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일 위안부 협의, 그 후..

by 3기안성미기자 posted Feb 21, 2016 Views 269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0220_110942.jpg

▲일본군'위안부'역사관, 피해자 분들 사진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안성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지난해 1228, -일 외교장관 회담을 통해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루어졌다. 외교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합의 사항을 공식적으로 발표 한 뒤 합의내용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그렇다면 합의가 이루어진지 2달이 되어가는 동안 일본 정부의 위안부 피해를 겪은 할머니들에 대한 공식적인 사죄, 혹은 반성의 기미가 있었을까.


  없었다. 그들은 자신들의 만행에 대해 전혀 반성하는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지난달 일본 정부는 UN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22개의 질의 항목에 대해 협의내용과는 정반대되는 내용의 보고서를 UN에 제출한 바가 있다. 제출한 보고서에는 위안부를 강제로 끌고 갔다는 주장은 사실로 확인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있었다. 또한 216(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UN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일본에 대한 심사에서는 일본 정부의 대표가 일본의 위안부 문제에 관해정부가 발견한 자료에는 군이나 관헌에 의한 강제연행을 확인할 것은 없었다라고 고 주장하였다. , 국제 사회가 어떻게 바라보든 여전히 일본 정부는 강제연행 사실에 대해 완강히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리 당국의 외교부 대변인은 한일 위안부 합의의 정신과 취지를 훼손시킬 수 있는 언행을 삼가 할 것을 촉구 하였다.

 

  일본 정부는 생존해 계신 위안부피해자 할머니들의 증언을 수 없이 묵살하고 있다. 또한 피해자 할머님들의 뜻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한일 위안부 협의는 할머니들께 더욱더 상처가 되었다. 얼마 전, 피해자 김경순 할머니께서 그토록 원하셨던 일본정부의 사죄를 받지 못하시고 결국 별세하셨고 이제 총44분이 생존해 계신다. 220, 나눔의 집 자원봉사회원 O.T에서 안신권 소장은 가해국인 일본은 위안부 강제연행 사실을 잊고 싶겠지만 피해국인 우리는 그것을 절대로 잊어서는 안된다며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해 안일하게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뜻을 밝혔다. 우리는 계속해서 자신들의 만행을 부정하는 일본에게 사죄를 받을 때 까지 절대 포기해서는 안되며 위안부문제의 진상을 국내외에 알리도록 노력 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안성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장서윤기자 2016.02.22 10:56
    위안부 협의가 끝났다는것과
    위안부문제의 진심어린 사과는 다른것같네요.
    하루빨리 일본이 제대로된 사과를 하길 바라는마음입니다. 또 이문제가 널리퍼지길바라구요.
    좋은기사 잘읽었습니다:)
  • ?
    3기안성미기자 2016.02.22 12:17
    네 저 역시도 이 문제가 속히 해결되길바랍니다. 지적감사드리구요!더나은 기사를 작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2 19:11
    자신들의 잘못을 끝까지 인정하지않고 모른척하는 저 태도가 너무 화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안성미기자 2016.02.22 23:11
    일본의 태도는 정말 말로 표현하기 힘들만큼 화가 납니다. 개인적으로는 앞으로 한일 외교관계에 있어서 우리나라가 더욱 강경한 태도를 보여주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사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2 22:04
    요즘 위안부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아지는 것 같아요.
    앞으로도 위안부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시는 분들이 더 많아져서 모두 함께 해결해 나아갔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안성미기자 2016.02.22 23:18
    나눔의집 봉사자 오티때 보니까 위안부문제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고 계신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앞으로 더욱 많은 분들, 특히 청소년 친구들이 역사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활동을 하길 바랍니다! 기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22 22:12
    정말 이건 아니다 라는 생각이 들어요
    일본의 태도를 보면 볼수록 독일과 너무 비교가 되네요 자신들의 조상들이 한 행동들에 대해 반성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뇨.. 우리나라 국민들이 이 문제에 관심을 많이 가져줬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안성미기자 2016.02.22 23:24
    맞아요.독일과 정반대의 태도을 보이는 일본..여러 질타를 무시하고 독단적인 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한다면 언젠가 후회할 날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기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3기강민주기자 2016.02.22 23:19
    위안부는 정말 아직도 끝나지 않은 숙제인 것 같네요. 빨리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안성미기자 2016.02.22 23:27
    어서빨리 위안부 문제에대해 일본정부가 반성의 태도를 보여주길 바랍니다. 기사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3기박성수기자 2016.02.23 02:09
    이런 한일위안부 협상을 통하여 위안부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네요.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3 07:16
    44분께서 반드시 사과를 받으시길 바라요...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08 22:05
    위안부 문제 대한민국의 한 국민으로서 이 문제의 진실이 일본 국민의 머리에 인식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43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81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045
'우리는 독립을 요구합니다!', 카탈루냐의 독립 요구 시위 2019.10.22 신주한 10701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510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정우 美 송환 불허한 법원, 가라앉지 않는 비난 여론 2 file 2020.07.22 김수연 11099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717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313
'이천 수간 사건' 국민청원 게시 file 2019.05.27 허서인 12854
'임금 체불 의혹' 웨이브에이전시 송모 사장, 보조 출연자들에 폭언 일삼아 file 2023.11.05 김진원 5813
'있어빌리티'는 이제 그만 file 2019.05.07 신아림 14824
'잊혀질까 봐, 흔적도 없이 사라질까 봐...' 나비의 1219번째 날갯짓 10 file 2016.02.24 김민지 21805
'자발적인 청소년 정책 참여의 첫걸음' 제 1회 청소년정책학술회, 성공리에 개최 그러나 10 file 2016.02.14 박가영 18471
'자율주행 자동차' 무인화 시대 다가오다 file 2019.02.28 이승민 11950
'장미대선'을 앞둔 안철수의 교육정책, 학생의 시선에서 바라보다 file 2017.03.22 홍정민 18671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239
'전 국민 고용보험시대'의 시작 file 2020.05.26 박병성 8598
'전안법' 시행, 누구를 위한 법인가? 7 file 2017.01.25 김연우 18687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529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6218
'정준영 사건' 2차 가해, 당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 file 2019.03.25 전유진 13281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3176
'제33차 혁신성장 전략점검회의' 개최 file 2021.09.27 이지은 7807
'존댓말 없는 사회' 실험...어린이가 성인에 반말하는 봉사활동에 가다 file 2023.11.08 조혜영 5689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 이제는 대책을 세워야 한다. 1 file 2018.03.02 이단규 12012
'촛불 vs 태극기' 정월 대보름의 탄핵찬반집회 1 file 2017.02.13 김태헌 25463
'촛불'이 일궈낸 대선, 대선이 일궈낼 더 나은 대한민국 4 file 2017.05.07 김유진 10756
'최대 산유국, 이상적인 무상복지국가, 미인 강국'의 몰락 2021.03.29 김민성 9839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137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349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255
'투'덜대지 말고, '표'현하세요. 6 file 2017.05.05 이주은 11439
'트럼프 대학' 소송 2500만 달러로 서둘러 종결 1 file 2016.11.22 백재원 17950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9126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3102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1 file 2018.08.07 이선철 11301
'표현의 자유'의 정당성에 관하여 13 file 2016.02.19 김지현 18516
'하얀 계란' 아직 생소하신가요? 14 file 2017.01.25 정수아 30036
'학교폭력 의혹' 서수진, 연예계 문 다시 두드린다 file 2023.10.21 이가빈 5604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559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12218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808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788
'행정구역 쪼개기'로 불편함 겪는 위례신도시 하남 주민들 file 2016.05.25 최민지 17911
'호남 민심 잡기' 나선 야당 주자 문재인 4 file 2017.01.22 김다현 17780
'혹시'나 '옥시'만은 1 file 2016.05.15 조민성 16585
'회복되는 남북관계'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 2018.04.04 마준서 10061
100만원짜리 콘서트 5 file 2016.03.25 장채연 16744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916
1020 정치참여, '젊은 정치' 가능할까? 10 file 2017.02.11 최은지 28428
10년 만에 다시 재조명된 ‘장자연 사건’...청와대 국민청원 3위 기록 1 file 2019.04.05 안서경 136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