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by 이승우대학생기자 posted May 27, 2021 Views 73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b85669641476fb380b7a551723fcee9b.jpe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 청와대]


지난 21일(현지 시간) 진행된 한미 정상회담을 두고 22일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수석대변인은 논평브리핑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바이든 미 대통령의 성공적인 정상회담 결과를 환영합니다"며 "향후 후속 조치들이 속도감 있게 실현될 수 있도록 문재인 정보를 적극 뒷받침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다음날 23일 안병길 대변인 논평에서 "한국군 55만 명에 대한 백신 지원을 이끌어낸 것은 청와대와 여야 모두가 함께 이뤄낸 뜻깊은 성과다."라면서도 "국민은 지금 당장 백신이 급한데, 사실상 모든 계획이 중장기적 사이클에 집중되어 피부에 와닿지 않아 아쉬움도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주요한 아젠다는 미사일 지침 완전 해제, 대북한 외교 노선, 백신 협력, 차세대 기술에 대한 협력이다. 그중에서도 백신 협력과 차세대 기술은 당초 ‘백신 스와프’로 통용되는 반도체와 백신 스와핑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한국 기업이 약 40조 원을 투입하여 미국에 반도체 시설을 투자하는 데 따른 백신 지원을 약속받은 것이다.


한국은 55만 분의 ‘軍’ 접종용 백신을 얻었다. 하지만  미국 국방부는 24일(현지 시간) 백신이 한국 정부를 위한 것이 아니라 주한 미군 보호를 위해 지급한 것이라고 밝혔다. 즉, 한국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국민 보호를 위한 것이다. 한국은 한 해 국방 예산에 버금가는 막대한 금액을 미국에 투자하고 미국의 ‘자국민 보호용’ 백신을 얻는 데 그쳤다.


그뿐 아니라 대만해협, 남중국해, 쿼드(Quad) 등 미·중 갈등의 주요한 사안들을 공동 선언하여 중국의 반발을 삼으로써 이제껏 주장해오던 미·중 ‘균형’ 외교 방침도 무너졌다. 앞으로 다가올 중국의 반발, 북한의 태도에 대해서 어떻게 대응할지 문 정부가 해결해야 할 마지막 과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기 대학생기자 이승우]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52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1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910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3138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9880
10원과 50원짜리 동전, 이대로 괜찮은가 5 file 2018.08.24 강민규 12975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548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file 2017.11.20 성유진 11330
10월 국산 소형 SUV 판매량, 1위는 누구? 2 file 2017.11.20 김홍렬 12833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10031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810
1219차 수요집회 열려…청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10 file 2016.02.25 박채원 18632
1268차 수요집회, 소녀상 곁을 지키는 사람들 3 file 2017.02.13 이윤영 15797
1270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 중 3 file 2017.02.23 김규리 15863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586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10242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457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597
140416 단원고..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2 2018.05.08 김지연 10258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7247
16년만의 여소야대… 20대 국회는 과연? 3 file 2016.04.25 유진 16209
16차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1 file 2017.02.24 임지은 15871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073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246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475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557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7961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353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099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448
1월 18일부터 시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어떻게 달라질까? file 2021.01.20 신재호 10344
1인 미디어, 이대로 괜찮은가 7 2018.01.08 김태경 30717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278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040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797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624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327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655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792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1912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9842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188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2088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676
2017.03.10. 박근혜 정부는 죽었다 file 2017.03.12 최은희 12024
2017에서 2018, 변화하는 ICT 10대 이슈들 2 file 2018.01.10 허예림 13463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국민들에게 희로애락을 안겨주다. 2 file 2018.03.06 최다영 10233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1756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446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381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종료 3 file 2017.11.24 장서연 121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