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내가 쓰는 스마트폰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by 19기강대우기자 posted Jan 20, 2021 Views 1647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01201_225512578.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강대우기자]


우리는 평소 사라진다고 하면 끔찍할, 없어선 안 될, 현대인들의 필수품인 것 마냥 스마트폰을 달고 산다. 그만큼 스마트폰은 당연하다는 듯이 자연스레 보편화 되었다는 걸 우리에게 암시해줬다. 마트, 편의점 등에서 파는 생수는 보통 플라스틱 물병에 담겨 판매되곤 한다. 또한 식당에서 물이 담겨 나오는 물병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이 대체 어떻게 만들어진 것일까?, 어떤 기술을 접목한 것일까? 그 해답은 '금형'에 있다.


'금형'이란 동일 규격의 제품을 대량생산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이다. 앞서 말한 물병과 스마트폰, TV 등의 전자 제품은 물론. 자동차, 항공기 등을 비롯해 사무용품, 스포츠용품, 식기류 등에 이르기까지 각종 산업 및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데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금형은 이러한 제품의 디자인과 품질 및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금형의 갈래엔 프레스 가공, 플라스틱 금형, 성형가공, 분말야금 등이 있다. 물병이 바로 플라스틱 금형의 한 갈래인 블로우 금형을 통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선 여러 합금, 주철 등의 재료를 필요로 한다.


금형은 여러 특성이 있다. 첫째, 보다 많은 제품을 품질 유지와 더불어 대량 생산까지 가능케 하는 기술이기에 경제를 대표하는 산업이라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둘째, 제품을 대량 생산하는 제조업체와는 달리, 금형은 특정 제품을 생산토록 설계 및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수요자의 요구에 따른 주문 생산 방식이다.


금형은 제2차 세계대전을 거쳐 1950~60년대 금형산업 태동의 시기를 맞이했다. 60년대 이후부터 본격적인 태동의 시기를 맞았으며 라디오, 전화기, 냉장고, 흑백 TV 등 가전 생활용품 보급을 시작으로 70년대에 들어서는 경제 발전 및 양산체제에 힘입어 금형산업이 급속히 발전했다. 이후 1980~90년대에 성장발전기를 거쳐 지금의 금형산업이 되었다. 이를 통해 '금형'은 우리의 삶에 녹아들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 17기 강대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13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62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2496
에너지자립 공공건축물, 에너지드림센터 2019.03.04 박정현 14652
2019 삼성 갤럭시 S10 이전의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까...? 8 file 2019.03.04 최수혁 16335
제40회 전국 만해백일장, 3·1운동 100주년 맞아 성황리에 마무리 file 2019.03.05 정다운 17068
[K리그1] K리그 우승팀 전북, FA컵 우승팀 대구와 무승부 file 2019.03.06 박민석 15096
광주, 3.1절 100주년 기념행사 '그날의 함성이 울려퍼지다' 1 file 2019.03.06 조햇살 17493
지금까지 이런 웃음은 없었다, 이것은 영화인가 개그인가? 1 2019.03.06 조유진 14240
3.1운동 100주년! 새로운 100년을 여는 천인평화원탁회의 file 2019.03.07 김아랑 13627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유기동물 행복 찾는 사람들 입양 캠페인 2 file 2019.03.08 정수민 17376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5877
아름다운 빛의 향연, 빛의 벙커 file 2019.03.08 조은빈 20472
롯데월드타워는 어떻게 지어졌을까? file 2019.03.11 봉하연 19337
MBN Y 포럼 2019, 청년들의 꿈과 열정을 두드린 시간 file 2019.03.12 이승하 15217
3.1운동 100주년, 해외의 항일 독립운동의 흔적을 쫓아서 '이준 열사 기념관' file 2019.03.12 장선우 15102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1513
하루에 한 발자국씩 「열두 발자국」 file 2019.03.13 황엘림 18476
음악PD 정재일의 특별한 나라 사랑 file 2019.03.13 장혜원 18037
아름다운 예술의 나라, 프랑스 탐방기 file 2019.03.13 10기송은지기자 19377
국제기구를 더 알아보자 file 2019.03.14 장혜원 20284
시베리아 횡단 열차 타봤니? 1 file 2019.03.15 정지우 22942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9500
항공우주에 미친 청년들, '꿈의 엔진을 만들다!' file 2019.03.18 김채현 19081
미네랄 오일의 누명, 석유 추출물 화장품의 진실 file 2019.03.18 임현애 20421
3.1운동 100주년, 경상남도 시민과 함께하는 기념식과 만세운동 개최 1 file 2019.03.19 이지현 17641
서울역사박물관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展'을 다녀오다 file 2019.03.20 이도은 21228
2019 K리그 개막전이 열리다 file 2019.03.20 박상은 18927
채식으로부터 오는 모든 것 file 2019.03.20 김지현 18712
3.1운동 100주년, 나라사랑 걷기대회 file 2019.03.22 김기혁 18060
SKY캐슬 예서는 '이기적 유전자'를 이해하지 못했다? 2 file 2019.03.22 이연우 40016
치열했던 무안고와 천안신당고의 접전… '2019 대한핸드볼협회장배 전국 중·고등 선수권 대회' file 2019.03.25 배시현 24351
위로받고 싶은 당신에게,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1 file 2019.03.25 최가온 18460
국제기구 진출, 외교부를 전적으로 믿으시면 됩니다 2019.03.25 신여진 20750
청주에 울려 퍼지다. 만세의 함성 file 2019.03.26 양희진 17156
오사카 꼭 가야할 곳 TOP3 2 file 2019.03.26 하늘 18930
'창원NC파크 마산구장' 드디어 개장 file 2019.03.26 민서윤 20398
'관중 친화적' MLB급의 창원NC파크 2019.03.26 백휘민 20885
가족과의 봄나들이, 불암산나비정원 file 2019.03.26 장윤서 18935
통일, 그게 뭐에요? file 2019.03.27 김주혁 17962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9421
[2019 세계 뇌주간] 창의성의 비밀, 뇌과학은 알고 있다 2019.03.27 김규린 23416
높아지는 축구 열기, 한국 축구의 봄날이 오다 1 file 2019.03.28 이준영 20313
복잡한 사회에 심플한 삶, '미니멀라이프' file 2019.03.28 김현정 18744
2019 세계 뇌주간 행사 '뇌로 떠나는 여행' 광주 개최 file 2019.03.28 유수진 18245
매화마을과 화개장터, 꽃축제로 봄을 알리다 file 2019.03.29 천서윤 20113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407
Tom Plate(톰 플레이트)-리콴유와의 대화(Conversations With Lee Kuan Yew) file 2019.04.01 홍도현 18649
설레는 봄, 추억 만들기 file 2019.04.01 이시현 17368
서울시립과학관에서 만나는 과학 file 2019.04.01 봉하연 19830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178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