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과정 밝혀내...

by 한건호대학생기자 posted Apr 14, 2021 Views 777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이황화몰리브덴형성 과정 규명...

반도체 등 다양한 전기소자에 응용 가능


반도체는 자동차부터 거의 모든 전자제품에 필요할 정도로 그 중요도가 매우 높다. 인터넷이나 뉴스를 보면 미국의 반도체 자립 선언’, ‘반도체 수급 부족 문제’, ‘우리나라 정부, 반도체 전략 마련 중등의 소식을 쉽게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사람들이 반도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이렇게 요즘 과학기술의 뜨거운 감자인 반도체이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반도체의 원리나 역할 등에 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반도체의 원리와 역할

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건호 대학생기자]


우선, 반도체의 원리부터 간단하게 알아보자. 반도체는 최외각전자가 4개인 14족 원소 둘을 결합하면 밑에는 전자가 꽉 찬 띠, 위에는 전자가 없는 띠가 만들어진다. 여기에 최외각전자가 5개인 15족 원소를 조금 결합하면 N, 최외각전자가 3개인 13족 원소를 조금 결합하면 P형이 된다. 이 둘을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한건호 대학생기자]


첫 번째처럼 N형에 +극을 연결하면 가운데 결핍층이 좁아 전기가 잘 통하고, 반대로 N형에 -극을 연결하면 결핍층이 넓어져 전기가 통하지 않는데, 이것이 반도체의 원리이다.

 

이런 반도체의 역할은 아주 다양한데, 작은 신호를 증폭시키거나, 전기를 흐르거나 차단시키고, 어떤 신호를 기억하거나 계산하여 처리해 주기도 한다. 쉽게 말해 전기를 통해 내가 목표하고자 하는 동작이나 기능을 하게끔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내 연구팀, 차세대 반도체 소재 형성 원리 규명

이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반도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 그 능력이 달라지는데, 차세대 반도체 소재인 이황화몰리브덴의 형성 과정을 최근 성균관대학교 신소재공학부 김형섭 교수 연구팀이 규명하였다.

 

이황화몰리브덴은 두께가 매우 작은 층이 여러 개 쌓인 층상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고성능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이황화몰리브덴의 형성 과정을 관찰하면서, 질서정연한 삼각형 모양의 층을 형성한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이런 층이 쌓이다 보면 반도체의 특성이 N형에서 P형으로 바뀐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향후 반도체 소재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기소자에 응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 어느 때보다도 반도체에 대한 관심이 쏠리는 요즘, 국내 연구팀과 기업들의 관련 연구 활성화로 반도체 시장의 선두 주자를 앞으로도 지켜나갔으면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대학생기자 한건호]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97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35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07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275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8279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282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288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290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300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8304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308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312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315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316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318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330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345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348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364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368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8369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370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371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376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378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385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386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388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399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400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8403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404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406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415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41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419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433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438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442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442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449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454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460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463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467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468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469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475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479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480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5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