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48인의 독립운동가

by 18기노윤서기자 posted Jul 26, 2021 Views 133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김구,, 윤봉길 (찐).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노윤서기자]



3·1 독립운동은 일제의 식민 지배를 극복하여 민족의 자주성을 회복하고 사회 경제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펼친 운동이다독립운동을 펼친 48인의 독립운동가들이 있다.


첫 번째로 백범 김구이다. 1893년 동학 농민 운동을 지휘하였고 이후 의병이 되었다이듬해 명성 황후의 원수를 갚고자 일본군 중위를 죽여 사형을 당할 뻔했지만 고종이 형벌을 주었다. 1910년 데라우치 총독 암살 미수 사건에 연관되어 6년 동안 감옥살이를 하다가 1운동 후에는 상하이로 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였다. 1931년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여 이봉창윤봉길 등의 의거를 지휘하였고대한민국 임시 정부 주석이 된 후 한국광복군을 조직하여 대일 항쟁을 이끌었다. 8·15광복 이후에는 신탁 통치와 남한 단독 총선거 실시에 반대하여 남북 협상을 주장하며 평양에서 회담을 열었지만 협상에 실패하였다이후 정부 수립에 참가하지 않고 중간파로 머물다가 1949년 경교장에서 안두희에게 암살당하였다저서로 <백범일지>가 있다.


두 번째로 우사 김규식이다. 1918년 8월 신한청년당이 조직되자 이에 가입하고 1919년 2월 한국 대표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되었다.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자 외무총장에 파선되었으며, ‘한민족의 일본으로부터 해방과 한국의 독립국가로의 복귀에 관한 청원서와 한민족의 주장을 파리 강화회의에 제출하여 일제 침략의 악랄함과 한국 독립의 필연성을 호소하였다동년 8월 6일에는 외신기자 클럽에서 80여 명의 각국 유력인사가 초청된 가운데 한국독립군의 타당성과 일제 침략의 흉계를 폭로하는 등 5개월 동안 동분서주하며 세계여론에 호소하다가여운홍김 탕과 함께 동년 8월 9일 미국으로 갔다. 1919년 8월 말 임시정부 구미위원부 위원장에 임명되어 군자금을 임정에 송부하는 한편 3·1 독립운동을 계기로 고조된 분위기를 활용하여 한국 독립문제가 미국 하원에서 상정 토의되도록 하였다.


 번째로 유관순이다. 1919년 공주 영명여학교에서 수학한 뒤 예수교 공주교회 부인 선교사의 주선으로 이화학당의 교비생으로 편입된바 고등과 1학년 때 삼일운동이 일어나서 경성에서 시위운동에 참가하였다고향으로 돌아가서 교회와 학교로 순방하면서 만세운동에 참가할 것을 권고하고 각지의 교회와 유림계의 찬성을 얻어 3월 1(병천에서 수천 명의 군중을 모아서 선창으로 만세시위를 지도하였는데, 그의 부친 중권과 모친 이 씨는 당시 왜적의 총에 희생되었고 김구응최정철(채 씨), 김상헌 등은 동일 살해되고 유관순 열사는 주모자로 체포되어 유치장에서 오빠 관옥을 면접하였으나, 아무 영문도 몰랐으며 적의 고문에 자신의 처사였다는 것뿐 일체 언급을 피하였다공주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 형을 받고 공소하여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3년 형이 확정되어 서대문형무소 수감되었으며, 1920년 3·1운동 1주년을 기념하는 옥중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1920년 9월에 악형으로 옥중에서 순국하였으며이때 나이가 18세의 소녀였다. 2019년 3월 1일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가 서훈되었다.


마지막으로 우의 윤봉길 의사이다윤봉길 의사는 충남 예산군 덕산에서 태어났으며, 19세부터 야학을 경영하는 등 농촌계몽운동에 앞장섰다. 1929년에는 원진회를 설립하여 농촌 개혁을 실시하고, 1930년에 중국으로 망명상해로 건너가 모직공장 직공세탁소 외교원을 거쳐 김구를 만나 한인애국단에 입단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2년 4월 29일 일왕의 천장절을 기하여 상해사변의 승리를 축하하는 축하회가 상해 홍구 공원에서 개최됨을 듣고 일본 시민 차림으로 오전 11시 40분 식대 정면에 투탄하여 일본의 침략 원흉 시라카와 등을 처단하였다윤봉길 의사의 이 쾌거는 곧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특히 중국의 장개석 총통은 중국의 백만 대군도 못 한일을 일개 조선 청년이 해냈다며 감격해 하고종래 무관심하던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하였다그리하여 중국육군 중앙군관학교에 한인특별반을 설치하는 등 한국의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또한 한동안 침체일로에 빠져있던 임시정부가 다시 독립운동의 구심체로 역할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도 이 의거에 힘입은 바가 컸다체포된 의사는 가혹한 고문 끝에 그해 5월 25일 상해 파견 일본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받았는데이때에도 이 철권으로 일본을 즉각 타도하려고 상해에 왔다며 대한 남아의 기개를 잃지 않았다이후 일본 오사카로 호송된 뒤 1932년 12월 19일 가나자와 육군형무소 공병 작업장에서 십자가 형틀에 매어 총살25세의 젊은 나이로 순국하였다.윤봉길 의사가 남긴 말이 있다. “장부출가생불환” ‘사내대장부는 집을 나가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8기 노윤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236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998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4493
드림스프링스, 청소년의 꿈을 응원합니다! 1 file 2017.02.27 김보경 547970
[PICK] 삼성전자의 3세대 폴더블 Z Filp 3를 살펴보다 2 file 2021.08.25 김승원 467505
[PICK] 혼자가 더 편한 이들에게 건네는 공감과 위로,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1 file 2021.08.26 한수민 466385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러빙 빈센트> file 2017.11.28 신현민 405021
[포토]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재준 고양시장 인터뷰 진행 file 2020.11.10 디지털이슈팀 280066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5149
애니메이션 속 숨겨진 명대사 5 file 2020.04.28 권빈 241996
베이킹 속에 숨어있는 과학 원리 file 2018.02.01 정용환 213785
여자배구 대표팀, 2021 VNL 참가 18인 명단 공개...도쿄올림픽 향한 첫걸음 1 file 2021.04.12 김하은 191395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1 file 2021.06.18 이주연 168977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898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7403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8169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565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264
청소년기자단봉사회, ‘시각장애인·정보소외계층 위한 기사녹음 봉사활동’ 운영 file 2018.10.31 디지털이슈팀 108286
서초구를 뒤흔들다. 2017 서초구 서리풀 페스티벌 file 2017.09.27 김서영 105964
'신흥 강자'로 불리던 게임들이 유독 한국에서 부진한 이유는? 1 file 2020.09.21 김상혁 89832
프랑스의 깊은 맛, 대표 음식 Top 3 file 2017.10.18 박미진 83926
내가 직접 만들어서 팔아요. 2017.06.30 박승미 83771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692
청소년들에게 일상이 되어버린 비속어 1 file 2017.03.20 김재윤 82387
공룡 대멸종, 그 원인은 무엇일까? file 2018.06.21 최수영 73642
필환경이 트렌드로 주목되다, 이 변화에 기여한 자들은? file 2020.04.13 남지영 64890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7757
FTA의 장점과 단점 file 2017.10.09 최현정 51383
마케팅의 기본, 분석법을 배우자!! file 2016.06.04 김성현 49699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9537
10대들이 받고 싶어 하는 선물은? file 2020.01.03 이채희 48408
청소년 아이돌 팬덤 문화의 양면성 2017.07.29 정혜원 48276
블루투스는 왜 한 개만 연결이 가능할까? file 2021.05.27 장은솔 45583
대기 중 이산화탄소로 망가져가는 해양을 살릴 수 있는 기술들 1 file 2020.12.31 이지민 45310
성격 유형에 따른 MBTI, 나는 어떤 유형일까? 7 file 2020.07.03 윤소영 44896
'탈석탄'을 위한 온라인 엽서 쓰기 4 file 2021.05.24 김태희 44771
자극적인 콘텐츠 속 블루오션, '무자극 컨텐츠 연구소' file 2017.08.01 김재윤 44686
세계의 의식주①: 다양한 전통의상 2018.01.30 김민지 43914
청소년들의 새로운 문화공간, '청소년 클럽' 5 file 2018.03.02 박건목 42080
세계로 나가는 자랑스런 한국의 맛! <제12회 전주국제발효식품 엑스포> 1 file 2014.10.23 최다혜 41619
1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패션 브랜드 '키르시(KIRSH)' 9 file 2019.04.12 김세린 41481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file 2015.06.07 김민정 41253
서울시 교육감과 함께한 명덕여고 학생자치법정 1 file 2015.08.11 심희주 40897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 MBTI 1 file 2020.01.03 조은비 40773
새로운 기자단 tong, 시작을 알리다 4 file 2015.07.28 김혜빈 40250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40048
[곰이 문 화과자] ' 2월 ' 문화행사 A to Z 19 file 2016.02.11 박서연 385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