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by 엄태우대학생기자 posted Oct 18, 2021 Views 974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12,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경제전망(WEO: World Economic Outlook)을 발표하였다. IMF의 본 보고서는 매년 4월과 10월에 공개되는 것으로, 이번에 발표된 보고서는 모든 IMF 회원국의 경제전망을 포괄하는 보고서이다.


이번 보고서의 가장 큰 특징은 IMF가 올해 세계 경제 성장전망과 선진국의 성장 전망을 각각 5.9%(△0.1%p)5.2%(△0.4%p)으로 하향 조정하는 와중에, 한국의 성장률 전망은 4.3%로 유지했다는 점이다. 다른 선진국들의 경제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한 것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의 이유로 경제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1.0%P), 독일(△0.4%P), 일본(△0.4%P) 등 주요한 선진국들의 올 경제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했음에도,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률을 4.3%로 유지한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하다. 이는 IMF4차 코로나의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이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코로나 이전의 상황으로 경기를 빠르게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IMF가 다른 선진국들과 달리 대한민국의 경제성장 전망을 유지한 더 자세한 이유는 지난 9월 당시 IMF Staff Visit(연례협의 사전미팅)의 논의내용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논의에서 IMF가 대한민국의 경제성장 전망을 유지한 이유는 한국 국내의 빠른 백신접종자 증가세와 2차 추경예산의 경기부양효과 등이 주된 이유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코로나에 따른 기저효과를 제거한 2020~2021년 평균 경제 성장률(1.7%)G7 선진국들과 비교해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G7 국가 중 미국과 캐나다를 제외하고는 모두 코로나19의 여파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것을 고려하면 대한민국의 경제 회복력은 매우 괄목할 만한 수준인 것이다. 주요 해외기관에서도 대한민국의 경제성장률을 모두 4% 이상으로 평가한 것을 보아 한국은 코로나19 4차 유행으로 인한 경제성장 둔화의 우려가 비교적 적은 편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보고서에 대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우리 경제가 다양한 경제적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나그간의 위기대응능력을 토대로 한국경제의 차별적 성과가 이어질 수 있도록 모든 정책적 노력을 다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평균성장률비교.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엄태우 대학생기자]


성장전망.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엄태우 대학생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4기 대학생기자 엄태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25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25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123
광주도 백신 이송 모의 훈련 진행.. file 2021.02.22 옥혜성 7732
정의당, 앞으로의 미래는? 2021.02.23 김성규 20085
허울뿐인 ‘딥페이크 처벌법’… ‘딥페이크’ 범죄, 막을 수 있을까 3 file 2021.02.23 장혜수 14055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14413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954
가상화폐는 투기적... 주요 인사들의 경고 file 2021.02.26 김민정 7656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804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8741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698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8148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7185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923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770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1282
곧 국내에서도 시작되는 코로나 예방 접종… 각 백신의 특징은? file 2021.03.02 김민결 7593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140
文 대통령, 3 ·1 기념식에서 ‘투트랙 기조, 한·일 관계 회복해야...’ file 2021.03.04 이승열 7004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498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8739
김치와 한복에 이어 BTS까지 지적한 중국 file 2021.03.05 박수영 9923
로봇세 부과해야 하나 2021.03.08 김률희 13462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447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9008
#힘을_보태어_이_변화에 file 2021.03.18 김은지 10369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9734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530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1744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9025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967
세계 곳곳에서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속출 file 2021.03.25 심승희 10479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813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9034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9391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9422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892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9376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271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575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8840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909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1740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513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152
법무부, ‘벌금형 집행유예’ 활성화 추진.. 구체적으로 어떤 효과가 있을까 file 2021.04.02 이승열 10241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322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669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628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3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