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13의 의미

by 이준호대학생기자 posted Sep 28, 2021 Views 1099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애플의 2021년 스마트폰인 아이폰 13 시리즈가 공개되었다. 한국시간으로 915일 발표된 이 제품들은 여러 가지 상향된 점을 가지고 우리 앞에 나타났다.


우선 일반형 모델은 큰 업그레이드를 받았다. 전작의 최상급 모델인 12 프로 맥스 모델에만 탑재되었던 Sensor Shift OIS가 전 모델에 탑재되면서 일반형 모델 또한 좀 더 뛰어난 영상 촬영이 가능해졌는데, 기존의 OIS는 카메라의 렌즈를 움직여 카메라 사용 시 기기가 흔들리면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했었는데, 이 기술이 적용됨에 따라 카메라 센서 자체가 흔들림을 보정하면서 더 뛰어난 카메라 성능을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최대 밝기가 800니트 수준까지 올라가면서, 전작 프로 라인업과 대등한 수준으로 상향되었다.


프로 라인업은 먼저 기존에 있던 2배 광학 줌 카메라가 3배 광학 줌으로 상향되었다. 더불어 애플에서는 프로모션이라고 부르는 120Hz의 고주사율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는데, 전작들이 안드로이드 진영보다 뒤처졌던 아쉬움을 달래주고 있다. 더불어 프로 모델들은 최대 1000니트의 디스플레이 밝기를 지원한다.


일반 모델들과 프로 모델들의 공통점으로는 애플의 A15 바이오닉 칩을 탑재했다는 것이 있다. TSMC5나노 공정으로 생산된 이 칩은 애플의 주장에 따르면 모든 경쟁사의 칩보다 CPU에서는 50%, GPU에서는 30% 더 빠르다고 한다. 또한 배터리 사용시간 또한 개선되어 전작인 12 시리즈의 단점 중 하나였던 줄어든 사용시간을 보완하였다.


IMG-000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준호 대학생기자]


그러나 아쉬운 점도 분명히 존재한다. 우선 칩 자체는 차별을 두지 않았던 이전 모델들과 다르게, 이번 13 시리즈는 일반 모델에는 GPU 코어가 4, 프로 모델에는 5개를 탑재하여 성능적 차이를 보인다. 또한 일반 모델에는 여전히 4GB의 램을 탑재하여, 이전부터 지적되었던 용량 부족으로 인한 앱 리프래시 현상이 여전히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경쟁사들은 중저가 라인업에도 120hz90hz의 고 주사율 디스플레이를 적용시키고 있지만, 이번 13 시리즈의 경우 13 mini 128GB 제품을 제외한 전 제품이 100만 원을 넘어가는 고가의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일반 모델에 60hz 디스플레이를 탑재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아이폰 13 모델들은 108일 국내에 출시될 예정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대학생기자 이준호]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89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602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935
폭력적인 언어에 노출된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6 이인애 26049
포항테크노파크, 어려운 지역사회에 도움 한스푼 file 2020.08.31 최은영 13621
포항의 경제 중심지, 죽도시장으로 오이소! file 2016.05.23 권주홍 18090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19865
포항 지진에 수능 연기…재난·재해 인한 연기는 처음 (2보) 2 file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5645
포포페스타서 열린 영등포사회복지관의 '아동 놀권리' 캠페인 file 2023.11.24 조혜영 7273
포켓몬스터들의 제 2의 전성기 - 포켓몬go file 2016.07.26 김은형 18815
포켓몬 고, 성공 비결은 캐릭터? 13 file 2017.02.11 장서연 17831
포켓몬 고(Pok?mon GO)가 추락하는 이유 무엇인가 3 file 2017.02.24 임유리 23410
포켓몬 고 한국 정식 출시, 증강 현실(AR)이란? 13 file 2017.02.03 정승훈 17820
포켓몬 GO, 흥행 유지에 성곡할 수 있을까? 2 file 2017.03.04 최유석 14522
포켓몬 GO, 안전하게 GO! file 2017.05.22 최윤경 14657
포장지, 없앨 수 있을까? 2018.04.10 김소연 16238
포스트잇은 왜 노란색일까? 1 file 2021.11.25 민지혜 11525
포스트 코로나 시대와 IT 기업의 재택근무 file 2020.11.26 류현우 13525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코스쿨 우수학급 대상 ESG+진로 탐색 특강 진행 file 2022.11.14 이지원 7826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5666
포근한 햇살을 품은 마비정 벽화마을 4 file 2015.02.17 전지민 31902
폐쇄된 놀이공원, 활력을 되찾다! file 2016.03.21 박지혜 24923
폐건물이 청춘들의 아지트로 탈바꿈하다 ‘청춘 창고’ 3 file 2017.03.06 이소명 28687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6030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6794
평화의 길을 달리다 'PEACE ROAD'의 출발 file 2017.08.21 윤묘출 13802
평택시 청소년들, 국제교류 자원봉사로 외국인과 소통하다 5 file 2017.10.20 황연희 15490
평창으로 맞이할 해외 관광객, 어디로 가야할까 1 file 2018.01.09 김정환 16377
평창올림픽 기념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展, 한·중·일이 한곳에 1 file 2018.02.09 김시은 19309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6636
평창동계올림픽, 기나긴 여정의 결실 file 2018.03.26 조유나 15410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7199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2천원권 지폐, 11월에 나온다 file 2017.08.29 디지털이슈팀 16296
평창동계올림픽 G-1, K-드라마 페스타 in 평창 행사 개최 1 file 2017.02.20 고주연 16438
평창과 사랑에 빠지다 2 file 2018.03.09 백예빈 16984
평창 패럴림픽, 이렇게 즐기는 건 어때? file 2018.03.02 이소현 15503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5774
평창 올림픽의 꽃 자원봉사자 면접을 가보다! file 2017.03.19 김채현 15124
평창 올림픽 D-228, 평창호 탑승자가 되는길! 3 file 2017.06.29 김채현 15017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7157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768
평창 동계올림픽, 성공적인 마무리 file 2018.03.03 김세빈 16303
평창 동계올림픽, 그 화제의 현장 속으로 2 2018.02.28 안효진 15648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426
평창 동계올림픽 상품들, 수호랑은 이제... 2018.03.06 정현택 15913
평창 동계 올림픽, 남북 외교의 발판 될까? file 2018.03.01 안성연 15011
평창 굿즈 열풍, 올림픽 성공적 개최의 신호탄일까? 2 file 2017.12.15 윤정민 16198
평생 늙지도 죽지도 않는 법, 텔로미어 file 2021.06.02 백우빈 17150
평범한 일본 시민이 5년 동안 전기세를 내지 않고 생활한 비결은? 2 file 2017.08.24 이윤희 15368
평등한 세상을 위한 도전, 퀴어퍼레이드와 함께 1 file 2019.06.11 원서윤 18764
평내동청소년자치위원, 복지 사각지대에 계신분들에게 사랑을 나눠요. 6 file 2017.01.24 황보민 202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