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by 한형준대학생기자 posted May 26, 2021 Views 75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진.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형준 대학생기자]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불안정한 경기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이용하여 자금을 벌어들이기 위해 많은 투자자들이 대규모 금융 시스템에 뛰어들게 되었고 접근성이 뛰어난 가상 화폐와 같은 위험 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아졌다. 이는 위험 자산의 가치를 급격하게 상승시켰고 금융 시스템 내부에 위험 자산의 비중이 높아지는 상황을 초래하였다. 대규모 금융 시스템에서 위험 자산 비중이 높아진다면 안전 자산의 비중이 줄어들게 되어 안정적인 경제 상황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미국 연방 준비 제도(FED)는 팬데믹 상황이 지속적으로 악화됨에 따라 이러한 불안정한 경기 상황과 투자 과열의 분위기가 지속된다면 투자자들의 순수 자산에도 피해가 갈 것으로는 예상하고 있다. 또한 경기 호황을 위해 풀어놓았던 자본이 주식이나 부동산 등으로 유입됨에 따라 자산 버블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자산 버블이나 투자자들의 본 자산에 피해가 간다면 미국이나 선진국들은 금리 인상을 고려해 볼 수밖에 없다. 금리 인상을 통해 과열된 경기를 진정 시켜 투자자들의 과열된 투자 심리를 소강시키는 것이 목표이다.


하지만 이러한 금리 인상이 글로벌 경제 시장에 영향력을 끼쳐 개발도상국에 피해가 갈 수 있다. 금리 인상이 개발도상국에 미치는 영향은 개발도상국이 국제적인 무역이나 거래를 진행할 때 인상된 금리를 감당하지 못하여 무역이나 거래를 포기하는 점이다. 이와 같이 금리 인상은 과열된 경기를 소강시키는 데 있어서 해결책이 될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또 다른 문제점이 될 수 있는 모순점을 가지고 있다.


브레이너드 이사나 SEC와 같은 미국 금융 전문가들도 금리 인상에 따라 국제적인 투자자들의 위험 감수 심리나 투자 심리가 급격하게 소강한다면 경기 침체로 들어설 수 있다고 경고하며 이에 대한 예방책을 촉구하고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서도 단점이 있듯이 우리는 최대한 많은 사람이 만족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이다. 


코로나19라는 이때까지 겪어보지 못했던 대규모의 공황 상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가야 할지는 또 한 가지 우리의 숙제이다. 과거에는 의료 시스템이 발달하지 않아 보건 체계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았고 보건 체계가 금융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도 크지 않았다. 


하지만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글로벌 경제 시스템이 마비되었고 보건 의료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쏠리면서 현대 사회의 주체인 우리에게 또 하나의 숙제가 주어졌다.


이러한 숙제가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는 아니지만 여러 과정을 거치면서 해결 능력이 성장하고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아프지만 소중한 경험들을 통해 최선의 해결책을 강구하여 이러한 팬데믹 상황에서 유연한 대처법을 찾아내는 것이 현대 사회가 새롭게 가지는 숙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대학생기자 한형준]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26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28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283
이재명 與 후보, 위성정당 방지법 추진할 것 1 file 2021.11.17 고대현 14356
심상정·안철수, 다시 한번 서게 된 '선택의 기로' file 2021.11.16 김희수 14110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9056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10541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977
윤석열, 전두환 전 대통령 옹호에 이은 '개 사과' 논란에 이 지사 "한국판 홀로코스트 법 제정해야" file 2021.11.04 이도형 7919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378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949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754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6066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286
IMF, 세계경제전망 발표… 한국 경제는 선방하는 중 file 2021.10.18 엄태우 9761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7347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794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238
끝나지 않는 가슴 아픈 종파 싸움, 시리아 내전 file 2021.09.30 류채연 7716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797
역전을 노린다! 국민의힘 '추격자들'의 6인 6색 토론 전략 2021.09.30 김희수 12021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8221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8007
끝나지 않은 전쟁, 미국은 왜 아프가니스탄을 떠났나 file 2021.09.27 강도현 10489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838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819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10483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7404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7399
'AZ 2차를 모더나로...?' 강릉 주민 40명 오접종 논란 file 2021.09.24 신현우 14683
미국에서 1개월 동안 '어린이 감염자'가 4배 이상 증가 file 2021.09.23 안태연 10451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7276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8643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7643
정부 '위드 코로나' 본격 검토 2021.09.14 안서연 12434
위협받는 아프가니스탄 여성들의 인권 file 2021.09.03 이가빈 7449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1075
아프간 난민 수용에 대해 갑론을박..앞으로의 추가적인 난민 수용은? file 2021.09.01 이승열 9633
뜨거운 감자 기본소득제, 정말 불가능한 정책일까? file 2021.09.01 최서윤 7769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8135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886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7238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7556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456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8016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7003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722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059
공급 차질로 빚어진 불확실한 접종 시기.. 재조정 들어갈까? file 2021.08.26 백정훈 10226
정부, ‘위드 코로나’ “9월 말 이후 검토”... 일상 회복의 신호탄 될까 file 2021.08.23 김은수 7372
벤앤제리스, 이스라엘 서안지구에 아이스크림 판매 중단해 file 2021.08.23 고은성 92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