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by 20기권나연기자 posted Oct 29, 2021 Views 119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선, 정치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좁은 의미로는 정치인들이 국가와 관련된 법률이나 정책을 결정하거나, 정치권력을 획득하고 유지하며 행사하는 활동을 말하며, 넓은 의미의 정치는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구성원 간의 의견 대립과 갈등을 조정하고 해결하는 활동이나, 한정된 가치를 권위적으로 분배하는 과정을 말한다. 그리고 이런 정치구조와 정부는 사회의 존속에 필요한 기본적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역할의 대전제는 인간이 전적으로 선하지 않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경제학의 중요 개념 중 하나인 <희소성>에 있고, 무한한 인간의 욕망은 희소성이 있는 재화와 용역 등을 쉽게 취하려 각종 수단을 동원하기 때문에 질서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규제가 필요로 됩니다. 이에, 영국의 철학자 홉스는 ‘가장 이상적인 사회조직’으로 규정하였고, ‘정부가 없는 상태를 고독하고 빈곤하며 야수적이고 부족한 상태’로 묘사하고 있다. 
 
중국의 정치구조와 정부의 역사 
개략적인 중국의 정치구조를 살펴보면 ‘시진핑(习近平)’ 주석이 ‘중국 공산당의 주앙 정치국 상무위원의 1인이며, 총서기’의 자리에 있다. 더불어, 시진핑 주석은 아래 피라미드 구조의 하위개념에 속하는 공산당원이며 중앙위원회 위원, 정치국 상무위원직과 더불어 총서기 역할을 맡고 있는 것이 된다. 상무위원은 총서기 1인을 포함한 7인으로 구성되어 있고, 국무원총리 ‘리커창(李克强)’, 전국인민대표회의 위원장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 ‘왕양(汪洋)’, 중앙서기처 서기 ‘왕후닝(王沪宁)’,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짜오러지(赵乐际)’와 국무원부총리 ‘한정(韩正)’이 상무위원 역할을 맡고 있다. 
그리고 정치구조를 나타내는 피라미드 오른쪽에 표기된 ‘양회(兩會)’는 전국인민대표회의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를 아울러 지칭하는 말로서, 이 양회를 통해서 중국은 정부의 운영 방침이 결정되기 때문에 중국 최대의 정치행사로 일컬어지고 있다. 
우선, 양회의 한축을 담당하고 있는 ‘전국(인민)대표회의’는 전인대(全人代)라고 약어로 불리고 있고, 중국 헌법상 ‘국회’의 기능을 담당하는 명목상 최고 국가권력기관이며, 32개 성·자치구·직할시 및 특별행정구 및 인민해방군에서 선출되는 대표들과 중국의 여러 소수민족의 대표로 구성되어 있고, 총인원은 3,500명을 초과하지 못하며 임기는 5년으로 매년 3월에 거행된다. 
                           
스크린샷 2021-10-28 오후 6.35.50.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기 권나연기자]

양회의 또 다른 한축을 담당하는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政協)’는 정책자문기구로 전국위원회와 상무위원회로 구성되어 있고, 전국위원회는 9개의 전문위원회가 있으며 위원의 임기는 5년이다. 정협의 역할은 전인대 전에 열려 공산당의 정책 결정에 앞서 다른 정당의 의견을 수렴하는 역할과 국정방침에 대한 토론과 협의를 통해 정부기관이나 인민대표회에 이를 제안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의 정치형태 비교 
민주주의라는 정치이념을 따르는 한국의 경우, 삼권 분립의 원칙에 따라서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를 중심으로 국가의 운영이 이뤄지고, 상대적으로 중국은 공산당을 중심으로, 전국인민대표회가 입법부의 기능을, 그리고 국무원이 행정부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고 중국 23개 성(省)의 성장(省長)들과 공무원들은 국무원 소속이지만, 어디까지나 선당(先堂), 즉 공산당이 최우선으로 되기 때문에 성장들은 서열상 각 성의 당서기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민주 공화정’을 바탕으로 하여 행정부의 수반인 대통령이 국가원수이다. 국가의 주권이 그 구성원에게 있는 ‘공화제’와 특히 국민에게 그 주권이 있다는 의미의 ‘민주’가 합성된 의미이며, 입법부와 사법부의 독립이 명시되어 있으며, 권력분립의 원칙이 헌법으로 보장되어 있다. 1948년 정부수립 이후, 제2공화국의 짧은 시기만을 제외하고는 줄곧 대통령제를 그 정치체계로 채택해 왔으며 현재도 대통령제를 그 근간으로 하고 있다. 
 
거대한 인구와 다양한 소수민족을 통치하기 위해 중국이 선택한 사회주의, 그리고 국민의 기본권과 자유를 중심으로 삼권 분립의 원칙을 통한 견제와 균형을 강조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는 분명 각자가 지닌 장단점과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선택의 문제일 수도 있다. 하지만, 국민주권(國民主權, Popular Sovereignty), ‘국가의 정치 형태와 구조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권력이 국민에게 있고, 주권의 소재는 국민에게 있다’는 사실은 정치이념을 뛰어넘어 한 나라의 통치에 관여하는 모두가 기억해야 할 기본임은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20기 권나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4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42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451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992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149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583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788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815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830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797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554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654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7276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382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750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277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641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755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285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254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429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5033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525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10405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609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7010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816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926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821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371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686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3158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635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5288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937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1629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241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7051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227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678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3036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567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333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7434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801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962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817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4481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7153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818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8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