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by 16기임솔기자 posted Nov 26, 2020 Views 860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JEABUCGWFK160514678124849.jpeg.jp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 청와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가를 받음]


 지난 11월 12일, 문재인 대통령이 미 대선 당선인 조 바이든과 첫 전화를 한 지 약 2주가 지났다. 통화는 약 14분간 진행되었으며, 문재인 대통령은 바이든 당선인의 당선을 축하하며 코로나19 및 북핵 문제, 한미 동맹 문제에 있어 짧게 대화를 나눴다. 또한 문재인 대통령은 통화를 마치고 바이든 당선인이 한미 동맹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으며, 최근 한국 언론에 직접 기고문을 보내며 한미 동맹의 발전과 존속을 재확인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바이든 당선인 또한 대한민국의 비핵화 및 여러 문제 해결 및 번영을 위해 긴밀히 협력할 것임을 밝혔다.


 11월 23일 문재인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한 수오지 미국 의원에게 축전을 보내며 그가 한미 동맹에 대해 노력한 부분에 있어 감사를 표하며 축하 인사를 전했다. 또한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4일 정례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의 차기 국무부 장관으로 지명된 토니 블링컨과 향후 한미 관계의 발전을 위해 상호 간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형성하겠다는 대한민국 외교부의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한미 관계의 긍정적인 방향만큼 우려 또한 상당수 제기되고 있다. 바이든 정부가 트럼프 정부에 비해 북한과의 비핵화 문제에 큰 관심을 가지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과 더불어, 트럼프 대통령이 시행했던 미국 중심주의적 외교 정책을 돌려놓고 코로나19에 대응하느라 그간 한, 미, 북 3명의 정상이 쌓아 올렸던 관계는 무의미해질 것이라는 지적 또한 발생했다. 이에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 유력인인 브래드 셔먼 의원은 방미단에게 내년 봄 이후 바이든 정부의 안정화에 따라 북한 비핵화 진전에 필요한 실질적인 조치를 과감히 취하리란 의지를 보이기도 했다. 양국 간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한미관계의 발전을 추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에 차차 대응해 나가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는 현 한미 관계의 상황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16기 임솔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7기김성규기자 2020.12.01 10:02
    앞으로 미국과의 관계가 더욱더 좋아졌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06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0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298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3 file 2017.02.28 조나은 16182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968
최소한의 투표권도 얻지 못하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8.13 장혜성 10490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238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8083
총선 국면 돌입한 정치권...국민의힘, 민주 당내 갈등에 이목 쏠려 file 2023.11.22 김도민 4600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643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2158
촛불집회 100일...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나 5 file 2017.02.09 장인범 17572
촛불의 시발점, 광화문 3.1운동 100주년 기념 file 2019.03.11 장민주 14069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1060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9913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0863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848
초유의 '4월 개학' 확정 2 file 2020.03.19 류경주 8803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310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2424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9330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8115
청학고 새월호 참사 2주기 추모행사 3 file 2016.04.23 문채하 18608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513
청주시 기록적 폭우, 사후 대책은 어떻게? 25일까지 수해피해신고 마감! 1 file 2017.07.24 조영지 12082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9180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921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252
청와대 해명에도 불구하고 점점 가중되는 '차이나 게이트' 의혹 file 2020.03.24 임재완 9423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568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811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4 file 2018.07.27 김정우 11662
청와대 '오보괴담 바로잡기' 3 file 2016.11.20 김다현 19978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청소년의 권리 2 file 2017.07.25 최지오 12217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794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664
청소년의 음주 흡연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16.05.24 최시헌 23871
청소년의 방역패스, 필수인가 선택인가 1 file 2022.01.21 최재원 15060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746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930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5125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939
청소년보호법과 소년법은 다르다? 7 file 2017.09.21 김주은 18201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963
청소년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 정치 1 file 2017.02.09 정재은 16524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788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519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2083
청소년들의 일상이 되어버린 SNS 2 file 2018.01.03 정유정 12606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257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93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