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by 19기이가빈기자 posted Sep 03, 2021 Views 727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소식은 바로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이다.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은 아프가니스탄의 군대를 철수하겠다고 선언했다. 미군 철수 이후에 아프가니스탄은 혼란에 빠졌다. 미군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던 아프가니스탄은 미군이 철수하자, 심각한 상황이 된 것이다. 결국 이슬람 무장 단체인 탈레반에게 권력을 내어주게 되었다. 이와 함께 많은 국민들이 고통스러운 삶을 살게 되었고,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하고 있다. 그중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바로 여성 인권에 관한 것이다. 탈레반은 과거 집권기인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동안에 샤리아법으로 사회를 규제했다. 당시에 굉장히 강력하고, 엄격하게 사회를 규제해 많은 국민들이 힘들어했었다. 재집권하게 된 탈레반의 대변인은 언론, 여성 인권 등과 같은 것들은 이슬람법의 틀 안에서 존중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탈레반의 샤리아 법 적용은 아프가니스탄의 여성 인권의 큰 위협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유사프자이는 BBC와의 인터뷰에서 여성 인권 운동가 등 아프간의 여러 활동가들과 이야기할 기회가 있었고, 그들은 자신들의 삶이 어떻게 될지 모른다면 함께 우려하고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KakaoTalk_20210902_102813789.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9기 이가빈기자]


또 그들 중 대부분은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일어난 아프가니스탄의 내전을 기억하며, 자신들의 안전, 권리, 보호, 교육권 등에 대해 많은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했다. 탈레반은 여성들의 사회적인 활동을 인정하지 않는 이슬람의 조직이다. 이들은 지난 1996년부터 2001년까지의 집권 기간 동안 모든 여학교를 폐쇄시켰고, 여성들의 교육을 막았다. 여성들은 일을 할 수 없었고, 남성의 동행 없이는 외출이 불가능했다. 부르카 착용은 필수였고, 이러한 규정들을 지키지 않는다면 처벌과 폭행이 이루어졌다. 탈레반이 재집권한 지금, 탈레반은 또다시 여성 탄압을 시행하고 있다. 지난 7 45세 여성을 폭행으로 숨지게 했다. , 지난 17일 아프가니스탄 국영 방송의 앵커 카디자 아민을 비롯한 여러 여성 직원들에게 무기한 정직 처분을 내리고, 서부 헤라트 지방에서는 대학교 정문을 지키며 여학생들의 캠퍼스 출입을 막고 있다. 또한 부르카를 착용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여성을 숨지게 하기도 했다. 더 이상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이 짓밟히는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9기 이가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01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7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587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576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250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237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185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029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950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444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984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003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951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1986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821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162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801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4949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176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678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970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839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254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186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531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913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916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913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740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4194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7447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668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2928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926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5031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432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484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2097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061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152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0991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6064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772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716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798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137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829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19985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576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690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09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