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by 21기노영승기자 posted Oct 29, 2021 Views 671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군소후보, 말 그대로 언론의 관심을 주요 후보들처럼 받지 못하는 후보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번 제20대 대선에도 여러 군소후보들이 출사표를 던졌다. 그렇지만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지율이 0.5% 도 안 나오는 소수 후보들이 선거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이번 대선은 양강 구도의 선거이다. 그렇다 보니 한 표 한 표가 아쉬운 상황에서 군소후보의 득표는 충분히 영향력이 큰 상황이다. 제19대 총선을 예로 들어보자. 당시 수도권과 서울에서는 초접전 양상에서 "정통 민주당"이라는 군소정당으로 인해 야권이 무려 6석을 빼앗기는 민주당 입장에서는 참담한 상황이 펼쳐졌다. 당시 정통민주당의 정당 득표율 0.22% 불과 몇십표 차이로 희비가 엇갈리는 일이 생긴 것이다.

wjs.jpg
정통민주당 창당대회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1기 노영승기자]

1. 진보당 김재연 후보
제19대 통진당 국회의원을 지낸 김재연 진보당 대표는 일찍이 출사표를 던졌다. 진보당의 당원 수는 8만 명, 무시하지 못할 숫자이다. 김 후보는 국가보안법 폐지, 주 4일제 근무, 남북연합  등 노동자,  강경 진보 지지층의 결집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원외 정당인 진보당이 유의미한 득표율을 올릴 수 있을지 궁금한 바이다.

2. 우리 공화당 조원진 후보
3선 의원을 지낸 친박 조원진 전 의원 역시 출마한다. 지난 총선, 자신의 지역구에서 15% 남짓한 득표율을 올렸다. 그는 탄핵에 대한 강경 반대 의사를 내비치며 TK를 비롯한 박근혜 향수가 남아있는 지지층을 공략하려 하는 모양새다. 그는 서울 청계광장에서 이번 달 4일 출마했다.

3. 국가 혁명당 허경영 후보
매 대선 꾸준히 얼굴을 내민 허 후보. 이번에는 고양시 덕양 행주산성에서 출마했다. 행주치마를 입은 그는 자신이 나라를 구하겠다는 퍼포먼스를 열었다. 기본소득을 주장하며 "오징어 게임"을 패러디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지난 2007년 선거에서 당시 이인제 후보와 경합을 벌이고 최근 서울시장  재선거에서도 1% 이상을 득표한 그가 이번에는 또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4. 통일한국당 이경희 후보
지난 선거에서 '통일이 답이다!'라는 슬로건으로 눈길을 끌었던 그는 사실 "민족 통일 대통령" 빌딩이라는 건물을 여러 채 소유하고 있는 건물주이다. 17살부터 대통령의 꿈을 키운 그는 충청 대망론을 토대로 충청 지지층을 노리고 있다. 확고한 전쟁억제력을 키운 뒤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겠다는 하는 그가 과연 이번 선거에서 이변을 연출할 수 있을지 기대되는 바이다.

지금까지 4명의 군소후보들을 알아봤다. 그들은 언론의 주목을 많이 받진 못하고 있지만, 그들 나름의 소신과 철학이 있다.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거대 정당이든 소수정당이든, 자신의 뜻에 맞는 공약을 제시한 후보를 위해 한 표 행사하고 청소년들 역시 우리의 미래를 결정짓는 이번 선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21기 노영승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55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9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199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015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26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2026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067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2071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2086
'솜방망이 처벌' 학교폭력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8 file 2018.08.24 조혜진 22093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2231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233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78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298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352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411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2432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433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2435
[현장취재]'제 16회 서울청소년자원봉사대회' 나눔을 실천하는 청소년들 2 file 2015.11.23 박성은 22472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503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538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545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552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562
"굳이 겉옷 안의 마이를…?" 복장 규정에 대한 학교규칙의 문제점 3 file 2017.11.23 이혜승 22605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607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636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639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669
비어있는 임산부 배려석 찾기가 서울에서 김서방 찾기? 6 file 2017.02.25 박유진 22701
교육현실 그대로....등교시간만 바뀌었다! 2014.09.25 명은율 22704
과자 포장속 빈공간 비율이 약 83%? 과대포장 문제가 심각하다! 7 file 2016.05.29 신수빈 22725
잠잠해져가던 코로나19, 다시금 두려움에 떨게하는 에어로졸 전파 6 file 2020.07.31 유지은 22728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759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769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780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786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822
해군, ‘아덴만 여명작전’ 6주년 기념식 열어 6 file 2017.01.24 김혜진 22850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860
‘하기스 퓨어 물티슈’ 등 10개 제품, 메탄올 기준치 초과.. 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 13 file 2017.01.16 김해온 22864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876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930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3020
의료 서비스의 특징이자 맹점, 공급자 유인 수요 file 2018.11.22 허재영 23098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3104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3126
편의점, 의약품 판매의 아이러니 9 file 2016.02.24 유승균 23133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135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1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