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by 김민석대학생기자 posted Apr 12, 2021 Views 63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016년 총선에서 반전의 결과로 이기면서 시작된 승리의 기록이 무너졌다. 2017년 대선, 2018년 지방선거, 2020년 총선까지 더불어민주당은 두려울 게 없었다. 이른바 '조국 사태'로 골병을 앓았으나 작년 총선에서 말끔히 씻어냈다. 그러나 이번 선거는 달랐다. 선거 승리의 영광과 역사를 뒤로 한 채. 허무하게 참패했다.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박형준 후보의 낙승을 예상했으나, 박영선, 김영춘 후보가 청년들을 위한 맞춤 정책을 펴는 다양한 노력을 했기에 박빙으로 보았다. 하지만 큰 착각이었다. 815분에 발표된 출구조사에선 오세훈, 박형준 후보의 압승을 예상했다. 심지어 표 차도 20% 이상의 큰 차이를 보였다. 이후 나온 선거 결과도 바뀌지 않았다. 부산의 박형준 후보는 오후 10시가 넘어서자 많은 방송사에서 당선 확실을 예측했고, 서울의 오세훈 후보도 당선 확실 예측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다. 게다가 기초의원과 단체장 선거를 포함한다면 21석의 대표 중 15명을 배출해냈다. 야당의 압승이다.  


 오세훈 당선사진.jpg

지난 재보궐 선거에서 당선된 직후 촬영한 오세훈 시장의 모습

[이미지 제공=국민의힘 서울시당,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는 '참패' 이외의 큰 의미를 지닌다. 바로 문재인 대통령의 '레임덕'이다. 보통 대통령이 1년 정도의 임기가 남았을 때, 대통령의 권한이 가장 약해지는 것을 레임덕이라고 칭한다. 부동산 문제로 이미 지지율이 점점 내림세이던 문 대통령은 LH 투기 사태 이후 33%라는 최저 지지율을 기록하며 정부에 대한 신뢰가 바닥을 쳤음을 보여준다. 그래서 이 선거가 매우 중요했다. 대한민국 인구의 25%가 참여하는 큰 선거인만큼 민심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선거에서 민주당은 참패했다. 연령별로 봐도 20, 30대에서 보수의 손을 들어주어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기반이 흔들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민심이라는 것이 이른바 '밴드 왜건(유행을 따라, 자신의 의지 없이 행동하는 것) 효과'가 발생하여 지지층의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더욱 이 선거가 중요했는데, 국민의힘이 웃었다.


대통령의 고민이 날로 깊어가고 있을지도 모른다. 선거 이후의 정치 판세는 국민의힘으로 넘어갔고, 선거에서 이긴 동력으로 정권교체도 이루려 힘쓰고 있다. 민주당의 위기이자, 대통령의 위기이다. 이 난관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대통령의 현명한 행보를 기대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대학생기자 김민석]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0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3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658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694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357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372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284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139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8078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595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132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203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1071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2091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948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237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925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131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293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57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101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988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379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326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646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8020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7010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1081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898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4333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7573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784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3039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2021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5140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593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616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2212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236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266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1078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6180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918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805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906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29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967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107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667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774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113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