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by 이강찬대학생기자 posted Mar 29, 2021 Views 92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얼마 전 39일부터 310일까지 SK 바이오사이언스의 공모주 청약이 진행되었다. SK 바이오사이언스의 공모주 청약 통합 경쟁률은 약 335 1을 기록할 만큼 치열했고 상장 소식은 주식을 하는 사람들에게 뜨거운 관심사였다.


그렇다면 주식 청약은 어떻게 진행해야 할까? 우선 청약을 할 수 있는 증권사를 확인하고 해당 증권사에다가 증권계좌를 만들어야 한다. 증권사마다 다르지만 청약을 하려면 청약 일 이전에 계좌를 개설해야 하는 곳도 있으니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 증권사마다 보유하고 있는 물량과 균등 배정 주식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하고 계좌를 개설하는 것도 전략 중 하나이다. 계좌를 개설한 후에 청약을 진행하려면 신청물량 금액의 50%를 증거금으로 내야 한다. 공모주의 경쟁률이 높다면 투자금의 일부만 청약에 당첨된다. 이때 배정된 금액을 초과하는 청약 증거금은 다시 반환해 준다. 증거금을 낸 후 청약신청을 누르면 신청이 완료된다.


KakaoTalk_20210328_223013123.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기 이강찬 대학생기자]



기존에 공모주 청약 방식은 청약 증거금에 비례한 방식으로 증거금을 많이 낸 사람이 더 많은 주식 배정을 받아 가는 시스템이었으나 공평성의 문제 등으로 2021년부터 균등 배분 제도가 도입되었다. 이번 SK 바이오사이언스 청약 때 중복 청약이 가능했으므로 모든 증권사에 계좌를 개설해 청약을 하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었다. 하지만 중복청약으로 인해 계좌의 수가 공모주 배정물량 보다 많아지는 등 부작용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금융당국은 공모주 중복청약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420일까지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심사를 거쳐 520일부터 개정 시행령을 실행할 예정이다. 이 때문에 야놀자, 카카오뱅크 등의 비상장 주식의 중복청약이 금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2기 대학생기자 이강찬]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69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4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478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36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42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08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7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093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39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278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38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899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0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30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098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24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442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24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19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10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43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20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41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3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099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65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52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5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34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256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45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897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3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81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858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490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56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87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90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81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593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23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543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093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768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27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03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284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386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17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