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by 김도원대학생기자 posted Apr 09, 2021 Views 95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오세훈 서울시장이 7일 서울시장 선거에서 57.5%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2위 박영선 후보와 18.32%p 차이다. 특히 선거 당일 방송 3사(KBS, MBC, SBS) 출구조사에서 20대 남성의 72.5%가 오 시장을 지지한 것으로 밝혀져 이목을 끌었다.

 일각에서는 20대 남성의 투표 결과에 대해 정권심판론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부동산 정책 실패에 이어 LH 투기 의혹까지 일자 무능한 더불어민주당에 심판을 내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당의 국정 운영이 무능했다'는 이유만으로 오 시장이 몰표를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치적 계산만으로 오 시장을 지지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캡처.jpg
4.7 재보궐선거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 KBS 뉴스.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도원 대학생기자]

 오 시장을 뽑았다고 밝힌 A씨(남·28세)는 지지 이유로 '공약'과 '사람'을 들었다. 그는 "오 시장의 공약이 더 현실적이라고 생각했으며 서울시정을 운영해본 경험이 있어 더욱 신뢰가 갔다"고 말했다. 정치적 계산 없이  '공약'과 '사람'만 보고 판단한 것은 박 후보의 지지자도 마찬가지다. 박 후보에게 표를 던졌다고 밝힌 B씨(남·24세)는  "LH 등 최근 사건들을 통해 여당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면서도 "사람만 봤을 때 박 후보의 공약이 진취적이어서 더 진실성있게 다가왔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신뢰하지 않아도 더불어민주당이 추구하는 가치는 신뢰하는 셈이다. 

  A씨와 B씨의 공통점은 당이 아닌 공약과 사람을 보고 투표하는 일명 '인지적 무당파층'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만 거대정당 및 담론에 대한 일치감보다는 현실적인 이슈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현재의 2~30대를 구성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에서 인지적 무당파층은 상당히 보편적이다. 지난 3월 첫째 주 한국갤럽의 정당지지도 정기조사에 따르면 20대의 무당파층 비중은 50%로, 전체 평균인 30%에 비해 20%p 가량 높다. 물론 50%의 무당파층이 모두 정치에 관심이 많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20대의 높은 정치참여를 고려하면 상당수가 인지적 무당파층일 것으로 예측된다. 

 지지정당에 대한 소속감보다는 일 잘하는 정치인을 원하는 인지적 무당파층에게 중요한 것은 '이분법정치의 극복'이다. 특정 정당에 대한 소속감이 없기에 사회정의보다는 민생 해결을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적폐', '토착왜구' 등의 발언으로 보수진영에 이분법적 공세를 이어온 더불어민주당이 정작 민생안정에 실패하면서 이분법정치에 대한 반감이 더욱 확산됐다.

 여기에 오 시장은 '중도 성향의 경력직'을 강조하며 등장했다. 선거 초기 안철수 후보보다도 지지율이 낮았던 오 시장은 서울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지지율 반등에 성공했다. 오 시장은 안철수 대표와 단일화에 성공한 후에도 "자신은 중도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라며 중도를 계속 강조했다. 더하여 박 후보의 네거티브 전략에도 수세적인 자세만을 취했다. 정파성 없이 일 잘할 것 같은 이미지를 굳힌 것이다.

 반면 박 후보는 '무인 편의점' 논란과 'AI 번역' 논란을 안은 채 네거티브 공세에 치중했다. 박 후보는 편의점 야간 알바를 체험한 뒤 점주에게 무인 편의점 도입을 제안한 데 이어, 통역대학원생에게 AI 번역 스타트업 업체를 소개해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을 제대로 매듭짓지 않은 채 내곡동 의혹에만 목소리를 높여 '싸우기만 좋아하는 정치인'의 이미지를 굳혔다. 이런 모습이 20대 남성에게는 오 시장의 '중도 전략'과 대비됐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 시장은 선거 다음 날인 8일부터 바로 시장 업무를 시작했다. 그러나 오세훈 시장 체제가 '이분법정치'를 극복할 수 있을지는 아직 의문이다. 짧은 임기 동안 기존 서울시정을 충분한 평가 없이 모두 바꾸려 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서울시장직을 내년 3월 대선을 위한 디딤돌로 쓸 수도 있다는 우려 또한 제기된다. 이번 선거는 다가오는 20대 대선의 전초전이라는 관측이 대다수다. 20대 남성을 끌어모은 '이분법정치 극복'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대학생기자 김도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47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0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681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03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09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84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34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65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04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35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03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6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772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05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065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083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06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294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37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70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299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671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10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69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5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3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06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27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91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36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10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861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08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60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24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50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28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49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57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35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72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291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513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78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45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08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475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50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60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577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8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