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by 18기김태환기자 posted Apr 28, 2021 Views 1056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오염수가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그 물을 마시고, 밥을 짓고, 빨래하고 농사를 해라”, 이는 중국 외교부 자오리젠(趙立堅) 대변인이 한 브리핑 현장에서 한 발언이다.

photo_2021-04-23_04-30-4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8기 김태환기자]

일본 정부가 지난 4월 13일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기로 공식 결정하였다. 이러한 결정으로 UN과 그린피스 본부에서도 일본 정부와 도쿄 전력이 오염수를 태평양에 의도적으로 투기하는 것을 정당화하려 시도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며 강력하게 지적했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 또한 12월 14일에 열린 런던협약·의정서 당사국 회의에서 후쿠시마 오염수의 해양 방류는 일본 정부의 주권 사항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공고히 했다. 그러나 미국과 프랑스는 “국제적으로 수용되는 핵 안전기준에 부합하는 접근법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하며 암묵적 지지 의사를 표현했다. 반면 중국, 러시아, 캐나다, 북한,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주변 이웃 국가들은 강력히 반대 의사를 표명하고 있다.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방사능 위협을 야기할 수 있는 조치에 대해 이웃 국가들에 설명”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하며 압박하고 있다.

심지어 스가 내각의 이번 결정은 일본 내에서도 끊임없이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일본 어민과 야당 의원들은 “오염수, 바다에 한 방울만 버려 봐”라는 등의 발언을 하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일본의 시민 중 몇몇은 “한국인들은 오죽하겠나, 우리도 못 믿는데” 등의 표현으로 일본 정부에 불신을 드러내며 불안감을 표출했다. 일본 요미우리 신문의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응답자의 절반 정도가 오염수 방출이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우리 정부는 미래의 비극을 막기 위해서 일본 정부의 방류 결정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 우리는 일본 정부에 공식적인 환경영향평가 수행을 요구할 권리가 있다. 국제법에 규정된 사전 통보의 원칙과 환경영향평가 수행 의무가 충족되지 않은 오염수 해양 방류 결정은 국제법 위반이다. 이제, 우리 국민과 정부 모두가 힘을 합쳐 강력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때이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이는 약 28년 전 러시아가 핵 폐기물을 방출하였을 때 일본 정부가 한 소리이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행위는 전 지구적으로 매우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는 행위”라며 러시아의 행동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그런데 일본의 태도는 불과 20여 년 전과 180도 바뀌었다. 일본은 자신의 이익 조건에 맞게 태도를 카멜레온과 같이 바꾸고, 내로남불적인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8기 김태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8기김성희기자 2021.05.04 12:00
    걱정이 되네요. 대책이 어서 마련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95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87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870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41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4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11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73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96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43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83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4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00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11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34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101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30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50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27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25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13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46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22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43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3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9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70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55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5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39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57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52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02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39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8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61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93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60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91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93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86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99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24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551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96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75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33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11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90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90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21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