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by 조민영대학생기자 posted Mar 26, 2021 Views 897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E8C116F0-D5CE-40D2-96F8-DB53F5C2E961-46918-0000055775A477F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조민영 대학생기자]


지난 16(현지 시각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연쇄 총격 사건이 발생해 8명이 사망하였다범행은 애틀랜타 지역의 스파와 마사지숍에서 발생했으며, 이 사건의 용의자는 백인 21세 남성으로 이 남성이 살해한 8명 중 6명은 동양인이며 4명은 한인인 것으로 밝혀졌다이로 인해 아시아인을 향한 혐오 범죄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미국 대통령 조 바이든은 애틀랜타를 방문해 “아시아인들이 겪는 고통에 공감하며정의 실현에 노력하겠다”라며 아시아인 혐오 중단 촉구에 힘을 싣겠다는 의사를 밝혔다하지만 조지아주 제이 베이커 보안관은 “범행 당시 그에게 매우 힘든 날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용의자가 스스로 성 중독 때문이라는 범행 동기를 밝혔다”라며 애틀랜타 총격 사건의 용의자를 두둔하는 발언으로 비판의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이 사건을 시발점으로 많은 아시아인의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 흑인에 대한 경찰의 과잉 진압에 대한 논란으로 흑인 인종 차별에 대한 목소리가 컸었던 작년 여름에 이어 올해에는 동양인 인종차별에 대한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총격 사건이 있었던 애틀랜타를 포함하여 뉴욕, 워싱턴, 피츠버그, 샌프란시스코 등의 도시에서 아시아인 혐오를 멈추어 달라는 시위를 촉구하고 있다. 시위에 참여한 시민들은 ‘STOP ASIAN HATE (동양인 혐오를 멈추어 달라)’라는 피켓을 들고 구호를 외쳤다.

 

아시아인 혐오 범죄와 차별에 유명 인사들 또한 소매를 걷고 나서고 있다. ‘킬링 이브’라는 BBC 영국 드라마로 한국의 많은 사람에게 이름을 알렸던 산드라 오는 지난 20일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서 열린 시위에 참석해 연설했다. 캐나다 한인 이민자 가정에서 태어나고 자란 그는 “우리는 아시아계 미국인으로서 서로에게 손을 내밀고 우리의 자매와 형제들에게 도와달라고 말해야 한다. 아시아인인 것이 자랑스럽다.”라고 말하며 아시안 혐오 범죄와 차별을 비판했다. 이외에도 미국 팝스타 리한나, 존 레전드 등이 이에 연대했고, 국내의 K팝 스타 씨엘, 박재범, 에릭남 등이 아시아인 혐오 반대 운동에 동참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2기 대학생기자 조민영]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70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0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305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80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800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63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32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49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02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333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95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65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60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78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161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78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508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72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71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71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00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81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84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86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5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31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305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93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85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304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50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59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77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323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07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556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602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158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52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444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644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73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630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130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823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82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56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333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437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63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