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by 임이레대학생기자 posted Nov 09, 2020 Views 94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7일(현지 시간) 미국 민주당 대선후보 조 바이든의 당선이 확정되면서, 조 바이든의 러닝메이트였던 카멀라 해리스가 공식적으로 부통령 자리에 앉았다. 

미국 국기-min-mi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임이레 대학생기자]

카멀라 해리스는 아시아계 흑인으로, 2011년 캘리포니아주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2016년 캘리포니아주 연방 상원 의원직을 시작으로 정계 활동을 시작했으며, 지난해 대선 후보에 올랐으나 모금액의 부족과 지지율의 하락으로 포기 의사를 밝혔다. 이후, 조 바이든이 카멀라 해리스를 러닝메이트(부통령 후보)로 선택했고, 지난 7일(현지 시각) 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당선 이후 카멀라 해리스는 자신의 SNS에 조 바이든에게 전화로 당선 소식을 알리는 영상을 게재했고 영상 속에서 카멀라 해리스는 "우리가 해냈어요, 조! 당신은 미국의 대통령이 될 거예요!(We did it, we did it Joe. You're going to the next president of United States!)"라며 들뜬 모습을 보였다. 영상에서 그는 전적으로 조 바이든에게 축하의 메시지를 보내고 있지만, 사실 카멀라 해리스 자신의 역사적인 순간이다. 누리꾼들은 카멀라 해리스의 부통령 당선 확정 이후 폭발적인 반응을 보였는데, 이는 카멀라 해리스가 미국 최초의 여성·유색인종 부통령이기 때문이다. 인종차별이나 성차별 문제가 심각한 요즘, 그의 부통령 당선 소식은 큰 의미를 가진다. 

카멀라 해리스의 부통령 당선은 셀럽들 사이에서도 화제의 중심이 되었다. 카멀라 해리스의 당선에 관련하여 미국 드라마 'Veep'에서 여자 부통령을 연기한 줄리아 루이스 드레이퍼스는 지난 7일(현지 시간) 조 바이든의 당선 확정 이후 자신의 트위터에 "여자 부통령은 더 이상 허구의 캐릭터가 아니다"라는 글을 남겼고, 인도계 미국인 코미디언 민디 케일링은 인스타그램에 '딸을 안고 울며 "이것 봐, 아가. 그는 우리와 닮았어"라고 말해주었다'는 딸과의 대화를 공개하며 벅찬 마음을 감추지 못했다. 이외에도 영국 밴드 블러의 기타리스트 그레이엄 콕슨과 퀸의 멤버 브라이언 메이 등 전 세계에서 축하글을 올렸다. 

한편 카멀라 해리스는 지난 7일(현지 시각) 승리 연설에서 "제가 첫 번째 여자 부통령이지만, 제가 마지막은 아닐 것입니다"라는 메시지를 남기며 승리의 기쁨을 누렸고, 빠르게 화제가 되어 조 바이든과 카멀라 해리스의 공약과 앞으로의 행보에 대해 세간의 이목이 모이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1기 대학생기자 임이레]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35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19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114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424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509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165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8474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547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8020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590
새로운 코로나 변종 바이러스 발견, 이 팬데믹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0.09.02 방지현 8008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file 2020.09.03 나은지 8786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스타벅스도 비껴가지 못했다 file 2020.09.03 윤지영 7850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707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320
시위 확산된 벨라루스... 정부와 시위대의 줄다리기 file 2020.09.03 박재훈 7912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7395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2762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339
게놈,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는 키 file 2020.09.07 김정원 7909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674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8084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10134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625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10110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451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209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3309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772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889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1406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9217
'아베 시즌 2', '외교 문외한'... 그래도 지지율 74% '자수성가 총리' file 2020.09.23 신하균 9789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945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8604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10792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860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362
미국 대법관이자 미국 여성 인권 운동의 상징인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별세 file 2020.09.25 임재한 10432
지구가 인간에게 날리는 마지막 경고인듯한 2020년, 해결방안은? file 2020.09.25 박경배 14317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298
해양 쓰레기 증가, 바다도 아프다 2020.09.28 이수미 9948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2584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8631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838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588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9571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64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828
아프리카 말리의 장기집권 대통령 무사 트라오레 사망... 향년 83세 2020.10.08 박재훈 7886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2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