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통계로 알아보는 낙태죄 폐지

by 17기김자영기자 posted Nov 25, 2020 Views 144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낙태죄를 폐지한다는 소식에 여러 가지 의견이 오고 가는 가운데 우리 주변의 의견은 어떨까? 질문에 답하기 위해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해보았다.


  사람들은 낙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다는 예상과는 달리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비슷하게 나왔다.


Screenshot_2020-11-22-22-36-20.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김자영기자]


  낙태에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  폐지에 찬성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낙태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을 하더라도 폐지에 찬성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100명을 조사한 결과 100명 중 66.3%가  폐지에 찬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3.7%가 폐지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creenshot_2020-11-24-17-42-42.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17기 김자영기자]


  폐지에 찬성을 하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의견은 무엇일까? 폐지에 찬성을 하는 사람들은 산모의 기본권, 선택권 보장과 아이를 출산하고 책임지지 못해서 유기를 하기보다는 낙태를 하는 것이 더 좋은 방향이라는 의견이 많았고, 성폭행 등 자신의 의사에 반하여 임신을 한 경우 낙태가 필요하다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폐지에 반대를 한 사람들의 가장 많은 의견은 생명권 존중이 가장 많았다. 또한, 낙태죄를 폐지한다면  너무 무분별한  낙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그런데 큰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낙태죄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나왔던 것처럼  폐지에 찬성을 한 사람들의 가장 많은 의견이 바로 성폭행, 강간에 의한 임신인 경우에 폐지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런데 그 부분은 지금 낙태죄를 적용하지 않는 상황 중에 성폭행 강간 등에 의한 임신은 허용한다는 내용이 나와 있다.


  결론적으로 폐지에 완전히 찬성을 하는 것이 아닌 보완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통계로 알아본 사람들의 의견은 완전한 폐지가 아닌 낙태죄 법안의 일부분 수정이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17기 김자영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566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522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9748
2019 스위트 코리아, 디저트의 매력에 빠지다! file 2019.05.29 이지원 17142
北과의 화해의 길?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1 file 2018.02.21 김예준 17145
'2018 코리아 크리스마스 페어'로 함께 떠나요! 1 file 2018.12.10 반유진 17145
"금메달 박탈하라"...도 넘은 안산 향한 온라인 공격 2 file 2021.08.06 조영인 17146
안동의 봉사동아리 ROOKIE를 소개합니다! 2 file 2017.05.23 권나규 17148
부산 기후변화체험교육관 3 file 2017.02.15 전제석 17149
아이들의 목소리를 듣다! 어린이재단 경기북부지역본부 아동옹호센터 file 2017.09.29 임성은 17150
'그루밍족' 이어 등장한 '남성 뷰티 유튜버', 앞으로의 활약 기대돼… 4 file 2017.02.28 박서연 17151
'스승의 날' 축하 뒤에 숨은 불편함 2 file 2018.05.21 신효원 17155
거작들을 낳은 픽사의 '픽사 애니메이션 30주년 특별전' 2 file 2017.08.30 김수연 17156
YCF청소년동아리전시대전, 청소년의 꿈과 끼를 발산하다. 2 2017.08.11 박환희 17157
현대인의 눈건강 적색신호 2 file 2016.03.25 김수미 17159
장하준의 경제학강의 - 정치학에서 파생된 학문에 관한 간결하고 명료한 입문서 file 2019.05.28 홍도현 17159
리본 공예, 장애인 마음도 환하게 비춰주다 file 2016.03.20 김현구 17160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160
화전축제제전위원회, 모악산 진달래 화전축제 성공적 개최 3 2018.05.03 안성하 17167
<영화 칼럼> 영화 읽어주는 고양이 두 번째 이야기: 쓰리 빌보드 file 2018.07.06 남연우 17167
책가방 대신 카메라를 메고 교실 밖으로 나온 여고생 슬구를 아십니까? 2 file 2016.05.27 김윤정 17168
사회 곳곳에 자리잡을 인공지능, 당신의 미래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7.04.25 장영욱 17168
모리를 통해 느끼는 삶의 의미와 죽음 1 file 2018.10.05 박채윤 17170
두 마리 토끼 잡는 에너지 충전소 file 2017.02.28 최지민 17171
여행과 가방의 역사 속으로, '비행하라, 항해하라, 여행하라 ? 루이 비통' 전시 file 2017.07.02 김지우 17171
'호모포비아'라는 단어가 존재하는 세상 5 file 2018.11.14 김유진 17175
패럴림픽, 한계에 도전하다 file 2016.09.25 이하린 17177
이서 문화 어울림 장터에서 이웃과 소통하고 기부도 하자! 2 file 2017.03.13 김수인 17177
맛있으면 0칼로리?! 눈과 입이 호강하는 서울디저트페어! 2 file 2019.02.26 최승연 17179
리콴유(Lee Kuan Yew) - 내가 걸어온 일류국가의 길 file 2018.05.18 홍도현 17180
제 72주년 광복절, 광화문 광장과 세종문화회관에서 행사와 집회 열리다 file 2017.12.20 양륜관 17181
김태리, LG생활건강, 오휘 새 모델로 발탁 1 file 2017.08.31 디지털이슈팀 17182
중국 콘텐츠의 ‘동북공정’, 이대로 괜찮은가요? 1 file 2020.11.27 김송희 17185
미래의 희망... file 2016.07.17 3기박준수기자 17189
G.M.O.식품 얼마나 알고 먹나요? 4 file 2017.07.26 이주형 17192
금천구청 소녀상 제막식 개최 file 2017.08.24 전진서 17193
EM흙공으로 양재천 정화 활동을 하다 file 2016.09.26 강예린 17194
드라마 태양의 후예 ‘우르크’ 실제 장소가 아니다?! file 2016.03.21 심가은 17195
중고등학생 시절, 진정한 봉사활동을 원한다면? 2 file 2016.05.15 변지원 17199
어서와! 이런 홍보단은 처음이지? 2019.10.02 김지은 17203
2016년 주한외국 대사관의 날! 그 축제의 현장 2016.11.15 서지민 17208
청년들에게 희망을, 서울 밤도깨비 야시장 2017 1 file 2017.11.06 오소현 17210
2017 대한민국 LED 산업전과 대한민국 ICT 융합 엑스포 성황리에 마쳐 file 2017.09.22 박광천 17216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범이 내려 온다' 1 2020.11.27 전채윤 17220
2018 울산학생 대토론 축제 1 file 2018.06.21 조예린 17221
FIFA U-20 월드컵, 한국에서 개최되다! 2 file 2017.05.28 양승혜 17222
콘서트와 기부를 통해 사랑을 전한 "BTOB TIME" 11 file 2017.02.15 안효경 17224
청소년 범죄,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6.09 김예한 17226
영화 '베테랑'과 '부당거래'는 다르듯 같다. file 2017.12.26 손종욱 17230
김해도서관, 1318 필독서 읽기 참가자 모집! 1 file 2017.03.23 한승민 17236
인생은 한 번뿐이다! - 자신의 행복을 중시하는 '욜로' 열풍 1 file 2017.05.24 이지우 172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