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by 21기김명현기자 posted Nov 22, 2021 Views 4888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11119_095935915_01.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2016년 12월 9일 정식 개통한 주식회사 SR의 수서 고속철도 SRT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서 운영하는 KTX보다 10% 저렴한 운임과 약 10분 정도 단축된 도착시간으로 경쟁을 예고하며, 경부선을 비롯한 호남선에 투입된 지 5년, SRT가 연내 익산역에서 분기되어 여수엑스포역으로 가는 전라선 투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이르면 하반기 SRT의 전라선 운행을 적극 검토하고 있으며, 이에 철도노조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18일 전국철도노조에 따르면 재적 조합원 89.4%가 투표하여, 투표 조합원 67.21%가 찬성해 오는 25일부터 SR의 전라선 SRT 투입 저지와 임금 요구안을 근거로 조합원의 40%인 8,500명이 파업을 예고했다.


KakaoTalk_20211119_09580302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여수를 비롯한 지역 시민들은 서울 강남에 위치한 수서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익산역에서 SRT로 갈아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 부분에서 전국철도노조와 국토교통부의 의견이 크게 엇갈린다. 국토교통부는 전라선을 통해 수서역까지 환승 없이 갈 수 있는 SR의 전라선 SRT 투입을 검토하고 있고, 전국철도노조는 전라선에 SRT를 투입하더라도 SRT가 운영할 수 있는 열차 편성이 부족하다는 근거로, 기존에 전라선을 운행하던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KTX가 수서역으로 진입하는 수서역 KTX을 주장하고 있다. 


KakaoTalk_20211119_095935915_0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김명현기자]


이에 권태명 SR 사장은 "철도노조가 파업하더라도 철도노조와는 별개로 SRT는 고객 불편 최소화의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SR이 한국철도공사(코레일)과 경쟁체재를 형성하고 있어, 철도노조의 파업에도 일부 안정적으로 열차가 운행된다는 점에서 경쟁체재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지만, 철도의 민영기업인 SR이 많은 적자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확실한 것은 SR의 갈등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갈등이 심화될수록 피해는 시민들의 몫이라는 것이다. 여수엑스포역에서 수서역까지 열차를 이용하는 시민들과, SR이 정상 운영하지만 철도노조의 파업으로 인한 열차 운행 감소는 시민들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결국 제한적인 한국 철도의 특성상 SR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이 원만한 합의점을 찾고, 편의성을 도모한 SRT와 KTX가 한국의 명성에 걸맞은 빠르고 안전한 운송수단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1기 김명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21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88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2399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1067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1068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1069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070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1075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1075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1076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085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090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090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1094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1095
문재인 대통령의 일정 공개, 국민을 위한 것? file 2017.10.26 이지현 11102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108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1109
이게 선진국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방식이라고? 2 file 2020.04.21 이예빈 11111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113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1113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1119
아동·청소년의 목소리를 듣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2017.10.30 류영인 11122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1122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131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 file 2017.03.25 김수희 11138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138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1139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140
나비가 되신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8 file 2017.07.23 송다원 11141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143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144
기싸움 중인 제주도와 도의회, 정책협의회 개최 2017.09.12 강승필 11145
국민을 위한 공약제안 '대선공약 더불어 온라인 국민제안' file 2017.03.22 박천진 11151
미투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18.08.02 박세빈 11151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153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154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155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1157
노트르담 대성장 화재, 그리고 한 달 file 2019.05.21 최예주 11158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159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1 file 2018.01.18 이승민 11160
아동성범죄 가해자 어디까지 용서받을 수 있나 3 file 2018.02.02 이승현 11163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163
통일을 하면 경제가 좋아질까...? file 2018.11.21 강민성 11163
<주중대한민국대사관 톈진 현장대응팀> 中,한국인 강제 격리에 신속한 대응 file 2020.03.10 차예원 11164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대통령의 탄생. file 2017.05.12 김수연 11169
끝나버린 탄핵심판...포기하지 않은 그들 file 2017.03.25 이승욱 11174
이화여대 총장 선출, 학생들의 정당한 권리를 위해 2 file 2017.03.23 박하연 11177
자유 찾아 다시 광장으로 나온 시민들, 국정 대전환을 촉구하다 2 file 2019.10.24 우상효 11178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11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