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중국드라마, 얼마나 알고계십니까?

by 강민지대학생기자A posted Nov 01, 2021 Views 139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중드.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강민지 대학생기자]


중국은 압도적인 인구 수와 방송 광고 시장이 미국에 이어서 두 번째로 큰 나라이다. 또한 세계에서 드라마 제작 편수도 가장 많고, 다양한 주제로 다양한 방송 콘텐츠를 진행하고 있다.


중국 드라마를 흔히 줄여 사용한 '중드'는 중국에서 만들거나, 넓게는 대만, 홍콩까지 제작되는 중화권 드라마를 통용하는 개념으로 쓰인다. 중국 드라마가 한국에서 언급이 된 것은 몇 년 채 지나지 않았다. 대중적으로 많이 알게 된 드라마는 '보보경심'으로 예를 들 수 있다. 한국에서도 '달의 연인 보보경심:려'라는 드라마로 리메이크했던 작품이다. 반대로 한국에서 2009년 방영했던 화제의 드라마 '꽃보다 남자'를 리메이크한 중국의 '유성화원'이라는 화제의 드라마도 있었다.


이렇듯 눈에 띄게 성장하는 상황은 아니지만, 조금씩 대중들에게 알려지고 있는 중드는 소설 또는 만화, 게임 등을 원작으로 한 것이 많다. 가장 큰 예로는 '猫腻(묘니)'라는 중국 최고의 웹 소설 작가를 들 수 있다. 경여년, 택천기, 장야 등 중국 내 유명한 드라마를 만들 수 있게 한 장본인이라고 할 수 있다.


위에 말했듯이 중국의 웹 소설은 중국 내에서도 큰 인기를 끌고 있어, 드라마로 각색되기도 하며 인기 또한 더 말할 나위 없다. 최근 대만의 드라마 중 화제작 '상견니(想艮你)'는 넷플릭스에 올라오며, 한국인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 준 드라마이고, 분류로는 현대판 로맨스 판타지이다. 이처럼 중국 드라마에서는 주로 상견니를 포함한 현대판 판타지와 동양적인 느낌의 판타지, 고전적, 역사적인 내용이 주인 드라마를 많이 제작하고 있다. 


중국은 천천히, 강렬하게 한국의 드라마 시장에 이제 막 문을 두드리기 시작했다. 문화 강국인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으면 다양하고, 남들과 차별성을 둘 만한 콘텐츠를 가지고 시장에 뛰어들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대학생기자 강민지]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241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004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4615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6136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576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770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450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786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243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815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214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586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831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409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338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910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029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220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227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757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506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272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985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646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904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464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267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53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806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3002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270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6001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926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373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1006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694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3999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275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448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586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3029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690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405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623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632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968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936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474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459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635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4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