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과정 밝혀내...

by 한건호대학생기자 posted Apr 14, 2021 Views 77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이황화몰리브덴형성 과정 규명...

반도체 등 다양한 전기소자에 응용 가능


반도체는 자동차부터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필요할 정도로 그 중요도가 매우 높다. 인터넷이나 뉴스를 보면 미국의 반도체 자립 선언’, ‘반도체 수급 부족 문제’, ‘우리나라 정부, 반도체 전략 마련 중등의 소식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사람들이 반도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렇게 요즘 과학기술의 뜨거운 감자인 반도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반도체의 원리나 역할 등에 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반도체의 원리와 역할

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건호 대학생기자]


우선, 반도체의 원리부터 간단하게 알아보자. 반도체는 최외각전자가 4개인 14족 원소 둘을 결합하면 밑에는 전자가 꽉 찬 띠, 위에는 전자가 없는 띠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최외각전자가 5개인 15족 원소를 조금 결합하면 N, 최외각전자가 3개인 13족 원소를 조금 결합하면 P형이 된다. 이 둘을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건호 대학생기자]


첫 번째처럼 N형에 +극을 연결하면 가운데 결핍층이 좁아 전기가 잘 통하고, 반대로 N형에 -극을 연결하면 결핍층이 넓어져 전기가 통하지 않는데, 이것이 반도체의 원리이다.

 

이런 반도체의 역할은 아주 다양한데, 작은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전기를 흐르거나 차단시키고, 어떤 신호를 기억하거나 계산하여 처리해 주기도 한다. 쉽게 말해 전기를 통해 내가 목표하고자 하는 동작이나 기능을 하게끔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원리 규명

이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도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 그 능력이 달라지는데,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의 형성 과정을 최근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규명하였다.

 

이황화몰리브덴은 두께가 매우 작은 층이 여러 개 쌓인 층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고성능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이황화몰리브덴의 형성 과정을 관찰하면서, 질서정연한 삼각형 모양의 층을 형성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런 층이 쌓이다 보면 반도체의 특성이 N형에서 P형으로 바뀐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향후 반도체 소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기소자에 응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어느 때보다도 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쏠리는 요즘, 국내 연구팀과 기업들의 관련 연구 활성화로 반도체 시장의 선두 주자를 앞으로도 지켜나갔으면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대학생기자 한건호]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5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98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192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89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81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73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34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59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15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348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908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80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7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86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179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87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533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78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75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83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14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90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95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80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66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42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319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00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20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311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51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70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8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330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13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568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61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169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63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458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649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80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640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131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838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96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65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344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451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70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