대응

    Date2021.12.10 Views13461
    Read More
  8. 중국의 식문화와 우리 경제의 영향, 한국을 강타한 '마라' 열풍

    Date2021.12.09 Views12665
    Read More
  9.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Date2021.12.03 Views16377
    Read More
  10. 자살을 시도하는 군인을 본다면?

    Date2021.12.03 Views10045
    Read More
  11. 청년들이 제작하는 국내 최초 환경 용어 뉴스레터, '이유있는 기후식'

    Date2021.11.30 Views14454
    Read More
  12. 경제강대국 미국, 알고 보면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

    Date2021.11.29 Views14360
    Read More
  13. 11월은 남성의 달 “Movember”

    Date2021.11.29 Views9307
    Read More
  14. 백신 패스 등의 위드 코로나 정책, 미접종자에 대한 고려도...

    Date2021.11.29 Views11697
    Read More
  15. ‘Fashion Revolution’ 지속가능한 발전을 향한 발걸음

    Date2021.11.29 Views8727
    Read More
  16. 점점 발전하는 '해킹'기술...우리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것

    Date2021.11.29 Views12034
    Read More
  17. 역풍 부는 “친환경” 대책… 새로운 해결방안은

    Date2021.11.29 Views9708
    Read More
  18. 엔돌핀이 마약이라고? - 호르몬에 대한 오해와 진실

    Date2021.11.26 Views14617
    Read More
  19. 인텔의 새로운 도약

    Date2021.11.26 Views9877
    Read More
  20. 쌍란, 과연 쌍둥이 병아리가 태어날까?

    Date2021.11.26 Views11829
    Read More
  21. 지구를 지키는 우리들의 한 발자국, 제로 웨이스트

    Date2021.11.26 Views10779
    Read More
  22.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Date2021.11.26 Views11119
    Read More
  23. MZ세대의 명품 소비,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Date2021.11.26 Views11217
    Read More
  24. 더불어민주당 청년들과 소통한다. 새로운 시작, 제1기 청년명예국회의원 본회의 개최 완료

    Date2021.11.26 Views9874
    Read More
  25. 노스페이스의 뉴 페이스

    Date2021.11.26 Views10785
    Read More
  26. '위드코로나', 전 세계적으로 효과 있었을까?

    Date2021.11.25 Views11360
    Read More
  27.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Date2021.11.25 Views11187
    Read More
  28. 11월 22일, '김치의 날'을 아시나요?

    Date2021.11.23 Views12311
    Read More
  29. 문재인 대통령, 수험생들에게 응원의 메시지 전달

    Date2021.11.23 Views9058
    Read More
  30. 호주-싱가포르 트래블 버블 금일부터 시행

    Date2021.11.22 Views11355
    Read More
  31. '한 중 일' 문화대결 승자는?

    Date2021.11.22 Views10090
    Read More
  32. 터키 공화국 수립 98주년과 무스타파 케말

    Date2021.11.22 Views9511
    Read More
  33. '기적'을 꺾은 '마법', kt 창단 8년 만에 통합우승... 두산 2년 연속 KS 준우승

    Date2021.11.22 Views8576
    Read More
  34. 세계시민문화한마당, 걸어서 세계속으로!

    Date2021.11.22 Views9178
    Read More
  35. 제18회 힐링 YES 광주 충장축제

    Date2021.11.22 Views8846
    Read More
  36. 마스크 귀걸이 자르기?…우리의 작은 노력으로 지키는 생태계

    Date2021.11.22 Views15170
    Read More
  37. 한국의 사계절이 사라지고 있다

    Date2021.11.22 Views12745
    Read More
  38.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아르바이트도 무조건 줘야... 위반 시 과태료

    Date2021.11.22 Views10276
    Read More
  39. 모의 유엔(MUN)은 무엇인가?

    Date2021.11.16 Views28860
    Read More
  40. 대선 후보들은 대학생들의 목소리를 들어라! 11.14 대학생들의 행진 '출격'

    Date2021.11.15 Views10512
    Read More
  41. 무기력한 삶에 활력 한 스푼, 2021 랜선 서울학생자치 나눔 축제

    Date2021.11.12 Views14430
    Read More
  42. 초·중·고에서 대학까지 이어진 컴퓨터 프로그래밍 "코딩"

    Date2021.11.10 Views10490
    Read More
  43. "미국 CIA 요원 에드워드 스노든 이야기" 푸른숲주니어, '스노든 파일' 신간 출간

    Date2021.11.09 Views11667
    Read More
  44. 2021 롤드컵, EDG가 담원기아를 제치고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리다

    Date2021.11.08 Views11078
    Read More
  45. 이색 즐거움이 가득한 '2021 핸드아티코리아&일러스트코리아'

    Date2021.11.08 Views10093
    Read More
  46. 청년들이 세상을 바꾼다! 제5회 '청년의 날' 축제 개최

    Date2021.11.08 Views9108
    Read More
  47. '나는 홍빠다' 청년들의 홍준표 지지 릴레이 선언

    Date2021.11.04 Views10161
    Read More
  48. 할로윈(Halloween)에 대해서 아시나요?

    Date2021.11.03 Views9958
    Read More
  49. 단계적 일상회복, 마스크 벗는 날 오나?

    Date2021.11.03 Views10350
    Read More
  50. 중국드라마, 얼마나 알고계십니까?

    Date2021.11.01 Views13553
    Read More
  51. 애완용 바다 새우 씨몽키는 사실 새우가 아니다!

    Date2021.11.01 Views13675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