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자가격리, 어떻게 하는 걸까?

by 20기정서진기자 posted Nov 26, 2021 Views 1150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자가격리를 하는 사람들이 생긴다. 자가격리는 감염자와 밀접 접촉(24시간에 걸쳐 총 15분 이상 6피트 이내에서 접촉)을 하였거나 해외 입국을 하는 등의 상황에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이루어진다. 단, 백신을 맞은 경우는 상황에 따라 격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자가격리 사실은 어떻게 알고, 어떻게 할까? 가장 먼저 확진자가 발생하면 확진자의 QR체크인 기록, 카드 이용 내역, 확진자와 역학조사관의 전화 통화를 통해 확진자의 동선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 동선, 확진자와 접촉 시간과 거리를 조사해 능동감시자, 수동감시자, 격리 대상자로 나뉘어 보건소의 통보를 받게 된다. 각 지역 보건소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담당 공무원이 배정되어 연락을 하는 경우가 많다. 자가격리 통보를 받으면 PCR검사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양성(Positive)이라면 지역 생활 치료소 또는 치료가 필요한 중증 환자의 경우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다. 음성(Negative)이라면 대중교통을 이용하지 않고 집으로 돌아가 격리를 하게 된다.


92B2AD3F-41B9-4E41-A960-988AADAC8FFB.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 정서진기자]


 자가격리자는 자가격리자 안전 관리 앱을 공무원의 안내에 따라 설치한다. 동거 중인 사람이 있을 경우 방 안에서 생활해야 하며 함께 식사를 할 수 없다. 화장실을 사용해야 할 경우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동거 중인 사람들은 직장, 학교 등에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 쓰레기는 따로 모아 이후 보건소에서 지급하는 봉투에 안내에 따라 밀봉하여 배출한다. 일일 2회 앱을 통한 자가 진단으로 체온과 감염병 관련 증상의 유무를 공무원에게 알린다.

 

 이후 보건소에서 자가격리자를 위한 구호 물품을 지급한다. 물품은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생수, 라면, 즉석밥, 국, 김, 과자, 통조림 등으로 지급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소독제, 쓰레기 봉투, 체온계 등 위생을 위한 물품들도 지급된다.


5936CD30-53F5-4AE3-AC20-8A46BD8C6203.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 정서진기자]


 위와 같은 자가격리 생활을 확진자와 접촉 시점 이후 약 14일 유지하게 된다. 자가격리 기간 중 담당 공무원은 전화, 문자, 자가격리 앱을 통해 격리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한다. 만약 코로나 19 관련 증상이 있을 경우 전자 문진표 작성 후 지정된 보건소에서 PCR검사를 받아야 한다. 격리 해제 전 날에도 PCR검사를 받고 ‘음성(Negative)’ 일 경우 사전에 안내받은 시각부터 격리 해제이다. 이후 일상생활이 가능하며 해제 이후에도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관리를 잘해야 한다.


 감염병으로 인해 언제든지 자가격리를 하게 될 수 있다. 자가격리자는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하여 자가격리 안내 수칙을 잘 지키고, 보건소의 지시에 잘 따라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0기 정서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183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927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3401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6132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566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759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436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782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230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804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208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574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821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404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326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903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015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208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222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753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495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256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975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637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896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459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256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47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793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994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261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5996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917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365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1003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687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3990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268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439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579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3022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682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397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608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623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959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932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464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453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630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4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