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Return to MAX”

by 17기이혁재기자 posted Jan 22, 2021 Views 85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전에 기사 중에 B737MAX의 재비행 가능성에 대하여 다룬 적이 있다. 5개월 가까이 지난 현시점에서의 가능성을 알아보자.


 결론부터 말하면 올해 상반기까지는 어림도 없다해당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은 B737MAX의 주요 설계 구조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항공사의 안전 관리사들로부터 숨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었다. 위 의혹을 숨기기 위해 25억 달러 2 7,500억 원을 위약금으로 지불하기로 합의를 봤다.  수수료 중 5억 달러는 JT610(PK-LQP) ET302(ET-AVJ)의 탑승자의 가족에게 나누어 주고 남은 17억 달러는 주문한 항공사들에게 추가로 지급하여 이번 기회로 기관의 투명성이 얼마나 기업에게 타격이 큰지 엿볼 수 있었다.


20210108214512_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이혁재기자] 


 그렇지만 20201230일에 싱가포르 민간항공청(CAAS)에서는 B737MAX에 대하여 비행 승인을 주어 1년 만에 싱가포르 창이 공항에 복귀했다. 미국의 아메리칸 항공은 미국에서 처음으로 2년간 운항을 하지 않았던 737MAX를 복귀하여 같은 날에 시험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2 26일 캐나다 항공사인 에어캐나다의 비행에서는 파이널 에어파크와 몬트리올 피에르 엘리오트 트뤼도 국제공항 오가는 C-SFNQ의 항공기가 1번 엔진의 저기압과 연료 공급의 문제로 엔진의 정지로 애리조나의 투손 국제공항에 예정에 없던 착륙을 했다. 3명의 조종사가 탑승 중이었고 부상자 없이 안전하게 착륙하였다.


 이 모든 일은 단 10일 만에 일어났다. 그렇기에 더욱 상황을 살펴보고 복귀를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보이고 만약 B737MAX가 비행하는 항공편이 있으면 모든 항공사가 안전성을 확인하고 운항을 할 때까지 기피하는 것을 추천한다.


 2021 1 8일 스리위자야 항공의 자카르타발 SJ182편인 B737-524(PK-CLC) 추락이 있었다. 이륙 후 고도를 높이다 실속으로 인해 고도의 분당 변화는 -30,000ft 수직 하락하여 자바해에 추락하였다. 이 사고는 단 7 28초라는 짧은 시간에 일어난 사고로 여행의 설렘이 있는 승객 56명과 승무원 6명이 전원 사망하는 안타까운 2021년의 첫 사상자를 안긴 항공사고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17기 이혁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71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0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383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787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5498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786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7698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8071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293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485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496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083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969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478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9786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5670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3977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794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939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891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204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195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619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934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381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2068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684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4277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114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9921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4569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588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576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3374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566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6176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0971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20365
지구촌을 공포에 빠져들게한, 여성혐오문제'페미사이드' 2 file 2016.05.25 장채연 17734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6055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3199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10422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697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4291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5955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1096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222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7028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8267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986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93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