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논란 많은 선거인단 제도, 왜 바뀌지 않을까?

by 17기이유진기자 posted Nov 30, 2020 Views 164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1월 3일 시작되었던 미국의 총선거가 11월 7일 오전 민주당의 조 바이든의 승리로 끝이 났다미국의 총선거는 미국 자체에서도 큰 이슈가 되었지만전 세계적으로도 큰 이슈가 된 사건이다과연 바이든의 당선으로 한국과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할지 궁금해진다.


또한, 미국 총선거로 주목받게 된 것이 있다바로 미국의 선거제도와 관련된 것인데미국의 선거제도는 우리나라의 선거와는 다르게 투표할 권리를 가지고 있는 유권자와 대통령 후보 사이에 선거인단이라는 그룹이 존재한다이런 선거제도를 만든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미국이라는 나라의 기원부터 알아보아야 한다.11월 기사사진(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이유진기자]


원래 미국이란 나라는,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 대륙에서 시작되었다종교의 자유를 원하는 영국인들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주권을 가진 작은 공동체를 만든 것에서부터 시작된다이 공동체들은 자신의 주권을 주장하며 중앙 정부에 권력을 부여하는 식으로 정권을 맞이한다이 점에서 우리나라와 달라 이질감을 느끼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제도가 바로 선거인단 제도이다


순서는 이렇다각 주의 모든 국민들이 투표를 진행한다미국에는 당이 민주당과 공화당 2개뿐이기 때문에 각 주별로 존재하는 선거인단이 이 투표 결과를 반영하여 더 많은 득표수를 받은 당이 선거인단 표를 전부 가져가게 된다여기서 각 주의 선거인단은 상원의원과 하원의원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이는 주별로 영향력의 차이를 줄이기 위함이다상원의원은 각 주별로 2명씩 총 100명이 존재하고하원의원은 각 주의 인구수에 비례하여 총 435명으로 정해져 있다.


이 이야기는 곧총 득표수로는 이겼을지 몰라도 선거인단의 표를 받지 못해 낙선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그 예시로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 대선이 있다힐러리가 실제 득표수에서 300만 표나 더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의 선거인단 표가 더 많다는 이유로 트럼프가 승리한 경우가 있었다.


이런 황당한 경우가 종종 있었음에도 미국이 선거제도를 잘 변경하지 않으려는 이유가 있다미국이라는 나라는 매우 넓기 때문에 투표용지를 전국에 배부한 후다시 거둬들이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다따라서 실용적이야 하며 판단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미국이 성장하면서 영토가 넓어지고 그만큼 다양한 생각과 다양한 인종의 사람들이 유입되었다따라서 미국인을 규정할 때헌법을 지키겠다고 선언한 사람을 미국인으로 인정한다그렇기에 헌법을 변경한다는 것은 미국의 정체성을 버린다는 이야기 같은 거부감을 일으킨다이 때문에 선거인단 제도를 바꾸기는 실질적으로 어려우며각 나라의 자주성을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는 의견으로 미국의 선거인단 제도의 변경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17기 이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706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451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7165
존 카니, 음악과 영화 file 2016.07.22 서지민 16454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454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6454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455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6455
전무후무한 3관왕, 요네자와 월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file 2018.07.26 6기박상현기자 16462
5월 5일 어린이날 영월에서는? file 2019.05.13 이지수 16462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6463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465
제 16회 부천 복사골 청소년 예술제 개최 file 2016.09.14 백재원 16467
5월, 꼭 봐야할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2018.05.14 오가람 16467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6469
차별을 향해 날리는 통쾌한 홈런 한 방, 대구퀴어문화축제! file 2017.08.27 고은서 16470
논란 많은 선거인단 제도, 왜 바뀌지 않을까? 1 2020.11.30 이유진 16473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6474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6475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6479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6481
울산 태화강, 예쁨예쁨한 '한복입은 봄 페스티벌' 4 file 2017.05.15 4기임소연기자 16481
부산의 기자 꿈나무들, 부산일보에 모이다 file 2016.04.05 이민지 16482
주민들간에 소통의 벽을 허물어준 평화동네 작은 음악회 2 file 2017.07.13 최희주 16482
제주도에서 추억을, 넥슨컴퓨터박물관 2 2018.07.13 안소정 16482
‘장애인의 날’이 무색한 시각장애인용 점자블록 개선 시급해... 2 file 2017.04.23 박현규 16483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6484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6484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6486
이주민들의 희망센터, 로뎀 1 file 2017.03.19 김다은 16489
왜곡된 생리 찾아 삼만 리, “나 생리한다!” 2020.03.02 최은아 16489
2018 평창동계올림픽 기념 특별전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한국·일본·중국' 열려... file 2018.03.01 류태원 16490
전시회 '슈가플래닛', 당신의 가장 달콤한 순간은 언제인가요? 1 file 2019.01.09 오희수 16496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6498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6501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6503
우리 동네에 공용 냉장고가 있다고? 중국 내 무인화 기기 사용 4 file 2020.05.02 김수임 16504
인간이라면, 잊어서는 안 되는 일, 위안부 file 2016.08.25 전지우 16505
자원을 생각하는 컵 1 file 2019.08.12 박지예 16506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6507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6509
청소년들의 의견을 나누어보는 토론,'세발작'개최 3 file 2017.06.04 신지원 16511
게임으로 배우는 유전자의 원리! file 2020.11.13 박선주 16512
세뱃돈, 낭비하지 말고 경제 흐름 파악하여 목돈 마련하자! 4 2019.02.11 한신원 16514
덕후, 새로운 문화를 만들다! file 2017.10.02 이지우 16520
우리 집에 짱구네 백마 택배가 왔다 2 file 2020.08.26 최유진 16522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6525
한미장학재단 동부지역 수여식 2016.10.16 조은아 16526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2 file 2017.05.05 김규리 16528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6528
지친 청춘들을 위한 박지선과 폴킴의 강연, <청춘강연> 1 file 2018.06.12 김지민 165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