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by 김희수대학생기자 posted Sep 30, 2021 Views 120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9월 28일 열린 4차 토론회까지 마무리가 되면서 국민의힘 대선 예비후보들의 토론회 일정이 막바지를 향하고 있다. 토론회는 유권자들에게 후보 스스로를 어필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자, 타 후보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직접적으로 일어나는 자리인 만큼, 후보들은 각자만의 전략을 통해 토론회에 임하고 있다. 특히 윤석열-홍준표 후보의 2강 체제가 굳건한 가운데 짧게는 컷오프 통과, 길게는 역전을 노리는 6명 후보들에게 토론회는 더욱 소중한 기회이다. 지금까지 열린 4번의 토론회 속에서 6명의 후보들은 어떤 모습을 보여줬는지 살펴보았다(후보 순서는 가나다순으로 나열하였음).


국힘 4차.jpg

[이미지 제공 = 국민의힘 홈페이지]


① 안상수 - 격의 없는 모습으로 다가가다

 안상수 후보는 후보들 중 최고령임에도 불구하고, 화려한 색상의 양복과 넥타이를 착용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발언 도중 다양한 손동작을 사용하면서 전달력을 더했고, 연륜에서 나오는 연극적인 말투와 유쾌한 화법도 돋보였다. 예컨대 1차 토론회의 '무플보다 악플' 시간 중, 왜 허경영 국가혁명당 명예대표를 만났느냐는 댓글에 대해 "이재명 후보보다 나은 것 같아서 만났다"라고 너스레를 떠는 장면이나 4차 토론의 마무리 발언 시간에 "이놈들"하며 호통을 치는 모습은 시청자들에게 웃음을 주기도 했다.


② 원희룡 - 잘못을 겸허히 인정하다

 경선 과정에서 원희룡 후보에 관한 가장 큰 이슈는 이준석 국민의힘 당 대표의 녹취록 유출과 관련된 논란이었다. 경선 과정의 공정함을 검증하기 위해 이준석 대표를 비판하면서 대립했고, 이 과정에서 이른바 '원팀'이 되지 못한다, 자신의 입지를 다지기 위해 당을 흔든다는 비판도 있었다. 원희룡 후보는 이러한 비판에 대해 1차 토론에서  '그 과정에서 있었던 여러 가지 불편하고 잘못된 점들에 대해서 미안하게 생각한다'며 겸허히 수용하고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 인상을 남겼다. 


③ 유승민 - 주력 분야에서 활약하다

 유승민 후보는 경선 캐치프레이즈로 '결국은 경제다. 강하다 유승민'을 내세우고 있다. 이처럼 유승민 후보는 이른바 '경제 전문가'로 이름이 높은 후보이며, 토론회에서도 경제 관련 주제가 대두될 때마다 적극적으로 임하면서 상대방 후보들을 압박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1차 토론에서 정치 경험이 많지 않은 윤석열 후보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청년 원가주택 30만 호 공급' 공약에 대해서 날선 질문과 비판을 가하며 적극적으로 견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④ 최재형 - 차분하고 매너 있게 임하다

 최재형 후보의 경우 토론회에서 가장 치열한 주도권 토론 시간에도 차분하고 매너 있는 모습을 보여주어 유권자들의 시선을 끌었다. 대표적으로 2차 토론의 주도권 토론 시간에 유승민 후보에게 "강성노조 문제를 긴급재정경제명령으로 해결하는 것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으신가"라고 질문하기도 했는데, 대부분의 후보가 이 시간에 상대방 후보를 제압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반면 최재형 후보는 상대방 후보에게도 충분한 발언 기회를 줄 수 있는 질문들을 던지는 모습을 보였다. 그래서인지 유독 최재형 후보와의 주도권 토론에는 웃음꽃이 피는 경우가 많았다.


⑤ 하태경 - 날카로운 언변을 보여주다

 최재형 후보와는 반대로, 하태경 후보의 주도권 토론 시간은 매 토론마다 다른 후보들에게는 쉽지 않은 시간이었다. 하태경 후보는 특유의 날선 화법으로 후보들을 거침없이 공격하면서 주도권 토론 시간마다 상대방 후보들을 당황하게 하거나 지치게 만드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 외에도 4차 토론에서 주도권 토론이 모두 끝난 뒤 진행된 사회자와의 1:1 질의 응답 시간에서 하태경 후보는 앞선 주도권 토론 시간에 답변하지 못한 내용을 위해 질의응답 시간을 10초 정도 분배한 뒤 질문에 답하는 전략적인 면모도 보여주었다.


⑥ 황교안 - 뚝심 있게 밀고 나가다

 황교안 후보는 1차 토론의 모두 발언부터 4차 토론의 마무리 발언까지 계속해서 자신이 준비해온 키워드인 부정 선거를 언급했다. 이는 주도권 토론에서도 예외가 없어서, 다른 후보들에게 지난 총선이 부정 선거라는 것에 동의하는지 파고드는 모습을 보였다. 심지어 4차 토론의 사회자 질의 응답 시간에 '대통령이 된다면 개헌을 추진할 것인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부정 선거의 소지를 원천 봉쇄할 수 있는 조항도 마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라고 답변하면서,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질문에 대해서도 자신의 키워드를 연관 짓는 집요함을 보여주었다.


이제 여덟 명의 후보들에게 남아 있는 TV 토론회는 두 번이다. 과연 어떤 후보가 두각을 드러내면서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것인지, 많은 이들의 시선이 두 번의 토론회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대학생기자 김희수]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4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40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8506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제, 정말 불가능한 정책일까? file 2021.09.01 최서윤 7801
"학생증 들고 왔다면 돌아가세요"...학생증 신분증으로 인정 안 한 가수 1 file 2023.09.30 이종혁 7802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808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813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814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825
‘코로나19 시대에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기에 청소년들이 겪는 생활실태’ 주제로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20 이지원 7841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845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867
70% 더 빨라진 전파력, 영국에서 변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발견 file 2020.12.22 박수영 7876
우리의 일상을 바꿔놓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왔다? 1 file 2020.08.18 권혁빈 7878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과정 밝혀내... file 2021.04.14 한건호 7881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스타벅스도 비껴가지 못했다 file 2020.09.03 윤지영 7891
8월에 주의해야 할 재난·안전사고 1 file 2020.08.10 김현수 7918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7923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923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928
시위 확산된 벨라루스... 정부와 시위대의 줄다리기 file 2020.09.03 박재훈 7932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7936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941
조 바이든, 미 대선 승리 1 file 2020.11.13 최서진 7946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946
게놈,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는 키 file 2020.09.07 김정원 7947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953
국내 인구 60%가량 접종할 백신, 그 효력은? 1 file 2020.11.19 임윤재 7954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968
한국의 조용한 축제 제21대 총선 file 2020.05.18 이가빈 7973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979
LG 트윈타워 청소 근로자 파업농성 50일 훌쩍 넘어가고 있어... 진행 상황은? file 2021.02.25 김예린 7985
끊이지 않는 아동 성범죄, 사회는 강력한 처벌을 원한다 2020.05.04 한채연 7989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억지뿐인 결과 뒤집기 2020.12.23 김하영 7989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8000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8016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8016
블라디보스토크, 첫눈처럼 눈보라로 가겠다 2020.11.23 오예린 8017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8018
저버린 이성, 다시 확산된 코로나 2020.08.26 박성현 8020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8022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8025
[기자수첩] 미국 청소년들도 빠져든 K팝...한국 문화 영향력 커져 file 2023.09.16 이승주 8027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8032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8036
애플페이, 교통카드 국내 도입 테스트 중...ios17부터 도입될까 file 2023.07.26 신지윤 8045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8047
[기자수첩] 서현역, 신림역 칼부림 사건..."법정 최고형 구형해야" file 2023.08.10 김진원 8049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8056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8059
성숙한 시민의식 1 file 2020.03.17 전혜은 80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