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21년 르바란 기간의 인도네시아

by 19기김민경기자 posted May 20, 2021 Views 150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인도네시아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기간으로 라마단과 르바란이 있다라마단 기간이란, 이슬람교도가 사용하는 달력의 9번째 달에 해당하는 단식 월을 의미한다


이 기간에 이슬람교도는 해뜨기 전 새벽 5시부터 일몰 후, 저녁 6시까지 음식, 담배, 음료 등 단식한다. 하루의 단식이 끝나게 되면 부까 뿌아사(Buka Puasa)라고 불리는 거창한 식사를 하는 문화를 즐긴다.

이러한 한 달간의 단식 기간이 끝나는 날을 르바란이라고 하고, 보통 이둘피트리라고 말한다. 이날 끄뚜밧이라고 불리는 쌀떡을 먹거나 고향으로 돌아가는 등, 르바란은 이슬람 교인들에게 가장 큰 명절 중 하루이다.


코로나19 발생 이전 인도네시아인들의 대부분은 이 기간에 고향을 가서 다 같이 음식을 먹으며 즐겼다. 또한, 폭죽을 터뜨리거나 오토바이로 돌아다니는 등의 관습이 있었다. 매년 르바란이 되면 약 3천만 명이 고향을 찾았고, 전국의 이슬람 사원에서 대규모 합동 기도회를 열었다.


하지만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많은 것은 제한되었고 바뀌었다. 지난해 르바란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연휴를 이틀로 줄이고, 대도시 거주민의 귀성과 합동 기도회를 금지했다.


인도네시아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지난해 르바란 연휴 전에 세 자릿수를 기록하다가 연휴 후에 네 자릿수로 급증했고, 귀성이 그 원인 중 하나로 꼽혔다. 따라서 2021년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슬람 최대 명절인 르바란 귀성 기간의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내선 교통편 운항 중단을 하였다.


무하지르 에펜디 인적자원개발·문화조정장관은 지난 3 26 "조코 위도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올해 르바란에도 귀향을 금지한다"라며 "연휴 뒤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가 급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정책에도 불구하고 지난 3월에 교통부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11% 수준인 약 2,800만 명이 귀성할 계획이라고 응답했고, 교통 당국은 귀향 금지 시행 5 6일부터 13일까지 8일 동안 44개 검문소에서 64,612대 차량을 되돌려 보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르바란 연휴 2일 차 관광/유원지마다 사람들이 많았고, 특히 안쫄(Ancol) 유원지에 31,729명 몰렸다.


2021년 르바란의 인도네시아.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9기 김민경기자]


현재 코로나19가 인도네시아에 본격적으로 퍼지기 시작한 20203월 이후 벌써 1년하고 2개월이 넘게 지났다. 하지만 하루의 신규 확진자 수가 꾸준히 3,000~5,000명으로 지속하고 있으므로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다. 아무리 가장 큰 휴일이고 중요한 날이라도 거리 두기를 하며 빠르게 코로나19 상황이 진정되었으면 한다. 오랜 기간 버텨왔으니 끝까지 지치지 않고 방역을 지켰으면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9기 김민경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924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645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8227
코로나 신조어 어디까지 알고 있나요? file 2020.09.23 조수민 14955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15470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302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437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309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238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799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813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469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394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255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510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2839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390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284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128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3840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539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0886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084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745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5846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079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843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606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683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100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297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727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460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775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0979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269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612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052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019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5815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758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124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229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666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430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022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632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042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645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220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6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