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PICK] 국제백신연구소 사무총장과 화이자 백신 R&D 사업본부, 코로나 백신에 대해 이야기하다

by 이주연대학생기자 posted Jun 18, 2021 Views 1687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6월 기사 사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주연 대학생기자]

 

지난 611일 오전 930(한국 기준), KWiSE(재미한인여성과학기술자협회)‘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VID-19 Vaccines’를 주제로 온라인 화상 회의 프로그램 'Zoom'을 통해 온라인 포럼을 개최하였다.

 

KWiSE2004년 미국 샌디아고(San Diego)에서 현 회장 김자영 박사에 의해 시작한 단체로, 이후 LA, 워싱턴DC, 텍사스, 미국국립보건원(NIH), 뉴욕 등으로 지부를 확대해가며 여성 과학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매해 내셔널 컨퍼런스를 유치하여 최신 과학 기술을 공유하고, 인적 교류의 플랫폼을 마련하고 있다. 올해 2021년은 온라인으로 컨퍼런스를 진행하여 한국과 미국에 있는 과학자들이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참여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했다. 지난 611에 개최된 온라인 컨퍼런스에서는 국제백신연구소(IVI)의 총장 제롬 김 박사와 화이자 바이러스 백신 연구개발팀의 VP CSOPhilip R. Dormitzer 박사가 연사로서 참여하였다.

 

제롬 김 사무총장은, ‘Pearls and Perils: the evolving legacy of COVID-19 vaccin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ccess and equity’를 주제로 강연을 시작했다. 그는 COVID-19(SARS-CoV-2)에 대한 백신이 기존의 바이러스 백신 개발과는 다르게, 개발부터 임상까지 가는 데 약 11개월밖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개발되었음을 이야기하면서 이들 백신 개발 회사 중 모더나와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벡스의 경우 CEPI의 펀딩을 받았음을 덧붙였다.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2017년에 많은 사회적 비용을 요하는 대규모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대비하기 위하여 설립된 단체로, 정부와 국가를 막론하고 백신 개발에 지원하고 있는 단체다. CEPIGAVI(Global Alliance for Vaccines and Immunization), WHO와 힘을 합쳐 COVAX를 설립하기도 했다. COVAXCOVID19 백신의 개발 및 생산을 가속화하고 전 세계 모든 사람들에게 백신이 공급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어 현재 189개의 국가가 가입되어 있다.

 

이에 제롬 김 사무총장은, 다수의 국가가 COVAX에 가입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물량의 백신들이 고소득 국가에 묶여 있으며, 인류와 경제를 위해서라도 백신이 전 세계에 고르게 공급되어야 한다는 뜻의 ‘Vaccine Equity’를 강조했다.


뒤를 이어 강연을 이끌어간 Philip R. Dormitzer 박사는 ‘Scientific Basis for the Rapid Development of Highly Effective RNA-Based COVID-19 Vaccines’라는 주제에 맞추어 화이자/바이오엔테크의 백신 개발 과정 및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앞으로의 백신 개발 방향에 대해 언급했다.

 

지난 20203월 손을 잡은 미국의 다국적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의 스타트업 기업 BioNTechmRNA를 기반으로 한 백신을 개발하여 20214월 기준 약 70개의 나라에서 승인을 받아 현재 전세계 많은 이들이 해당 백신을 접종 받고 있다. Dormitzer 박사에 의하면 화이자가 임상을 진행한 후보 백신 물질에는 BNT162a1, 162ab1, 162b2, 162c2가 있었다. 현재 임상을 모두 통과하고 접종되고 있는 물질은 BNT162b2. 이들은 모두 핵산의 한 종류인 mRNA를 기반으로 한다.

 

바이러스 백신의 역할은,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충분히 생성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살아있는 바이러스가 체내에 유입되었을 때 신체가 효과적인 방어를 할 수 있게 한다. 백신은 크게, 단백질을 기반으로 만들거나 핵산을 기반으로 개발한다.

 

화이자/바이오엔테크가 COVID19백신에 활용한 mRNA도 핵산의 한 종류다. 신체의 생리작용은, DNA에 암호화되어 있는 유전정보가 mRNA로 전사된 뒤 단백질로 번역되고, 이렇게 생산된 단백질이 기능을 하여 발생한다. COVID19 백신에서의 mRNA, SARS-CoV-2가 신체의 세포 내로 유입될 때 필수적인 단백질 중 하나인 S단백질(Spike protein)을 발현할 수 있는 유전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 백신을 접종하면 신체의 세포가 SARS-CoV-2 단백질의 일부(S단백질)를 생성하여 세포 표면에 표시하게 되고, 이 단백질을 인식한 체내의 면역세포들이 항체를 만들어 실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대비하게 된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 백신에 이용된 mRNA는 생산성 측면에서 아주 우수하나 그 자체로는 체내에서 불안정하다. 따라서 Dormitzer 박사는 화이자/바이오엔테크가 자신들만의 특허기술을 이용하여, mRNA가 지질로 구성된 미립자(LNP, Lipid nanoparticle) 속에서 안정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했다고 전했다. 또한, mRNA의 발현효율을 높이고 체내 안정성을 높이며, 체내에서의 적절한 면역반응을 일으키기 위해 mRNA의 자연적인 유리딘(Uridine, U)염기를 수도유리딘(Pseudouridine, Ψ)으로 치환하였음을 강조했다.

 

이후 Dormitzer 박사는 독일과 미국에서 시행한 후보물질 BNT162b2에 대한 성공적인 임상시험 결과에 대해 설명했다. 임상 1상에서는 안정성과 면역원성을, 임상2/3상에서는 백신의 효과를 중심으로 바라보았다. 95%의 효과를 가지는 BNT162b2 백신은, 임상 2/3상에서 인종과 연령에 따른 시험에서 모두 효과를 보였으며 일부 피로와 두통, 근육통, , 설사 등의 반응을 보였으나 안정성 측면에서 임상을 통과할 수준이었다.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지속적으로 당사의 백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당부했다.

 

더불어 최근 영국발, 브라질발,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등의 코로나바이러스 변이가 출몰하여 많은 이들의 걱정을 사고 있지만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의 백신은 영국발 변이에 대해 89.5%, 남아공발 변이에 대해 75%의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시사했다.

 

마지막으로 Dormitzer 박사는 화이자가 여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더 효과적인 접종 방법을 개발하고, 새롭게 출몰하는 변이에 대해서도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대학생기자 이주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8기김성희기자 2021.07.05 08:51
    코로나를 이기기 위한 많은 분들의 노력 정말 감사합니다!
    그리고 백신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알 수 있어서 흥미로웠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725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439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6672
잠실청소년센터, 건강한 운동 습관 형성 위한 ‘잠실 in BODY’ 프로젝트 운영 file 2022.06.10 이지원 10150
경기도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환경의 날 맞이 공동 플로킹 챌린지 진행 file 2022.06.09 이지원 8640
하자센터,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실험실, 탱탱랩’ 환경프로젝트 진행 file 2022.06.07 이지원 8623
우체국예금·보험과 함께하는 2022 우체국 문화전 file 2022.06.07 이지원 8429
“저희는 승리하길 원할 뿐입니다” 글로벌기업 나이키(NIKE)가 세계에서 승리하는 방법 file 2022.06.04 염지원 12244
LX한국국토정보공사, ‘LX국토 브릭아트 공모전’ 개최 file 2022.06.04 이지원 8605
서울의 미래를 알고 싶다면, 서울 연구원 시민기자단으로! file 2022.06.02 이지원 9824
신나고 흥미로운 연수구 도서관 여행 file 2022.06.02 최인영 8383
구립 은뜨락도서관, 북한산 인문포럼 : ‘나는 북한산 아래 산다’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5.30 이지원 9400
한눈에 알아보는 스케줄-스케줄 정리 애플리케이션 수업 시간표 알아보기 file 2022.05.26 조수민 14973
한국청소년재단, 청소년 기후위기 대응 아이디어 공모전 '슬기로운 지구생활+' 개최 file 2022.05.24 이지원 10166
구립증산정보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옛이야기에 담겨있는 인문학 만나기 file 2022.05.17 이지원 9932
서울시립청소년문화교류센터, '꿈과 사람속으로' 청소년해외자원봉사단 모집 file 2022.05.17 이지원 10215
자립준비청년과 아름다운 함께서기, 아름다운가게 청년 인턴십 4기 모집 file 2022.05.16 이지원 9866
'빛고을관등회' 전통등 전시회 file 2022.05.16 채원희 10164
영유아에게 꿀을 먹이면 안되는 이유 1 file 2022.05.10 김다혜 12119
춘천, 여행 명소 파해치다 1 file 2022.05.09 김명현 9719
부천FC, K리그2 선두 유지하며 5경기 연속 무패 도전 1 file 2022.04.18 지주희 9287
경기 부천시 도당 1-1구역 투명한 재개발 위해 조합원 뭉쳤다 1 file 2022.04.04 지주희 30304
한류가 가져오는 한류 무역 1 file 2022.03.28 강민지 10082
아이들이 부모를 선택하는 시대, '페인트' 1 file 2022.03.28 민유정 11275
MZ세대의 명품 '플렉스(Flex)' 1 file 2022.03.28 김지민 33340
화장품 소비 문화, 그 현황은? 1 file 2022.03.28 박예슬 10447
청년희망적금 걱정 잇따라.. 1 file 2022.03.28 박서빈 17125
시각화 그게 뭐길래? -시각화의 이중성 1 file 2022.03.25 조수민 16129
23여 년 만에 재출시한 '포켓몬빵', 선풍적인 인기를 끌다 1 file 2022.03.24 최은혁 27252
'예측불허' PL 순위싸움... 우승-챔스 티켓-강등 주인공 '아모른직다!' 1 file 2022.03.23 손동빈 9715
제주도 영어교육도시 내 열린 제8회 모델유엔(GECMUN 8) 1 file 2022.03.11 강려원 10024
거대 IT기업 '애플' 1 file 2022.03.08 현예린 12407
읽고, 보고, 들으면 내 방이 여행지로 바뀌는 여행 콘텐츠들 3 file 2022.03.08 오은진 9558
희귀의약품 '메카신(Mecasin)' 1 file 2022.03.07 김다혜 11081
한일 관계 개선의 거름이 되는 한일 청년 교류: JENESYS2021 1 file 2022.03.04 명나디 12090
3.1절은 어떤 날인가? 1 file 2022.02.28 이유진 10669
국내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 <인천 개항로> 2 file 2022.02.28 김다희 12200
소방청, “2021년 소방활동으로 화재피해 16조 원 경감” 1 file 2022.02.28 이지은 9326
그날의 감정도 메모처럼-감정 기록 애플리케이션 MOODA 알아보기 1 file 2022.02.25 조수민 14629
영화 <원더>와 <말아톤>이 장애아동 가족에게 건네는 따뜻한 위로 1 file 2022.02.24 김유진 12198
울산의 새로운 문화 공간, 울산시립미술관 2 file 2022.02.24 김지언 11332
고통의 연속이였던 코로나19 자가진단, 가글 한번으로 끝 1 file 2022.02.23 황진경 8187
대선 후보 본격 유세 시작...李&尹 민심저격 '로고송' 어떻게 만들었나 1 file 2022.02.21 손동빈 10750
혼란의 시대 속 현실을 파고든 영화 '돈 룩 업' 1 file 2022.02.18 이동재 9919
카페 프랜차이즈 가격 인상, 약 10년 만에 오른 커피 가격 1 2022.02.17 조민채 10572
책과 과학의 만남 1 file 2022.02.14 현예린 10005
광주광역시의 대표하천, 광주천 file 2022.02.14 채원희 9469
‘녹용을 먹으면 바보가 된다’는 속설은 어디서 왔을까? 1 file 2022.02.11 김다혜 11531
'자도 자도 부족한 그 존재, 잠'...수면이 이루어지는 과정은? 1 file 2022.02.11 하지수 9512
뮤지컬 ‘레베카’, 출연 배우 확진으로 오는 6일까지 공연 취소 1 file 2022.02.07 오다해 11292
뮤지컬 ‘광주’,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삼연 개막 확정 1 file 2022.02.07 오다해 98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