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by 18기김경현기자 posted Apr 29, 2021 Views 839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재작년부터 여러 민주화 시위들이 동남아시아 지역을 휩쓸었다. 2019년엔 홍콩 민주화 운동, 2020년엔 태국 민주화 운동, 그리고 2021년엔 미얀마 쿠데타 반대 시위가 등장하여 연이어 민주화를 향한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런 시위들은 여러 화제를 불러 모았지만, 그중 시위에서 사용되는 손가락의 힘이 주목을 받았다. 여러 시위들에서 다섯 개뿐인 손가락을 다양하게 조합을 해 주요 고비마다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 화제가 되었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시민들은 거리로 나와 행진을 하며 다섯 손가락과 반대쪽 손의 한 손가락을 더해 총 여섯 손가락을 머리 위로 펼치며 행진에 나섰다. 다섯 손가락 포즈는 중국과 홍콩 당국을 향한 다섯 가지 요구사항인 송환법 철회, 강격 진압 조사, 폭도 규정 철회, 시위대 석방, 행정장관 직선제를 뜻한다. 여기에 한 손가락을 더하여 어느 것 하나 죽일 수 없다는 의미를 더했다. 또한 동시에 다섯 가지 요구 하나도 빼놓을 수 없다", “자유를 위해 싸우자" 등의 구호를 외치며 홍콩의 민주화를 향해 항의를 이어갔다.

 

IMG_0299.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경현기자]


작년 7월부턴 태국의 젊은 세대를 포함한 많은 시민들은 군부독재의 불만을 품고 총리 퇴진과 군주제 개혁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7월에 열린 민주화 시위는 역대 태국의 시위 중 최대 규모였으며 주로 10~20대 젊은 학생들이 주도하였다. 이들은 왕실에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시위대는 국민은, 이 나라가 왕실이 아닌 국민의 것임을 선언한다'라는 명판을 설치해 왕실의 존재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하였다. 태국의 민주화 운동에선 세 손가락 경례가 등장했으며 이 세 손가락 경례는 과거 2014년 태국 쿠데타 반대 시위에도 등장하여 화제를 일으킨 바가 있다. 시위대는 군부를 향한 저항의 표시로 세 손가락 경례를 하였으며 2014년도 태국 쿠데타 이후 현재 세 손가락 경례는 군부의 항의하는 시민들에 민주주의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작년 10, 태국에선 왕비에게 세 손가락 경례를 했다는 이유로 체포영장이 발부되기도 하였으며, 이 계기로 많은 시민들은 세 손가락 경례를 직접적으로 하지 않고 종이에 그려 피켓처럼 들고 다니기 시작하였다.

 

또한, 가장 최근엔 지난달부터 일어난 미얀마의 군부 쿠데타의 반대하는 시민들이 시위를 하며 세 손가락 경례가 등장했다.. 지난 1일부터 수많은 미얀마의 시민들은 자유 민주주의를 위해 거리로 나섰으며 시민들뿐만이 아닌 승복을 입은 승려와 파업에 돌입했던 의료진, 공무원을 비롯한 많은 시민들이 미얀마의 민주주의를 외치며 거두 행진을 벌이고 있다. 시위대는 군경에 체포되어 끌려갈 때, 다리에 총을 맞아 피를 흘리는 도중에도 세 손가락 경례를 멈추지 않았다. 미얀마의 예술가들은 미얀마 거리 곳곳 담벼락에 세 손가락 경례를 그림으로 그려 묵언의 항의를 이어나갔다. 비록 이 그림들은 경찰이 검은색 페인트로 지워버렸지만, 예술가들은 그 위에 또다시 그림을 그리며 평화 시위를 이어갔다. 또한 주 UN 미얀마 대사까지 총회장에서 세 손가락 경례를 통해 국제사회의 지지를 호소하였다.


세 손가락 경례는 실제 시위 현장뿐이 아닌 SNS에서도 일명 세 손가락 경례 릴레이가 이어지고 있다. 세 손가락을 치켜든 사진이나 그림을 SNS에 올리며 시위와 관련된 해시태그를 달아, 미얀마의 현재 상황을 확산시키기와 동시에 시위에 동참을 하는 의미를 담은 릴레이이다. 미얀마의 민주화를 향한 시위는 미얀마 현지의 거리뿐이 아닌 SNS에서도 각국의 시민들에게서 응원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세 손가락 경례는 2012년 헝거 게임 '판엠의 불꽃'이라는 영화에서 처음 등장하였다. 영화 헝거 게임은 가상국가 판엠의 12개에 구역에서 2명씩 추첨해 그들끼리 대결을 해 최후의 승자가 남을 때까지 끝나지 않는 목숨을 건 서바이벌 게임에 이야기를 다룬 영화이다. 영화에선 주인공 캣니스 에버딘은 동생이 대결자로 추첨이 되자 본인이 나서 동생 대신 출전을 하겠다고 밝힌다. 최초에 자원자로 나선 캣니스를 향해 판엠의 주민들을 세 손가락 경례를 캣니스를 향해 들며 캣니스를 향한 사랑, 감사, 존중을 표한다. 그 후 오른쪽 손의 엄지, 검지, 약지를 세운 뒤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세 손가락 경례라는 행위는 자유와 민주주의 평등과 박애를 의미하는 상징적인 경례로 거듭났다.

 

이렇게 여러 손가락 조합들로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는 행위는 여러 비폭력 시위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손가락이 국제사회와 정치에 불러올 수 있는 영향력과 힘을 다시 한번 증명한다. 지금 역사에선 손가락이 메시지를 만든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이런 손가락을 통한 메시지 전달을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8기 김경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12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5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382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659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269
코로나 시대.. 울고웃는 지역경제 file 2021.08.20 이성훈 7987
깊어지는 이준석 갈등, 국민의힘 분열되나 file 2021.08.20 윤성현 8691
코로나19 치료제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효능효과 확대 및 투여시간 단축" 등 허가변경 심사 착수 2021.08.17 이주연 10644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769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2187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884
삐걱거리는 2020 도쿄올림픽, 성폭행 사건도 발생 file 2021.07.27 오경언 7934
떨어지면 죽는 거라던 중국 로켓은 어디로 갔나 file 2021.07.27 유예원 9342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408
나라를 위해 바다로 나선 군인들에게 돌아온 것은 '과자 한 박스' file 2021.07.26 백정훈 14700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279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1162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8143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445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961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513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2084
이스라엘 한국과 화이자 70만 회분 교환 협약 맺어 file 2021.07.07 고은성 9677
코로나19 이후 늘고 있는 아동학대 file 2021.07.02 조서림 16182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8207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865
평등의 바람, 멈췄던 물길이 다시 흐르기 시작한다 file 2021.06.28 백정훈 8064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707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2481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401
인도의 "검은 곰팡이균" file 2021.06.14 이채영 8048
대법원, 이기택 대법관 후임 인선 착수, 28일 후보자 추천 시작 file 2021.06.11 김준혁 7567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751
'한강 사건 타살 가능성 낮다'라는 전문가에게까지 근거 없는 억측 file 2021.06.03 박지훈 9941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890
가사근로자법안 발의, 환영의 목소리만 있을까 file 2021.05.31 하수민 7455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537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439
부동산 투기, 대한민국 거주 외국인에게도 일어나는 문제 file 2021.05.27 이수미 7203
새로운 형태의 자산 가치 상승, 현대 사회가 가지는 또 하나의 숙제 file 2021.05.26 한형준 7548
삼성은 반도체 패권을 가져갈 수 있을까? file 2021.05.26 이준호 7242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8223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592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920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500
美 보건당국, 실내 '노마스크' 허용 file 2021.05.24 양연우 7648
한미 미사일 지침 47년 만에 폐지! 자주국방에 한 걸음 더 가까이! 1 file 2021.05.24 하상현 10412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열흘 만에 휴전 합의 맺어 file 2021.05.24 고은성 7047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454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7446
신소재 그래핀과 보로핀의 산업화 해결 과제 file 2021.05.21 김률희 119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