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by 19기최원용기자 posted Apr 19, 2021 Views 795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2147,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을 선출하는 보궐선거가 열렸다결과는 야당의 압승으로 끝났고서울시장에는 오세훈, 부산시장에는 박형준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특히 서울시장 선거에서는, 1야당인 보수정당 국민의힘과 중도정당 국민의당이 범야권 단일화를 추진하여국민의힘 오세훈 후보를 범야권 단일후보로 결정하기도 하였다.

 

오세훈 후보는, 단일후보 선출 이후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공동운영 의사를 밝혔고이후 시장으로 선출된 후에도 김도식 안철수 대표 비서실장을 정무부시장으로 내정하는 등 국민의당과의 연정에 힘쓰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주호영 국민의힘 당 대표 권한대행은 16일 열린 의원총회에서 "지난 4.7 재보궐선거 승리는 우리 당에 한 줄기 희망을 준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 당이 매우 잘해서 지지한 것은 아니라는 보도가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이제 열심히 하고 제대로 하면 지지를 받을 수 있겠구나'하는 계기를 만든 선거였다고 생각한다." 고 발언하였으며 또한 "다시 한번 각오와 자세를 다지면서 내년 정권교체를 위해서 노력하도록 하자"는 발언을 하며 2022년에 치르는 20대 대통령 선거에서 반드시 정권교체를 이뤄내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그림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9기 최원용기자]



또 국민의당 관계자는 "이번 선거를 통해 안철수 대표는 정치적 자산을 축적하였고 정치적 스펙트럼을 넓혔기에 향후 경로 선택에 용이할 것"이라고 말하였다이어서 야권 단일화를 이루고경선에서 패배한 후에도 대의를 위한 헌신적인 선거운동으로 재평가를 받고 있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범야권 단일화로 선출된 오세훈 시장이 앞으로 어떤 시정 운영을 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9기 최원용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87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94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883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697
"굳이 겉옷 안의 마이를…?" 복장 규정에 대한 학교규칙의 문제점 3 file 2017.11.23 이혜승 22668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650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648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619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615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587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2576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557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2545
[현장취재]'제 16회 서울청소년자원봉사대회' 나눔을 실천하는 청소년들 2 file 2015.11.23 박성은 22495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491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467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393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370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356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334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2312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2168
'솜방망이 처벌' 학교폭력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8 file 2018.08.24 조혜진 22156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122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2105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98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2082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075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2048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2036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2030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1988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937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882
'잊혀질까 봐, 흔적도 없이 사라질까 봐...' 나비의 1219번째 날갯짓 10 file 2016.02.24 김민지 21851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48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846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21833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21788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765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761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21682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1660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21649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안 기술, 양자역학의 원리 속에? 1 file 2020.07.15 서수민 21584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573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562
소녀상 농성, 그 400일의 분노 file 2017.02.06 윤은서 21560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552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21517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14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