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by 3기고건기자 posted Feb 16, 2016 Views 171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7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발사 이후, 우리 군이 주한미군과 협의해 한반도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입장을 드러낸 가운데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효과와 안전성 등에 의문을 가지며 국민들이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KakaoTalk_20160216_02003661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고건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현재 국방부에서 밝힌 사드의 작전반경은 200로 사드 배치 후보지 중에서 수도권 방어에 가장 효과적인 곳은 경기도 평택과 강원도 원주로 보여 진다. 이 곳 외에도 거론되고 있는 도시로는 대구와 군산이 있는데, 이곳은 평택이나 원주에 비해 후방에서 방어를 하기 때문에 남한 전체를 보호하기에 더욱 적합하지만 수도권을 보호하는 데에는 취약하다.


지난 15일 대구시 김상경 안보특별보좌관은 대구는 작전측면에서 적합할지 몰라도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인 점 등을 고려할 때 부적절하다고 강조하며 사드 후보지로 대구를 언급하는 것은 부적절 하다고 밝혔다. 사드의 핵심인 엑스밴드 레이더(X-Band Radar)가 뿜어내는 고출력 전자기파에 대한 인체 유해성을 우려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들 역시 시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만큼 현재 사드 배치를 꺼리고, 많은 논란이 있는 가운데 이러한 사드의 배치 지역이 어디인가 보다 더욱 큰 문제가 있다.


사드가 어디에 배치되든 1개의 포대로는 남한 전역을 방어할 수 없다는 점이다. 실제로 1개의 포대로는 남한의 3분의 2정도만 방어할 수 있고, 남한전역을 방어하려면 최소한 2개정도의 포대가 필요하다는 것이 우리군의 분석이다. 하지만 국방부는 주한미군과 협의할 1개 포대 배치이외에는 추가 도입 계획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1개의 포대로는 남한 전역을 보호하지 못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많은 비용이 들겠지만 우리 군 당국이 사드 외에도 애로우-3나 아이언 돔과 같은 별도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를 직접 도입해야 한다는 관점도 나오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3기 고건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기자이강민 2016.02.16 21:54

    먼저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사드를 배치할경우 민간인이나 각종시설을 사드 주위 3.5km반경 이내에 배치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하더군요. 게다가 비용도 엄청나구요.. 그래서 설치 문제를 두고 찬반이 많이갈리는데 여당의원들은 대부분 찬성해놓고 본인 지역구에 설치는 극구 반대하는 상황이니 과연 사오는것이, 사왔다 가정하면 설치할 부지를 선정하는것 참 쉽지 않는 일이되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 2016.02.17 02:06
    굉장히 복잡한 관계들이 얽힌 문제인것 같아요.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 사드를 배치한다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국민들이 반대한다면 제대로 진행할 수 있을지 궁금하고 걱정되네요. 물론 모든 국민의 반대는 아니겠지만 말이에요. 사드로 인한 국제적문제가 커지게 된다면, 그것 또한 골치아픈 걱정거리가 되겠죠? 우리나라의 현명한 선택이 절실할 때라고 생각해요.
  • ?
    3기이민정기자 2016.02.17 06:23
    어려운 주제로 읽기 쉽게 기사를 잘 쓰신 것 같아요! 사드를 설치해야 하지만 주민들이 자기 동네만은 안된다고 하는 님비현상이 어쩔 수 없는 것에도 매우 안타깝다고 생각이 듭니다.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오시연기자 2016.02.17 13:39
    현재 가장 논란이 많은 사드 문제를 쉽게 다뤄주셔서 감사함니다! 하루 빨리 잘 해결이 되야 할 텐데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장서윤기자 2016.02.17 15:52
    요즘 많은 논란을 일고있는 이슈인만큼 한번쯤은 익히 들어보았지만 잘 알지는 못했던것같네요.
    사드배치문제는 정말 많이 고민해야할 것 같고, 어쨌든 잘 해결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이예린기자 2016.02.18 00:06
    사드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지만 조금 어려운 문제라고 생각했었는데 쉽게 풀어써주신 것 같아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전채영기자 2016.02.18 01:27
    저로써는 밀양 송전탑 사건때처럼 민간인이 피해를 본다면 사드 배치에 찬성하기는 어렵겠네요... 게다가 효과가 있을지 없을지도 경우에 따라 다르다면... 기사 잘 봤습니다!
  • ?
    3기전재영기자 2016.02.19 21:59

    사드를 배치하면 장점도 있겠지만, 그뒤에 따라오는 단점도 있잖아요.
    국민들의 의견과 모든 것들을 고려해서 신중하게 결정해 주셨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승현기자 2016.02.19 22:27
    사드문제는 현재 아주 복잡고도 어려운 문제인데 이것을 기사를 쓰셔서 고맙고 현정부가 올바른 해답을 내놓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 ?
    3기최호진기자 2016.02.20 14:10
    현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사드배치문제를 쉽게 풀어서 잘 전달해 주신것 같네요. 좋은기사 감사한비다. 잘 읽고 갑니다~
  • ?
    3기이송림기자 2016.02.21 16:18
    사드에 대해서 이해가 잘 안되었는데 이해가 잘 되었네요:)
  • ?
    3기박성수기자 2016.02.23 01:54
    이런 사드 배치 문제가 잘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 ?
    3기박다온기자 2016.02.23 18:54
    서로 조금씩만 양보하면 좋을텐데...이런 급박한 상황에서까지 님비현상이 일어난다는게 참 안타깝네요.
    이사건을 계기로 님비현상을 줄여나갔으면 합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3기김나현기자 2016.02.23 22:54
    사드라는 문제가 정치적으로 이슈가 되고있는반면에 되게 이해하기 어려운것같은데 쉽게 풀어서 써주시니 이해가 잘됩니다!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6 20:57
    처음에는 사드가 미사일 방어면에서 좋은 것이라고만 생각했는데 민간인에게 미치는 영향이나 비용 면, 그리고 중국과의 외교 등 파장이 적지 않더군요. 사드 문제는 결코 가볍게 생각해서는 안 될 쟁점인 것 같아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민구정치부기자 2016.02.28 15:46
    사드 배치는 여러가지 정치적 문제가 얽힌 복잡한 문제지만 이러한 실리적인 문제도 있다는 걸 알게 되었네요.
  • ?
    4기구성모기자 2016.03.06 19:14
    정말 우리나라를 지키기 위해서는 꼭 필요하지만 중국과의 갈등, 수도권 보호, 지역 선정 등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85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8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847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1763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 file 2017.09.21 이우철 18355
학교에서 거부한 교과서 '국정교과서' 11 2017.02.14 추연종 17882
학교가 가르치는 흡연 2 file 2019.05.24 김현지 16287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372
하와이, 38분의 공포 4 file 2018.01.22 전영은 11534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468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954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347
하늘의 별 따기인 교대 입학..... 임용은 별에 토끼가 있을 확률? 1 2017.08.11 박환희 13036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941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9225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395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8020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7656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10140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241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10810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1925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730
피스가드너,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제1266회 수요시위를 찾다. 8 file 2017.01.19 이민지 29395
피로 물든 광주, 진실은 어디에? file 2019.05.24 안서경 12013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1438
플레디스 유튜브 계정 통합. 팬들의 의견은? file 2019.01.03 김민서 13968
플라스틱 폐기물에 전 세계가 몸살 file 2019.08.05 유승연 13790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1245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413
프랑스어 철자법 간소화, 논란 이어져 12 file 2016.02.25 정가영 23197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2029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484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1486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549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687
표지판 외국어표기 오류 여전 16 file 2016.02.19 노태인 28107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495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7114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596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649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3243
포항 지진, 지진이 발생하는 이유? file 2017.11.21 임소현 13768
포항 지진 피해 연이어 속출... 보상은? file 2017.11.21 김주연 11998
포항 지진 결국 원인은 '지열발전소' 2 file 2018.05.31 한유성 15792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3546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7116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7418
폐의약품 올바른 분리배출 방안, 사람들은 알고 있나? 2020.06.29 서지은 11077
폐쇄 위기의 군산 조선소...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시점 1 file 2017.02.19 백수림 16454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사람들 1 file 2017.02.28 이태연 15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