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by 김도원대학생기자 posted Apr 09, 2021 Views 948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오세훈 서울시장이 7일 서울시장 선거에서 57.5%의 득표율로 당선됐다. 2위 박영선 후보와 18.32%p 차이다. 특히 선거 당일 방송 3사(KBS, MBC, SBS) 출구조사에서 20대 남성의 72.5%가 오 시장을 지지한 것으로 밝혀져 이목을 끌었다.

 일각에서는 20대 남성의 투표 결과에 대해 정권심판론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부동산 정책 실패에 이어 LH 투기 의혹까지 일자 무능한 더불어민주당에 심판을 내렸다는 것이다. 그러나 '여당의 국정 운영이 무능했다'는 이유만으로 오 시장이 몰표를 받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정치적 계산만으로 오 시장을 지지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캡처.jpg
4.7 재보궐선거 결과를 분석하고 있는 KBS 뉴스.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김도원 대학생기자]

 오 시장을 뽑았다고 밝힌 A씨(남·28세)는 지지 이유로 '공약'과 '사람'을 들었다. 그는 "오 시장의 공약이 더 현실적이라고 생각했으며 서울시정을 운영해본 경험이 있어 더욱 신뢰가 갔다"고 말했다. 정치적 계산 없이  '공약'과 '사람'만 보고 판단한 것은 박 후보의 지지자도 마찬가지다. 박 후보에게 표를 던졌다고 밝힌 B씨(남·24세)는  "LH 등 최근 사건들을 통해 여당을 신뢰하기 어렵다고 생각했다"면서도 "사람만 봤을 때 박 후보의 공약이 진취적이어서 더 진실성있게 다가왔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신뢰하지 않아도 더불어민주당이 추구하는 가치는 신뢰하는 셈이다. 

  A씨와 B씨의 공통점은 당이 아닌 공약과 사람을 보고 투표하는 일명 '인지적 무당파층'이라는 점이다. 이들은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만 거대정당 및 담론에 대한 일치감보다는 현실적인 이슈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 현재의 2~30대를 구성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에서 인지적 무당파층은 상당히 보편적이다. 지난 3월 첫째 주 한국갤럽의 정당지지도 정기조사에 따르면 20대의 무당파층 비중은 50%로, 전체 평균인 30%에 비해 20%p 가량 높다. 물론 50%의 무당파층이 모두 정치에 관심이 많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20대의 높은 정치참여를 고려하면 상당수가 인지적 무당파층일 것으로 예측된다. 

 지지정당에 대한 소속감보다는 일 잘하는 정치인을 원하는 인지적 무당파층에게 중요한 것은 '이분법정치의 극복'이다. 특정 정당에 대한 소속감이 없기에 사회정의보다는 민생 해결을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적폐', '토착왜구' 등의 발언으로 보수진영에 이분법적 공세를 이어온 더불어민주당이 정작 민생안정에 실패하면서 이분법정치에 대한 반감이 더욱 확산됐다.

 여기에 오 시장은 '중도 성향의 경력직'을 강조하며 등장했다. 선거 초기 안철수 후보보다도 지지율이 낮았던 오 시장은 서울시장 경험을 바탕으로 지지율 반등에 성공했다. 오 시장은 안철수 대표와 단일화에 성공한 후에도 "자신은 중도에 가장 가까운 사람"이라며 중도를 계속 강조했다. 더하여 박 후보의 네거티브 전략에도 수세적인 자세만을 취했다. 정파성 없이 일 잘할 것 같은 이미지를 굳힌 것이다.

 반면 박 후보는 '무인 편의점' 논란과 'AI 번역' 논란을 안은 채 네거티브 공세에 치중했다. 박 후보는 편의점 야간 알바를 체험한 뒤 점주에게 무인 편의점 도입을 제안한 데 이어, 통역대학원생에게 AI 번역 스타트업 업체를 소개해 청년 일자리 문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을 제대로 매듭짓지 않은 채 내곡동 의혹에만 목소리를 높여 '싸우기만 좋아하는 정치인'의 이미지를 굳혔다. 이런 모습이 20대 남성에게는 오 시장의 '중도 전략'과 대비됐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오 시장은 선거 다음 날인 8일부터 바로 시장 업무를 시작했다. 그러나 오세훈 시장 체제가 '이분법정치'를 극복할 수 있을지는 아직 의문이다. 짧은 임기 동안 기존 서울시정을 충분한 평가 없이 모두 바꾸려 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기 때문이다. 서울시장직을 내년 3월 대선을 위한 디딤돌로 쓸 수도 있다는 우려 또한 제기된다. 이번 선거는 다가오는 20대 대선의 전초전이라는 관측이 대다수다. 20대 남성을 끌어모은 '이분법정치 극복'이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대학생기자 김도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06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72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0846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8662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666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8685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8687
'대륙의 실수', 중국 직구족의 번성 1 file 2016.04.19 김도현 18701
젠트리피케이션, 주거지에서 상업지로... 도시 활성화 vs 주민들의 피해 2 file 2018.05.14 김민경 18702
인터넷 신문의 과도한 광고 22 file 2016.02.24 문채하 18704
"법을 악용하는 청소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들끓는 소년법 폐지 요구 3 file 2017.09.12 박선형 18709
백만 촛불의 간절한 외침 1 file 2016.11.24 박민서 18715
이세돌, 4국 백 불계로 대승... ... 하지만 대두되는 AI 윤리 관련문제 11 file 2016.03.13 박정호 18717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730
김영란법을 낳은 '벤츠 여검사 사건' 다시보기 1 file 2016.05.23 김도윤 18756
‘고령화 사회’ 중심의 서있는 대한민국,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file 2017.02.21 황현지 18758
내가 다니는 학교에 확진자가 나온다면? 6 file 2020.12.24 김진현 18760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767
100만의 촛불, 대한민국을 밝히다 1 file 2016.11.25 윤지영 18773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8775
부산 위안부 소녀상, 홀로 앉아있는 소녀를 지키는 다른 소녀가 있다. 7 file 2017.01.22 최문봉 18819
[사설] '돌아보는 대한민국 4년'_'작성자가 자리를 비웠습니다' 7 file 2017.01.23 이주형 18821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12 file 2016.02.22 장은지 18885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05
승리의 촛불, 광장을 메우다 20차 촛불집회 4 file 2017.03.23 박소윤 18915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8940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8952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8955
'포켓몬 고', '속초는 스톱' 12 file 2017.01.25 이주형 18966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1 file 2016.03.24 서소연 18972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8976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8981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8981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8995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9007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08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027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032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046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049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9054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9093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100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125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135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147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9162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169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181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18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1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