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상처받은 아이들, 아동학대

by 3기김가현기자 posted Feb 21, 2016 Views 1702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들어 가장 많이 발생한 아동 강력 범죄는 바로 아동학대이다.

아동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 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있는 신체적,정신적,성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것과 아동의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하는것을 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아동 학대의 종류는 앞서 말했듯이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 으로 이루어져있다.  먼저 신체학대란, '보호자를 포함한 성인이 아동의 건강또는 복지를 해치거나 정상적 발달을 저해할 있는 신체적 폭력이나 가혹행위를 하는것(아동 복지법 3 7)이다.  신체학대의 종류는 직접적으로 가하는것,  도구를 사용하는것, 완력을 사용하는것이 있다. 신체학대는 직접적으로 학대하는 것인만큼, 아동들의 피해 후유증이 매우 크다. 다음은 정서학대이다. 정서학대는 정서적 위협, 언어적 모욕, 감금이나 억제, 기타 가학적인 행위를 말하며 언어적, 정신적,심리적 학대라고도 한다. 정서적 학대는 다른 학대 유형에 비해 사례가 매우 빈번하며 가장 흔한 아동학대로도 알려져 있다.(2013 아동학대 사례유형 기준) 정서적 학대는 추후 아동들의 인성문제까지 이어질 있으므로 심각성이 매우 크다.  학대는 그대로 아동을 성적으로 추행하거나 가혹한 행위를 하는것을 말한다. 학대는 다른 학대 유형에 비해 피해 사례가 4% 적은 이지만, 피해아동에게 평생 남을 상처와 후유증이 생길 있는 학대 유형이기 때문에 근절 시켜야 한다.(2013 아동 학대 사례유형 기준) 마지막으로 방임이란 보호자가 아동을 유기하거나 방임을 하는것을 말한다.(아동복지법 3 7) 방임은 아동학대 사례유형에서 3번째로 빈번히 일어나는 학대이다(2013 아동학대 사례유형 기준) 아동이 위험에 처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조치없이 방치하는것이 방임에 해당된다. 이로써 많은 아동학대 유형이 있지만, 모두 피해아동에게 잊지못할 상처를 남길 있다. 이런 아동학대 예방을 포털 사이트들은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을 시행해 예방에 힘쓰고 있으며 학교들도 마찬가지로 아동학대를 줄이기 위해 예방 영상을 보여주는 등 예방에 힘쓰고 있다. 아동학대가 의심된다면 신고는 국번없이 112 방문은 아동전문 기관을 방문하면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 김가현기자]

[이미지 제공=http://www.imagebase.net]

[정보 제공=중앙 아동보호 전문기관(http://korea1391.org/new_index/main/index.php)]

2월호[아동학대] 사진.jpg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승겸기자 2016.02.22 12:57
    요즘 뉴스에서도 아동학대가 연일 보도되고 있는데 참 안타까워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2 23:45
    댓글 감사합니다:) 아마 아동학대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강력범죄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일어난다고 합니다..하루빨리 모든 아동들이 행복해졌으면 하네요!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2 18:18
    학대에도 종류가 굉장히 다양한 것 같아요. 다양한만큼 상처받는 아이들도 적지않아보이구요.. 모두가 행복한 사회가 하루빨리 오길 기도합니다.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2 23:48
    댓글 감사합니다:) 저도 조사하면서 정말 놀랐어요! 그동안 흔히 생각했던, 쉽게 넘겼던 행동들 하나하나가 다 아동학대랑 연관이 있더라고요ㅠㅠ김윤정 기자님 말씀대로 정말 모두가 행복한 사회가 하루빨리 오길 기도합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22 22:04
    아동학대.. 정말 안타까운 단어입니다.
    많이 없어졌으면 하지만 지금도 어디선가 아동학대를 당하고 있을 수 있을 만큼 자주 일어나는 범죄라더군요... 상처받는 아이들이 줄어들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2 23:51
    댓글 감사합니다:) 맞습니다..하루에 한번꼴로 아동학대가 일어난다고 하는데 그 학대의 83%가 가정에서 일어난다고 합니다ㅠㅠ 가장 보호받아야하고 편히 쉴 수 있는곳이 학대 장소라니요ㅠㅠ 정말 우스갯소리로 세상에 모든 사람들이 행복해 지면 좋겠다고 말한적이 있는데 그 말이 조금 절실해 집니다ㅠㅠ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3 06:53
    반항할 힘이 없는 아이들을 상대로 학대를 한다니 마음이 아프네요. 아이들이 상처를 받지 않고 자라길 바라요ㅜㅜ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3 23:00
    댓글 감사해요! 아이들은 학대를 받아도 아직 어리고 잘 모르기때문에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합니다ㅠㅠ 정말 모든 아이들이 상처 없이 사랑만 듬뿍 받고 자라길 바랍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6.02.23 10:55
    요즘 신문과 뉴스에서 아동학대에 대해 많이 다루고 있어 관심이 생겼는데 시간이 지남에도 변한 것은 많이 없고 학대하는 사람들만 많아진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주위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해야겠어요
  • ?
    3기김가현기자 2016.02.23 23:02
    댓글 감사해요! 아무리 뉴스에서 보도되고 예방 캠페인을 해도 그닥 줄지 않는것 같아요ㅠㅠ 정말 좋은것만 배우고 좋은것만 보고 듣고 해야할 아동들에게 학대라뇨....정말 안타깝습니다.
  • ?
    *** 2016.02.24 16:50
    이상하게 최근에 아동학대 관련 기사와 뉴스 보도가 끊이질 않더라구요. 더불어서 자식을 살해하는 부모도 나오고.. 과거에는 되려 자식이 부모를 살해하는 패륜적인 사건이 뉴스에서 보도되었는데 요즘에는 이런 사건이 상대적으로 많이 보도되어서 너무 안타까워요. 물론 두 사건 모두 종결되어야 하는 사회 문제이긴 하지만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
    4기한세빈기자 2016.02.24 20:27
    힘이 없는 아이들을 학대한다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아동학대로 상처를 받는 아이들이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강예린기자 2016.02.25 08:35
    요즘 뉴스에서 아동학대 사례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 정말 안타깝네요.. 아이들이 얼마나 많이 상처받았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좋은 기사 잘읽고 갑니다!!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5 23:10
    작년에는 어린이집 폭행, 올해는 가정폭력이 이슈가 되는군요ㅠㅠ 더 이상 아동의 인권이 학대받는 날은 없었으면 합니다.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겠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27 11:59
    아동학대가 지금 이순간에도 발생하고 있다니 안타까워요. 아동학대라는 단어가 더이상 들리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즐겁게 뛰어놀며 커야할 아이들이 더 이상 상처받지 않았으면 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949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692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9902
하반기 개봉영화 미리보기 1 file 2016.07.24 손지환 17155
평창 동계올림픽, 그 시작과 성공 file 2018.03.08 이수인 17156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7161
도시 속 숨쉬는 역사; 단종과 정순왕후의 사랑이야기 part 2 1 file 2016.10.23 최원영 17168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7174
비상벨 울려도 모두 수업만......안전불감증 심각 2 file 2017.04.25 정무의 17177
전 세계인의 축구 축제, EPL의 개막 file 2018.09.17 최용준 17180
제5회 KSCY 한국청소년학술대회에 다녀오다. file 2016.04.24 황지혜 17182
우리 집에 또 다른 누군가 살고 있다? - [ip카메라 해킹] 6 file 2017.05.07 신예진 17185
재능기부 동아리의 함께 하는 세상 만들기 1 file 2017.07.22 이서은 17189
코앞으로 다가온 설 연휴... 차례상 잘 차리는 법은? 13 file 2017.01.24 박미소 17194
그들을 만나다, 유일한 배우와 이현우 무대감독! 4 file 2017.01.22 조수빈 17195
달콤한 디저트들이 가득한 [쁘띠북팔코믹스페스티벌:졸업전] 5 file 2016.03.04 오지은 17196
팬들의 마음에 불을 지핀 세븐틴의 온라인 콘서트 file 2021.01.27 김민결 17196
실제 같은 화학 실험 "BEAKER" file 2017.07.26 전제석 17197
4월 유성우 못 봤어... 5월 유성우 기다려 5 file 2020.04.27 김지현 17198
2016 서울 환경영화제(5.6~5.12) 진짜 자연인들이 왔다 file 2016.05.10 이민구 17199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다! - GLFY 2017 4 file 2017.02.09 이상윤 17199
지금 한국은 스페인 열풍 1 file 2019.01.16 전예진 17199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199
걷기의 시작, 트렌드의 시작, 건강의 시작 2 file 2016.10.23 김가흔 17201
3.1운동 100주년, 경상남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과 만세운동 개최 1 file 2019.03.19 이지현 17202
광주, 3.1절 100주년 기념행사 '그날의 함성이 울려퍼지다' 1 file 2019.03.06 조햇살 17203
한국 근현대사의 보고,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17.11.07 5기정채빈기자 17204
인생에서 사랑을 빼면 무엇이 남습니까? file 2018.04.02 최윤이 17206
장성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 위촉 및 기부금 전달식 가져 1 file 2021.03.30 정지우 17209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213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어플은 무엇이 있을까? file 2017.05.15 박소연 17215
환경파괴를 최소화한 케이블카를 타고 쿠란다마을로 file 2019.09.02 임하늘 17216
일본의 숨겨진 작은 제주도 1 file 2017.09.21 김하은 17218
[우리 지역 행사] 제37회 전국 장애인체육대회 충주에서 성공적으로 개최 file 2017.09.21 유민상 17218
마음이 편안해지는 책, '용기를 잃지 말고 힘내요' 1 file 2019.02.26 김세린 17218
제주 설화, 설문대 할망말고 더 있다? file 2016.07.25 박정선 17221
애드블록, 소비자의 권리 보호인가 웹사이트의 권리 침해인가 1 file 2016.09.25 유한나 17222
청소년이 만들어가는 올바른 환경문화 - 숯내지킴이 1 file 2017.05.03 김지아 17223
2월14일 발렌타인데이보다는 안중근의사를 기억하자!! 15 file 2017.02.14 주건 17231
본질은 잃고,미래를 얻자? 8 file 2017.01.22 신해인 17233
스마트 디바이스 쇼(KITAS) 2017, 모든 스마트 기기들을 한눈에! 2017.10.11 이유진 17235
2017 마마(MAMA) 시즌의 개막, 라인업부터 눈을 사로잡는다! 2 file 2017.10.27 정현지 17239
'도깨비'의 저승사자, 이동욱의 첫 공개방송 3 file 2017.08.31 이나영 17250
제2회 소리영어(LEFA) 영어 말하기 대회 개최 1 file 2017.04.08 오소현 17253
부천시 석왕사 연등축제 성료 file 2016.05.28 백재원 17256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7256
신한그린愛청소년환경자원봉사캠프, 제천시민을 위해 떠나다! 1 file 2016.08.08 백현호 17266
한국어린이기자단과 함께한 영화 ‘정글번치: 최강 악당의 등장’ 시사회 file 2018.04.11 디지털이슈팀 17273
우리들의 생활 속 AI · IoT file 2020.11.13 정시언 17273
코레일이 운행하는 부산 동해선(동해 남부선) 토큰용 승차권의 슬픈 사연. 2 file 2017.02.24 김선태 17274
한국인의 '벙어리 영어', 그 시발점은 어디인가 1 file 2017.07.25 신유정 172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