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by 임이레대학생기자 posted Nov 09, 2020 Views 94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7일(현지 시간)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조 바이든의 당선이 확정되면서, 조 바이든의 러닝메이트였던 카멀라 해리스가 공식적으로 부통령 자리에 앉았다. 

미국 국기-min-mi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임이레 대학생기자]

카멀라 해리스는 아시아계 흑인으로, 2011년 캘리포니아주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2016년 캘리포니아주 연방 상원 의원직을 시작으로 정계 활동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대선 후보에 올랐으나 모금액의 부족과 지지율의 하락으로 포기 의사를 밝혔다. 이후, 조 바이든이 카멀라 해리스를 러닝메이트(부통령 후보)로 선택했고, 지난 7일(현지 시각)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당선 이후 카멀라 해리스는 자신의 SNS에 조 바이든에게 전화로 당선 소식을 알리는 영상을 게재했고 영상 속에서 카멀라 해리스는 "우리가 해냈어요, 조! 당신은 미국의 대통령이 될 거예요!(We did it, we did it Joe. You're going to the next president of United States!)"라며 들뜬 모습을 보였다. 영상에서 그는 전적으로 조 바이든에게 축하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지만, 사실 카멀라 해리스 자신의 역사적인 순간이다. 누리꾼들은 카멀라 해리스의 부통령 당선 확정 이후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카멀라 해리스가 미국 최초의 여성·유색인종 부통령이기 때문이다. 인종차별이나 성차별 문제가 심각한 요즘, 그의 부통령 당선 소식은 큰 의미를 가진다. 

카멀라 해리스의 부통령 당선은 셀럽들 사이에서도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카멀라 해리스의 당선에 관련하여 미국 드라마 'Veep'에서 여자 부통령을 연기한 줄리아 루이스 드레이퍼스는 지난 7일(현지 시간) 조 바이든의 당선 확정 이후 자신의 트위터에 "여자 부통령은 더 이상 허구의 캐릭터가 아니다"라는 글을 남겼고, 인도계 미국인 코미디언 민디 케일링은 인스타그램에 '딸을 안고 울며 "이것 봐, 아가. 그는 우리와 닮았어"라고 말해주었다'는 딸과의 대화를 공개하며 벅찬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외에도 영국 밴드 블러의 기타리스트 그레이엄 콕슨과 퀸의 멤버 브라이언 메이 등 전 세계에서 축하글을 올렸다. 

한편 카멀라 해리스는 지난 7일(현지 시각) 승리 연설에서 "제가 첫 번째 여자 부통령이지만, 제가 마지막은 아닐 것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남기며 승리의 기쁨을 누렸고, 빠르게 화제가 되어 조 바이든과 카멀라 해리스의 공약과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 세간의 이목이 모이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기 대학생기자 임이레]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41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77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098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801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5515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804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7720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8089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309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496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528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107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982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492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9797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5700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3990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808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0959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7899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217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221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632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2952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405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2090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697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4299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127
지역구 득표율로 바라본 제21대 총선 결과 file 2020.04.27 위동건 9939
지역 환경전문가와 돌고래 보호 운동 나선 제주도 청소년들 2023.11.22 박유빈 4576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600
지속되는 헝다그룹의 부진.. 위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file 2021.12.24 이성훈 7580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3399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578
지방의회의 발전, 말라버린 민주주의 치료에 기여할까 1 file 2017.02.19 김현재 16181
지방의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2.08 이남규 10988
지방 인프라 부족 현상, 이대로 보기만 할 수 없다 3 file 2019.02.18 김지현 20390
지구촌을 공포에 빠져들게한, 여성혐오문제'페미사이드' 2 file 2016.05.25 장채연 17746
지구의 반란, 도대체 어디까지인가? 4 file 2016.04.25 김예지 16067
지구온난화 심각···몇십 년 내에 사과농장 사라져··· 1 file 2017.11.27 김정환 13216
지구상 마지막으로 여성 운전을 허용한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file 2018.07.26 김채용 10438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720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4306
지구 온난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1.24 신지수 15965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1129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232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7047
중학교 자유학기제 올해부터 전면시행, 작년 학생들의 반응은? 3 file 2016.04.24 김현승 18281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998
중국인들 한국 부동산 매입 비율 62.5%...원인은? file 2021.08.26 성현수 69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