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by 이준호대학생기자 posted May 26, 2021 Views 71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018년은 반도체 미세 공정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한 해였다. 파운드리 산업의 선두주자 중 하나인 TSMC는 기존의 공정을 활용한 7nm 공정을 먼저 선보였고, 삼성은 EUV로 완전한 전환을 먼저 이끌어내기 위해 상반기에 8nm 공정 생산라인을 가동, 하반기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갤럭시 노트 10 시리즈에 최초의 7nm EUV 공정으로 생산된 엑시노스 9825를 탑재하며 공정 수준의 격차를 벌리려고 하였다.

 

다시 2021년 현재를 살펴보면, 삼성의 전략은 아직까지는 그렇게 효과적이지 못했다고 평가할 수도 있다. 삼성 파운드리의 고객이었던 퀄컴은 자사의 플래그십 칩셋인 스냅드레곤 800번대의 생산을 835를 끝으로 TSMC로 옮겼다. 삼성의 자사 AP인 엑시노스 시리즈를 생산하고는 있지만, 해당 칩셋의 성능에 대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IMG-332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준호 대학생기자]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에 강세였던 메모리 분야에서는 여전히 SK하이닉스와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퀄컴의 수주 또한 다시 가져오는 데 성공했다. 엔비디아의 RTX 3000번대 칩셋의 생산분도 맡게 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8나노 생산 공정을 활용하는 것으로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었다.

 

혹자는 애플이 지난해 발표한 M1 칩의 성능을 거론하며 삼성의 미래가 어둡다고 말한다. 실제로 M1은 한계를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는 만큼 압도적인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성능 차이를 보여줌에도 아직 호환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아이패드에도 이 칩을 탑재하였지만, 아직 앱 생태계가 이를 따라오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보이고 있다. 또한 삼성이 이끌어 가는 안드로이드 진영은 개방성 측면에 있어서 iOS 진영과 비교함에 있어서 큰 우위를 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TSMC가 위치한 대만의 수자원 상황이 좋지 않은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는데, 이 기회를 발판으로 생산 수주를 좀 더 가져올 수 있다면, 메모리 반도체에 이어 시스템 반도체까지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2기 대학생기자 이준호]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06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4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86
인공지능의 발전, 사회에 '득'일까 '독'일까 8 file 2016.03.19 김나연 23139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142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16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250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3271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276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308
교육청의 과실? 언론사의 오보? 그 진실이 궁금하다. 2 file 2017.02.09 서경서 23310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357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83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431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438
가사 소송법 24년 만에 전면 개정 추진, 미성년 자녀의 권익 보호된다 1 file 2015.02.21 김동욱 23499
페미니즘이 나아가야 할 방향 2 file 2017.02.24 유승균 23504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515
청소년들의 고카페인 음료 오남용 실태 8 2016.03.21 이현진 23527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606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619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724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727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747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788
[현장취재] 나눔의 참뜻을 배울 수 있었던 지난 2개월, 그 끝을 함께 장식하다 1 file 2015.03.03 최윤정 23858
자유학기제, 과연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 제도일까? 7 file 2016.03.01 이유진 23865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895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18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4079
위안부 수요 집회, 자유와 평화를 향해 외치다 2 2017.08.29 황유선 24128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24140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4175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183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4198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230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4269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4283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29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현재 상황과 대처방안은? 2 file 2019.10.11 정예람 24348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349
부산 한바다중학교, 증축공사현장에서 화재, 재학생들의 애도 물결 6 file 2017.02.13 김혜진 24383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405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472
‘쓰레기’에 몸살 앓는 여의나루 한강 공원 1 file 2016.06.25 김선아 24508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접속하니 사기 사이트로 연결돼..해당 사이트 클릭 주의해야 file 2017.07.16 온라인뉴스팀 24531
“세계 화장실의 날”을 아시나요? - 세계 25억 명, 위생상태 나쁜 화장실 사용 1 file 2016.11.21 노태인 24538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548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594
어린이들의 출입을 금합니다, '노키즈존' 3 file 2016.06.09 이민재 24628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248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