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갈수록 줄어드는 청소년 정치 관심도...선거가 언제죠?

by 3기박소윤기자 posted Feb 19, 2016 Views 375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대한민국은 다가오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준비로 떠들썩하다. 그렇지만 정확한 선거 날짜를 알고 있는 청소년들은 몇명이나 될까?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국회의원 선거에 대해 14세~19세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해보았다. 

"정확한 날짜를 알고 있다"와 "하는줄도 몰랐다"가 모두 9.1%로 똑같았고, "구체적으로는 모르지만 하는줄은 알았다"가 81.8%로 가장 많았다. 4년에 한번 개최되는 큰 정치 행사가 언제 하는지조차 모르는 학생들이 대부분 이라는 것이다. 이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이 자주 이용하는 여러 커뮤니티의 인기글은 대부분 연예,오락과 관련되어 있다. 정치에 관한 글이 인기글 목록에 들어가기에는 청소년들의 정치 관심도가 너무 낮다는 것을 보여준다. 장차 대한민국의 미래가 될 청소년들의 낮은 정치 관심도에 대해 일부에선 비판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파일.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소윤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실제로 대한민국에서 정치적 무관심(현대 민주정치에서 주권자로서의 국민이 정치 참여에 부정적이고, 정치적 문제와 현상에 대해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을 말한다)은 심각한 문제이다. 적지 않은 사람들이 선거날은 단순히 쉬는날이라고 인식한다. 본인의 지역 의원 후보자가 누군지조차 인지하지 못한다. 이러한 정치적 무관심이 청년들을 넘어 청소년들에게 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어느 인터넷 커뮤니티의 10대 게시판에 "너희들은 서울 시장이 누군인지 알아?"라는 제목으로 글이 올라온 적이 있다. 그글에 달린 댓글들은 "모른다. 내가 사는 지역 시장도 모르는데 서울 시장까지 알아야 하나?", "그런거 몰라도 상식이 부족한 건 아니다." 등 대부분 모르지만 전혀 문제될게 없다는 태도였다. 수백여개의 댓글들이 대한민국 청소년의 정치적 무관심의 현실을 보여주고 있었다.


민주주의는 이상적이고 현명한 정치 제도이다. 하지만 그 권력을 손에 쥔 사람들이 관심을 끊는다면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어진다. 선거가 약 두달 가량 남아 후보자들은 적극적인 운동을 펼치고 유권자들은 고민을 시작하는 요즘, 우리들의 교실에선 과연 무슨 이야기들이 오가고 있을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박소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기자이강민 2016.02.19 22:11
    다소 무리한 의견인것임은 알고있지만 제 생각은 투표를 좀 의무화 했으면 합니다.
    투표는 인간의 기본 권리라고하지만 중요한 공직자리를 선출하는 데 있어 국민의 선택이 국가의 운영을 좌지우지 하는만큼 선거를 노는 날이라고 인식하는 청년들의 생각을 의무화 제도 등을 도입하여 분명히 바꿔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19 22:12
    청소년의 정치적 무관심이 생각보다 큰 문제가 되고 있네요.
    공부를 해야하기에 다른 무언가에 관심을 갖는 다는 것은 어려운 일일 수도 있지만,
    그래도 청소년들이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우리나라의 정치에 대해서는 조금의 관심을 가질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2.19 22:31
    제가 생각했던 것 보다 큰 문제인것 같아요.
    앞으로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가야하는 청소년들이 정치에 무관심하는 이런 문제들이 빨리 해결되지는 않겠지만 학교에서 정치에 관한 간단한 소식들을 알려주면 좋겧다는 생각이 드네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 2016.02.19 23:29
    맞아요, 저도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청소년들은 정치에 별로 관심이 없고 뉴스도 잘 시청하지 않아요. 이런 무관심적인 현상이 계속 되면 대한민국의 정치는 점점 사람들의 생활속에서 사라져가게 될거에요. 부디 많은 학생분들과 어른분들이 관심을 가졌으면 합니다.
  • ?
    4기 조은아 기자 2016.02.21 01:43
    우리나라 학생들이 수능준비 및 여러가지 일로 바빠서 정치에 관심을 가질 시간이 없는 것 같아요. 그래도 한국인으로서 나라에 관심을 가질 의무는 있는 것 같아요. 경각심을 깨워주는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임하늘기자 2016.02.21 18:32
    청소년기때부터 정치에 대해 많이 알고 투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우리나라의 법들이 얼마나 좋고 그른지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그 청소년들이 어른이 되었을 때 국민을 위해 일 할 대통령과 국회의원들을 뽑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이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2 19:27
    기사를 읽고보니 조금 심각하다는걸 느낄 수 있는 것 같네요..저도 정치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이 없었는데 이 기회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단 생각이 드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미래기자 2016.02.23 00:41
    학생들의 정치에 관한 관심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건 제 주위를 돌아봐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한 것 같습니다. 학생들의 정치적 관심도를 높이는 건, 미래의 대한민국을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하기에, 빠른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의 의견처럼 투표를 의무화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거라고 생각하지만, 실행하기엔 아마 어려움이 따르지 않을까 하네요:( 어서 좋은 대책이 마련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
    3기박성수기자 2016.02.23 01:58
    이런 청소년들이 정치에 무관심한 건 저도 많이 느끼는 건데요
    이런 것들이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 ?
    3기박다온기자 2016.02.23 19:03
    청소년들이 정치참여에 관심도가 낮은 원인은 우리사회 분위기의 조장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회분위가 대체적으로 청소년들이 정치에관해 관심있어하고,많이 아려고 들면 할수록 어린애가 뭘 안다고 그러냐, 공부나 열심히해라..등의 반응을 보이죠. 청소년들의 정치참여 고무를 위해서 긍정적인 사회분위기가 밑바탕되야 할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이민구정치부기자 2016.02.28 15:54
    저는 청소년의 정치 무관심에 대해 우리 사회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그런거 볼 시간에 공부나 하라는 둥 어처피 우리가 할 수 있는건 아무것도 업다는 둥 우리는 참정권을 가진 대한민국의 국민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사회 분위기 때문에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는 것 같습니다. 각자 자신이 가지고 있는 권리를 잘 행사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구성모기자 2016.03.07 20:20
    정말 청소년의 정치 무관심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뉴스와 신문은 어른들만이 보는 것이라는 편견을 불러올 대가 많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26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85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492
공영방송의 정상화는 필요할까? 4 file 2017.02.20 이희원 16326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563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7145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5085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980
트럼프, 한국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다. 1 2017.02.20 유현지 15591
안희정 문재인을 이은 지지율 2위, 그 이유는 ? 4 2017.02.20 김형주 14260
전 세계를 뒤흔든 김정남 독살! 배후는 누구인가? 2 file 2017.02.20 정유리 15776
시민 건강 위협하는 '미끌미끌' 위험한 빙판길 2 file 2017.02.20 이나경 15429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6044
예상치 못한 북한의 도발, 우왕좌왕하는 트럼프-아베 2017.02.19 장진향 14821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6009
기세가 무서운 외식비용 원인은? 2 file 2017.02.19 김화랑 16380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7246
'위안부' 생존자들의 아픈 역사를 되돌아보다 3 file 2017.02.19 이다빈 16614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548
기내난동은 이제 그만! 항공보안법 개정안 발의 3 file 2017.02.19 이나희 17173
77분간의 리얼리티 쇼, 트럼프와 언론의 끝없는 전쟁 2 file 2017.02.19 김윤혁 16540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7025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266
약국에 가지 않아도 일부 약을 살 수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약국 외 판매제도>에 대해서 1 file 2017.02.19 차은혜 21221
기대와 우려속···안철수 전 대표의 '5-5-2 학제 개편안' 2 file 2017.02.19 김정모 16931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0760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6248
‘불이 났어, 기다리지마.’ 14년 전 오늘을 기억하자 9 file 2017.02.18 오시연 17514
헌법재판소 앞, 식지않는 열기 file 2017.02.18 전태경 17214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6012
소녀의 눈물은 아직 마르지 않았다 5 file 2017.02.18 정예진 26375
'대선주자 국민면접'문재인, "저는 취업재수생입니다" 1 file 2017.02.18 유미래 15537
한파 속 뒤늦은 '포켓몬고' 출시…'안전 주의보' 4 file 2017.02.18 주용권 18198
오늘도 외로운 추위를 견디는 유기동물 14 file 2017.02.18 김규리 17572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505
안철수, 대전서 '김밥 같이 드시래요?' 2 2017.02.17 한훤 15090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765
태극기 집회에서 그들의 정의를 듣다 2 file 2017.02.17 장용민 15133
'정당한 권리'라는 빛에 가려진 '주어진 권리를 성실히 이행해야 할 의무'라는 그림자 3 file 2017.02.17 이우철 16062
솜방망이 처벌로는 동물학대를 막을 수 없다. 8 file 2017.02.17 김해온 31539
이념 전쟁... 이제는 교육 현장에서도 일어나 4 file 2017.02.17 화지원 15728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5768
특검,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02.16 김예진 15169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3045
소녀가 홀로 싸우지 않도록 우리가 함께할게요. 10 file 2017.02.16 안옥주 17047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3299
박근혜 정부는 일본에게 ‘면죄부’를 주고 말았다? 3 file 2017.02.16 김지민 15122
헌법재판소 앞의 사람들 5 2017.02.15 안유빈 16633
양날의 검, 생체 보안 기술 3 file 2017.02.15 김세원 15978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4893
北, 탄도미사일 발사...동해바다 향해 500km 비행 file 2017.02.15 박천진 251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